원투낚시와 조목(潮目)
조목에 관한 글을 올린지도 벌써 1년여가 지난 것을 보니 시간이 참 빠르기는 합니다. 조목(潮目)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하여 포털에 있는 정보를 옮겨보면 “해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역적인 표층수의 수렴선이다. 보통 한‧난류의 조경수역에서 많이 관찰된다. 때로는 풍향에 의해서 같은 성질의 수역에서도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요철이 심한 해저지형의 해역, 해안선의 드나듦이 심한 곳에 잘 나타나며 좋은 어장을 형성하는 곳이 된다.”고 나옵니다.
위의 내용에서 보듯이 조목이 형성되는 지점은 좋은 포인트가 되기 때문에 “바다낚시에서 중요한 조목(潮目)”이란 글에서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마지막에 아래의 그림을 예시하면서 A지점을 노린다면 거센 조류로 인해 미끼가 되는 작은 물고기들이 없어서 조과가 좋을 수가 없다는 점을 지적한 바가 있었습니다.
이와 동일하게 조목이 형성되는 구간이라고 하더라도 조과에 도움이 되는 조목이 있고 그렇지 못한 조목이 있어서 오늘은 이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목이 형성되는 구간은 조류의 흐름에 따라 항상 이동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머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찌낚시에서는 찌를 흘리거나 에깅낚시에는 드리프트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조목이 형성되는 구간을 집중적으로 노리는 것입니다.
방파제에서 낚시를 하면서 자세히 관찰하면 내항에서도 이런 조목이 형성됨을 목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배의 운항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해류와 외항에서 유입되는 해류가 만나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또한 방파제에는 바다에서 밀려오는 해류와 방파제에 부딪혀 돌아가려는 해류가 만나서 조목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조목은 공략하더라도 조과가 그리 좋지는 못합니다.
첫 번째 사진과 같이 조목의 형성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서 형성되는 것은 조과가 좋지만 두 번째 사진과 같이 조목이 형성되다가 끊어지는 경우에는 원투낚시보다는 차라리 루어낚시가 낫기 때문에 포기하고 멀리 던지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조목이 형성되는 구간 내에 수중여가 형성되어 있다면 최적의 포인트가 된다고 할 수 있으며 너무 조류가 빠를 때에는 오히려 조과가 떨어진다는 점을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조목은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있지만 해수면보다 그리 높지 않은 곳에서 낚시를 하거나 백사장에서 원투낚시를 할 때에는 찾기가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 이 때 바다 가운데 부유물들이 길게 띠를 형성하고 있거나 새들이 몰려 있는 지점이 있다면 그곳이 바로 조목이 형성되고 있는 곳이라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조목을 노릴 때 사진과 같이 방파제나 장애물의 끝을 피해가면서 흐름이 끊기지 않고 형성되는 지점이 있다면 집중해서 공략하면 아주 훌륭한 조과를 거둘 수가 있는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조목을 야간에는 어떻게 찾느냐구요?
야간에는 저도 못 찾는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