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이 다른 저수지에서 배스를 잡는 방법
이전에 “물의 맑기를 나타내는 영어표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물의 맑기, 즉 수질(水質)에 따라 배스를 잡기 위해서는 루어를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인용하는 기사는 미국의 아웃도어 스포츠 미디어인 FIELD & STREAM에 실려 있는 것으로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How to Choose the Right Lure to Catch Bass in Any Pond
제목은 직역하면 “어떤 연못에서도 배스를 잡을 수 있도록 루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겠으나 본문의 내용을 참작하여 “수질이 다른 저수지에서 배스를 잡는 방법”으로 정했다.
■ 클리어 워터 저수지에서 배스를 잡는 방법(Catch Bass in Clear Water Ponds)
▶ 이 루어들이 효과적인 이유
컬리테일 그럽웜 또는 자연계 색상의 소프트 저크베이트와 같은 것들은 수질이 맑은 저수지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공격적인 패턴이나 색상은 물고기들에게 잘 보이기 때문에 배스들의 경계심을 불러올 위험성이 있기는 하지만 웜은 배스들이 의심하지 않고 공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이 맑은 클리어 워터에서는 먹잇감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버즈베이트나 작은 저크베이트 등은 배스들이 먹이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공격해올 수 있으며 이들 루어는 빠르게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어서 더 많은 배스를 잡을 수 있는 확률도 올라가게 된다.
■ 흐린 물에서 배스의 입질을 유도하는 루어(Trigger Bass to Strike in Stained Water)
※ 이전의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스테인드 워터(Stained Water)는 근처에 소나무 등의 침엽수가 많아 탄닌으로 인해 물색이 탁해지는 경우의 수질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인드 워터(Stained Water)는 물의 맑기를 나타낸다기보다는 물색을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며 타당하며 물색이 진하거나 푸르스름하다고 해서 흐린 물이란 것은 아니므로 엄밀하게는 스테인드 워터(Stained Water)란 표현도 클리어 워터(Clear Water)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이 루어들이 효과적인 이유
투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수중에서는 배스들이 구조물에 보다 타이트하게 숨어서 먹잇감을 기다리는데 스피너베이트, 크랭크베이트, 노싱커 스윔베이트를 사용하면 배스들이 숨어서 먹잇감을 기다리고 있는 매복선상의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데 도움이 된다. 노싱커 스윔베이트는 리트리브를 일시 멈추는 것으로 배스들의 입질을 받을 수 있는 지점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매복하고 있는 배스들의 표적이 될 수 있다.
흐린 물이라도 표층 부근에는 햇빛도 약간 비치는데 배스는 수면을 지나가는 먹잇감의 크기를 판단할 때 약간이라도 비치는 이 햇빛을 이용한다. 이럴 때 비버웜이나 청크웜, 크리처웜등을 텍사스리그로 던지면 실루엣이 크게 나오기 때문에 배스들이 그냥 지나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진흙탕물에서 배스를 잡기 위한 루어(Help Bass Find Your Lure in Muddy Water)
▶ 이 루어들이 효과적인 이유
낚시인들은 진흙탕 속을 지나가는 루어를 볼 수 없다. 그리고 이것은 배스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물고기들은 인간과는 달리 진동과 움직임으로 루어를 파악할 수 있다.
채터베이트(Chatterbait) 또는 처거(chuggers)나 블레이드(bladed)가 부착된 스윔베이트, 콜로라도 블레이드가 있는 스피너베이트 등은 모두 진동을 더 크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효과는 배스들의 측선에 전달되어 루어에 반응하도록 만들어주는데 진흙탕물인 상황에서는 특히 측선의 감각을 사용하여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루어들이 효과가 있다.
노싱커인 야마센코웜은 스피너베이트처럼 큰 파동을 일으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액션은 진흙탕물에서도 효과를 보인다.
배스는 진흙탕물을 헤엄치는 동안 진흙탕물과 클리어 워터의 경계에 숨어서 먹이활동을 하는데 야마센코웜은 천천히 가라앉으므로 배스들이 매복하고 있는 지점에서 오래도록 머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일 배스가 당신이 사용하는 웜으로 접근하면 그것을 삼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끝)
상기에 번역한 내용은 반드시 그렇다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필드마다 특색이 있고 그날의 날씨에 따라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기 마련이며 클리어 워터에서는 배스들에게 쉽게 보임으로써 경계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들도 탁한 물에서는 의외로 좋은 조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의 내용과 같은 것을 하나의 기준으로 삼고서 기타 필드의 환경이나 날씨와 같은 요건들에 맞게 응용한다면 만족스러운 조과를 올릴 수는 있다고 생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