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F-35보다 F-15의 최고속도가 더 빠르다

1947년 10월 14일 “벨 X-1(당시 이름은 XS-1)”을 몰고 세계최초로 음속을 돌파했던 “척 예거(Chuck Yeager)”가 그의 아내 “글레니스 예거(Glennis Yeager)”의 이름을 붙인 비행기 “글래머러스 글레니스”와 함께 찍은 사진은 많은 사람들이 보아서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 개발되는 비행기들에는 최고속도가 얼마라고 하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다니게 되었고 우리공군의 현재 주력기종인 F-15와 차세대 기종으로 들어올 F-35 모두 음속을 돌파하는 최고속도를 자랑합니다.

그런데 F-15의 최고속도는 마하 2.5이고 F-35의 최고속도는 F-4의 마하 2.2보다 느린 마하 1.6에 불과합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속도가 느린 전투기를 우리는 들여오려고 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투기에서 음속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흔히 “애프터 버너(Afterburner)”라고 하는 것을 사용하는데 “애프터 버너(Afterburner)”는 정확하게는 “제너럴 일렉트릭(GE: General Electric)”의 상표를 말하는 것으로 쉽게 말해서 엔진의 배기가스 등에 연료를 분사하여 다시 발화시키는 장치로써 롤스로이스의 Re-heat와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의 오그멘터(Augmentor)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런 재연소장치가 필요한 이유는 음속을 돌파할 때 급속하게 증가하는 조파저항(Wave drag) 또는 “소리의 벽(sound barrier)” 혹은 “음속장벽(sonic barrier)”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인해서 음속을 돌파할 때 비행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런 저항을 극복하고 더욱 가속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추력을 조파저항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증강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런 재연소를 통한 증강장치의 가장 큰 단점이 바로 연료의 소비가 최소 5배나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무장인 상태에서 마하 0.8에서 마하 2.3까지 가속하는데 4분 30초 정도가 걸리는 F-15를 연료를 가득 채워 비행한다고 하더라도 4분 정도만 애프터버너를 사용하면 연료가 고갈되어 추락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F-15

 

그래서 대부분의 전투기는 마하 0.9 이하에서 운용되거나 전투를 하는 경우에도 마하 1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마하 2 이상의 최고속도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어서 최근에 와서는 애프터버너와 같은 재연소장치를 가동하지 않고도 음속을 돌파하는 “초음속순항(슈퍼크루즈: Supercruise)”이라고 하는 것을 전투기의 요소로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전투기의 속도와 기타 회전할 때 저항을 받아 속도와 고도가 떨어지는 것을 엔진의 출력으로 보완하여 속도를 유지하고 회전할 수 있는 유지선회의 중요한 요소인 추력중량비는 F-35가 평균 0.8 정도로서 F-15와 F-22의 1.14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사용하는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의 F-135엔진의 출력이 10% 증가될 것이라고 하니 이 부분도 조만간 개선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아무튼 “초음속 전투기”라고 하더라도 실제로 음속을 돌파하는 비행을 하는 것은 극히 짧은 순간에 불과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초음속 전투기”는 “초음속순항”을 할 수 있는 기종인가에 따라서 구분해야 옳을 것입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초음속순항이 가능하다고 평가를 받는 기종으로는 F-22랩터, 유로파이터, 프랑스의 라팔, 스웨덴의 그리펜, 러시아의 Su-35, 그리고 F-35가 있습니다. 따라서 초음속순항이 불가능한 F-15보다는 차세대 우리공군의 주력이 될 F-35의 속도가 빠르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유로파이터 타이푼

 

다소 라팔

 

사브 JAS 39 그리펜

 

수호이 Su-35

 

F-35 라이트닝Ⅱ

낚만 지월

Recent Posts

여름철 밤낚시의 필수품, 모기기피제

여름철 밤낚시는 모기와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심한 모기들의 극성을 견뎌야 합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바르거나…

2일 ago

조어대전 제19장: 강과 물고기에 대한 관찰

낚시꾼: 날씨도 좋고, 길도 좋습니다. 아직 토트넘의 십자가가 보이려면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 당신이 원하는…

2일 ago

원투낚시용 릴의 드랙력은 얼마가 적당할까?

원투낚시에 입문하는 분들은 장비의 선택에 있어 많은 애로를 겪는데 그중에는 사용할 릴의 드랙력은 어느 정도가…

5일 ago

고산 윤선도에게 배우는 낚시터의 예절

지난 주말 모처럼 밤낚시를 즐기고 왔다. 예보와는 달리 바람도 그리 세게 불지는 않아 조용한 시간을…

5일 ago

배스는 웜을 무엇으로 생각할까?

사용하는 루어의 크기와 모양 및 색깔이 물고기의 실제 먹이와 비슷할수록 입질 확률이 높다는 것은 낚시인들의…

1주 ago

에깅낚시 Tip-군소가 잡힌다면 계속해서 공략하자!

오랜만에 에깅낚시에 관한 글을 작성하는 것 같습니다. 장마가 시작되고 태풍도 벌써 하나가 지나갔지만 무늬오징어를 노린다면…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