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F-15, F-35등 전투기 뒤의 숫자는 무엇을 나타낼까?

미국에서 운용하는 군용기의 이름을 정하는 명명방법은 육·해·공군이 각기 저마다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던 것을 1961년 국방부장관에 부임한 로버트 맥나마라가 통일시켰는데 이것을 “트라이-서비스(Tri-Service)” 또는 MDS(Mission-Design-Series)라고 부릅니다.

즉 M(임무: Mission), D(디자인: Design), S(시리즈: Series)의 순서로 이름을 정하는 것인데 전투기를 F(Fighter)라 하고 A(Attacker)는 공격기, B는 폭격기(Bomber), C는 수송기(Cargo)를 나타낸다는 것은 다들 잘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전투기를 나타내는 F의 뒤에 붙는 번호가 참으로 다양하여 이해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또한 MDS규칙에 따라 시리즈 순서대로 이름이 붙지만 중간에 없는 번호도 있고 갑자기 번호가 크게 높아지는 경우도 있어서 F-22 다음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F-35 사이에는 모델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F-4, F-15, F-22, F-35 등 전투기의 뒤에 붙는 숫자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1962년에 통일된 “트라이-서비스(Tri-Service)”의 명명규칙에 따라 기존에 존재하던 전투기들의 이름을 새롭게 정하면서 F-1부터 F-11까지의 명칭이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국민들이 모은 방위성금으로 도입했던 “F-4D” 의 경우에는 전투기 중에서 4번째로 만들어진 것으로 뒤의 D는 네 번째 버전이라는 뜻입니다.

“F-4C”는 미공군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F-110A 스펙터”를 새로운 명명규칙에 따라 개칭한 이름인데 그 이유는 해군의 팬텀Ⅱ와 같은 기체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F-4C로 이름이 바뀌게 된 것이며 이처럼 기존의 항공기를 새로운 명칭으로 변경한 것들에는 아래와 같은 11가지의 기종들이 있습니다.

F-1 Fury: 기존 이름 FJ

F-2 BANSHEE: 기존 이름 F-2H

F-3 Demon: 기존 이름 F3H

F-4 PhantomⅡ: 기존 이름 F4H

F-5 Freedom Fighter: 최초로 명명

F-6 Skyray: 기존 이름 F4D

F-7 SEA DART: 기존 이름 XF2Y

F-8 Crusader: 기존 이름 F8U

F-9 Panther/Cougar: 기존 이름 F9F

F-10 Skyknight: 기존 이름 F3D

F-11 Tiger: 기존 이름 F11F

이상과 같이 기존의 명칭을 바꾸고 난 후 새롭게 신규모델 중에서 MDS규칙에 따라 처음으로 명명된 모델이 “YF-12 블랙버드”였는데 제일 앞에 붙은 “Y”는 프로토타입이란 것을 의미합니다.

그 뒤를 이어서 “F-14 톰캣”, “F-15 이글”, “F-16 파이팅 팰콘” “YF-17 코브라”와 맥도널 더글러스에서 만든 “F/A-18 호넷” 및 보잉사에서 만든 “F/A-18E/F 슈퍼 호넷”, “F-20 타이거샤크”, 유일한 이스라엘제인 “F-21 크피르”에 이어서 “F-22 랩터”와 “YF-23 블랙윈도우Ⅱ”로 이어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 중에서 YF-12, YF-17, F-20 및 YF-23은 실용화되지 못하였으며 F-13과 F-19는 결번, F-5와 F-21은 훈련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YF-17 코브라

YF-23 블랙윈도우Ⅱ

특히 F-19는 극비리에 개발 중이었던 스텔스기로 추측되고 있는데 실제로 명명된 이름은 “F-117 나이트호크”가 되면서 기존의 명명규칙에 큰 혼선을 빚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F-117 나이트호크

이어서 나온 가장 신예기종인 “F-35 라이트닝Ⅱ”도 본래의 규칙대로라면 F-24가 되어야 하지만 원형기종인 X-35의 이름을 그대로 따서 F-35로 정하면서 F-24부터 F-34까지는 결번으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F-35 라이트닝Ⅱ

마지막으로 F와 A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 F/A-18 기종은 원래 YF-17을 원형으로 하여 함상전투기인 F-18과 함상공격기인 A-18을 따로 개발할 예정이었으나 1개의 기종으로 통합하면서 F/A-18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던 것입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꽂기식 로드의 연결 방법: 병계식, 역병계식, 인롱계식의 차이

먼저 병계(並継), 역병계(逆並継), 인롱계(印籠継)를 하나씩 알아보면 동양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아우르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기에…

3일 ago

조어대전 제21장: 낚시도구를 만드는 방법(번역 완)

낚시꾼: 벌레와 작은 물고기, 강과 연못에 대해서 너무 오래 얘길 한 것 같습니다. 저도 많이…

3일 ago

여름철 무늬오징어 낚시

무늬오징어 낚시는 봄과 가을이 베스트 시즌이라고들 합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늦여름까지 어린 무늬오징어가 출생하고 가을에는 경계심이…

1주 ago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의 종류와 특징

농어루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어종을 공략하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루어의 종류로써, 바이브레이션이란…

2주 ago

홋카이도에는 가리비 껍질로 만든 하얀 길이 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따끈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찜을 비롯하여 꼬막에 굴요리까지 맛있는 안주들이 술을 부르는…

2주 ago

마루큐의 원투낚시용 염장 파우더 시오이카고로는 효과가 있을까?

오늘은 구독자분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렸으나 조금 부족한 듯하여 일본 마루큐에서 만드는 파우더제품 중 시오이카고로에…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