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비야 대성당에 있는 콜럼버스의 무덤

세비야 대성당에 있는 콜럼버스의 무덤

4번째 항해에서 병에 걸린 콜럼버스는 1506년 5월 20일, 스페인의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하여 매장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위치는 지금까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리고 콜럼버스가 사망하고 나서 3년 뒤 스페인 남부도시 세비야의 가족묘지로 이장되었다가 1544년 죽어서도 스페인 땅을 밟지 않겠다던 그의 유언에 따라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도 산토도밍고 성당에 안치되었으며 1795년에는 쿠바의 아바나로 이전되었다가 1898년이 되어서야 스페인의 세비야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2005년 그라나다대학의 연구팀이 유골에서 채취한 DNA를 통해 콜럼버스의 시신임을 확인하였으며 2022년에는 마드리드 국립해군박물관에서 콜럼버스의 첫 번째 매장지는 바야돌리드에 있었으나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샌프란시스코 수도원(San Francisco convent)이었다고 발표했다.

샌프란시스코 수도원은 현재 마요르광장이라고 불리는 곳에 있었다고 하는데 사진으로 보는 마요르광장의 아름다움은 실제로는 지독한 담배냄새와 지린내로 얼굴을 찌푸렸던 장소로 기억되고 있다.

세비야 대성당 안에는 당시 스페인을 구성하고 있던 레온, 카스티야, 나바라, 아라곤의 4국왕이 콜럼버스의 관을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2005년 DNA를 조사했던 그라나다대학에 의하면 콜럼버스의 유골은 일부가 산토도밍고에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도미니카공화국은 산토도밍고의 콜럼버스 등대에 있는 콜럼버스의 유골이 진짜라는 주장을 하고 있으나 DNA조사에는 응하지 않고 있어서 무덤의 진위여부에 대한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아타카마 사막에 내리는 비, 좋은 것만은 아니다

아타카마 사막에 내리는 비, 좋은 것만은 아니다

칠레 북서부의 아타카마 사막은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 1500만 년 동안 건조한 상태가 계속되는 곳으로, 화성의 환경과 유사하여 화성의 생명탄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모델로 이용되어 왔던 곳입니다.

 

그런데 2015년 슈퍼엘니뇨 현상으로 3월에만 12시간 동안이나 이어진 강우로 7년 동안 내릴 비의 양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피어난 꽃들이 장관을 이루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2015년 8월에도 많은 비가 내렸지요.

 

그러나 이렇게 척박한 땅에 생명의 근원이 되는 비가 내린 것이 반드시 좋은 일만은 아니란 것을 알리는 연구결과가 금년 11월 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되었습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비가 내리기 전에 사막에서 채취한 토양에서는 모두 16종이 발견되었던 미생물들이 비가 내리면서 생긴 웅덩이의 토양에서는 대부분인 75~87%가 멸종되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건조한 상태에 적응한 미생물들이 대량의 빗물이 유입되면서 생긴 삼투압 현상 때문에 전멸한 것으로, 화성에서 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는 하지만 만일 물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생명체가 살아 있을 가능성은 적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아타카마 사막에 내린 비로 태어난 새로운 생명체인 아름다운 꽃들에 가려진 미생물들의 멸종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인간이 자연에 가하는 인위적인 변화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됩니다.

캄피돌리오(Campidoglio) 언덕에 가려진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캄피돌리오(Campidoglio) 언덕에 가려진 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이탈리아에서 코로나 19의 확진자가 현지시간으로 3월 15일 오후 6시 현재 24,747명, 누적 사망자는 1,809명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이동제한령이 내려진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관광산업의 비중이 높은 곳으로 전체 GDP의 13.2%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번 코로나 19의 여파로 관광산업의 매출이 우리 돈으로 6조 8천억~9조 5천억 정도의 감소가 예상된다고 하는데 하루빨리 치료제가 개발되어 팬데믹(Pandemic) 상태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오늘은 우리나라 관광객들이 빠지지 않고 찾는 명소로 콜로세움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포룸 로마눔(Forum Romanum)과 이어지는 캄피돌리오(Campidoglio) 언덕의 숨은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포룸 로마눔(Forum Romanum)

 

카피톨리노(Capitolino)라고도 불리는 캄피돌리오(Campidoglio) 언덕에 오르면 나오는 광장은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것으로, 중앙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동상이 자리를 잡고 있으며 캄피돌리오(Campidoglio)란 이름은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을 건립할 때 카풋(caput: 고대어로 사람의 머리를 뜻한다)이 발견된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는데 오늘 이야기의 주제가 바로 카풋과 관련이 있으며 죽음의 계단이라고 불리고 있는 제모니안 계단(Gemonian stairs: 이태리어로는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이다.

 

기원전 7세기 경의 고대 로마에는 메르티네 감옥(Mamertine Prison: 이태리어로는 Carcere Mamertino)이 있었는데 이곳에 수감되었던 사형수들은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에서 처형된 다음 그 시체를 계단에 던져 떨어뜨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가 미켈란젤로의 예술성과 로마의 건축양식을 감상하고 있는 이면에는 이같은 어두운 역사가 자리를 하고 있으며 기원전 640년에서 616년경에 만들어진 메르티네 감옥(Mamertine Prison)은 예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명으로 나의 세례명이기도 한 안드레아와 형제지간인 성 베드로가 순교 전에 수감되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라는 계단은 1세기 무렵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처형장으로 사용되면서 죽음의 계단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로마제국의 제2대 황제였던 티베리우스 때부터라고 전해지고 있다.

정적이 많았던 티베리우스는 그의 측근이었던 루키우스 아엘리우스 세이아누스( Lucius Aelius Seianus)를 사형에 처하게 되는데 그를 교수형에 처했던 장소가 바로 죽음의 계단이라고 하는 제모니안 계단(Gemonian stairs: 이태리어로는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이다.

세이아누스의 죽음은 그의 급성장에 두려움을 느꼈던 티베리우스의 견제가 원인이었지만 또 다른 이유는 티베리우스의 며느리와 불륜을 맺고 그의 아들 드루수스 카이사르(Drusus Julius Caesar)를 암살했다는 것이었다.

드루수스의 죽음은 당시에는 병사로 알려졌으나 그가 죽고 8년이 지나서 세이아누스의 전처 아피카타(Apicata)에 의해서 드루수스의 아내인 리비아 율리아( Livia Julia)와 불륜관계였던 세이아누스가 그녀와 공모하여 드루수스를 독살하였다고 밝힘으로써 티베리우스는 일사천리로 세이아누스의 교수형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아무튼 죽음의 계단에서 교수형에 처해진 루키우스 아엘리우스 세이아누스( Lucius Aelius Seianus)의 시신은 계단에 던져져 성난 군중들에 의해 토막이 나고 수많은 모욕을 당한 뒤 테베레강에 버려지고 말았다.

 

공포정치를 일삼던 티베리우스가 서기 37년에 사망하고 나서는 죽음의 계단에서 처형되는 사람은 크게 줄어들었으나 서기 68년 네로가 죽고 나서 4명의 황제가 차례로 즉위했던 혼란기를 말하는 ‘4황제의 해’에 세 번째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던 아울루스 비텔리우스(Aulus Vitellius)가 베스파시아누스(Titus Flavius Vespasianus)에 의해 황제의 자리를 뺏기고 처형당함으로써 역사적인 장소로 이름을 남기게 된다.

죽음의 계단인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에서 교수형이 아닌 참수형을 당한 비텔리우스(Vitellius)의 시신은 로마시민들에 의해 무참하게 유린되었는데 당시의 모습은 프랑스 화가 조르쥬 로슈그로스(Georges Rochegrosse)의 1883년 작품에 잘 묘사되어 있다.

 

죽음의 계단에서 시신을 유린하는 행위는 서기 81년에 로마의 제11대 황제에 재위한 도미티아누스(Titus Flavius Domitianus)에 의해 금지되었으며 스칼레 게모니에(Scale Gemonie)는 현존하지 않는다.

도쿄올림픽과 한국전쟁, 그리고 M4 셔먼

도쿄올림픽과 한국전쟁, 그리고 M4 셔먼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는 제32회 하계올림픽의 취소가능성이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WHO는 도쿄 올림픽 개최여부의 결정권은 IOC와 당사국인 일본에게 있다는 점을 명확히 밝혔지만 일본정부에서 올림픽을 취소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나는 판단한다.

역사적으로 올림픽이 개최되지 못했던 것은 3차례로 이유는 모두 전쟁 때문이었는데 베를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1916년의 제6회 대회가 1차 대전으로 열리지 않았으며 제2차 대전으로 인해서는 1940년의 제12회 도쿄올림픽과, 1944년의 제13회 런던올림픽이 열리지 못했다.

반면에 한국전쟁이 한창이었던 1952년에 열린 제15회 헬싱키 올림픽은 예정대로 개최가 되었고 북한이 불참했던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비록 역대 최소규모의 인원이기는 했지만 참가하였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를 포함하여 모두 9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12년 뒤인 1964년에는 아시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하계올림픽이었던 제18회 도쿄올림픽을 개최하게 되는데,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요인들 중의 하나가 우리에게는 잊을 수 없는 큰 상처로 남아있는 동족상잔(同族相殘)의 비극인 6·25전쟁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소비자물가지수는 100배로 증가했고 인플레이션 율은 연평균 59%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랬던 일본경제가 1950년을 전후하여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질경제성장률 15%씩을 달성하면서 1956년~1972년의 일본의 인플레이션 율을 평균 4.5%로 유지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바로 6·25전쟁이란 사실은 조선특수(朝鮮特需)란 용어가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전쟁 동안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에서 발주한 물품과 용역을 합한 금액이 46억 달러에서 5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 금액이 얼마 정도나 되는지를 알아보면 충분히 짐작이 가고도 남을 것이라 생각된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총액을 50억 달러라고 가정하고 통계자료의 취득이 쉬운 미국과 영국의 인플레이션율을 바탕으로 1950년의 50억 달러를 지금의 가치로 환산하면 미국의 경우에는 535억 달러(63조 2천억 원), 영국의 경우에는 2,182억 달러(258조 원)에 이른다.

따라서 일본이 한국전쟁으로 얻은 경제적 이득은 500조 원에 이를 것이라는 말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으며 500조 원이라는 금액은 2020년 우리나라의 전체예산과 맞먹는 정도임을 생각하면 일본경제에 미친 영향이 실로 지대하였음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일본이 이처럼 6·25전쟁으로 조선특수(朝鮮特需)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M4 셔먼 전차의 아카바네 스페셜이란 모델을 들 수 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의 전력을 과소평가했던 미국은 주일미군이 보유하고 있던 공식명칭이 Light Tank, M24였던 일명 M24 채피(M24 Chaffee)라는 경전차를 전장에 투입하게 되는데 북한이 보유하고 있던 소련제 T-34-85를 상대할 수 없게 되자 후속으로 투입했던 것이 M4 셔먼이었다.

M24 채피

 

M4 셔먼

 

M4 셔먼에 아카바네 스페셜(Akabane special)이란 일본어가 붙게 되었던 이유는 M4 셔먼 전차의 개량이 이루어진 곳이 도쿄도에 있는 아카바네(赤羽)란 곳에 위치하고 있던 도쿄병기보급창(東京兵器補給廠)이었기 때문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일본에 주둔했던 미군은 아카바네 주변에 있던 다수의 군사시설들을 일부는 캠프로 사용하고, 일부는 미군이 보유하고 있던 장비를 정비하기 위한 시설로 사용하였는데 이것을 영어로는 TOD(Tokyo Ordnance Depot)라고 부른다.

한국전쟁 동안 최전선에서 후송되는 전차를 비롯한 각종 장비들을 수리하고 정비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던 TOD(Tokyo Ordnance Depot)에서 새롭게 투입할 M4 셔먼의 개량도 담당하게 되었던 것에서 비롯하여 6·25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할 M4 셔먼 전차의 이름 뒤에 아카바네 스페셜이라는 수식어가 붙도록 결정되었던 것이다.

M4 셔먼의 개량은 미국의 BMY(Bowen-McLaughlin York)에서 담당하고 있었는데 75㎜포를 탑재하고 소형 포탑에 76㎜포를 탑재하여 관통력을 높이려고 했던 모델로 끝에 ‘E4’를 붙였던 ‘M4A1E4’와 ‘M4A3E4’가 바로 그것으로 1940년대 말부터 개량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일본에서 아카바네 스페셜을 생산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일본에서 개량한 M4 셔먼 아카바네 스페셜은 한국전쟁에 투입되지 못하고 중단되고 말았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나는 잘 된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미국이 본토의 병력들을 파병하기로 결정하면서 사용하는 전차도 M4 셔먼보다 강한 M26 퍼싱과 M46 패튼을 투입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아카바네 스페셜은 생산되지 않고 종결되었던 것이다.

 

M26 퍼싱

 

M46 패튼

 

이처럼 패전으로 폐허가 된 일본이 고도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계기를 마련해준 대한민국에 대해서 일본은, 식민지배와 태평양전쟁에 동원되었던 조선인에 대한 반인도적인 불법행위에 대하여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하도록 결정한 대한민국 대법원의 판결을 무시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한국의 정치와 경제에 개입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뻔뻔스럽게도 수출규제를 단행하였다.

이런 일본의 아베정권을 생각하면 결코 성공적인 개최를 장담할 수 없게 된 도쿄올림픽을 바라보는 시각이 전혀 안타깝지 않음은 결코 숨기지를 못하겠다.

제1차 세계대전의 숨은 이야기들

제1차 세계대전의 숨은 이야기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운명이라고 하던가요? 이 한 장의 사진 속에서 밝게 웃고 있는 두 사람도 불과 몇 시간 뒤에 죽음을 맞게 될 것이라고는 절대 생각하지 못했겠지요?

 

결혼 14주년을 맞은 1914년 6월 28일, 사진 속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아내 조피는 사라예보를 방문한 자리에서 암살범의 총격으로 사망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게 됩니다.

1914년 7월 28일 개전하여 9백만 이상의 군인과 7백만 이상의 민간인 희생

자를 내고 1918년 11월 11일 종전한 1차 대전에는 우리가 잘 모르는 사실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크리스마스 정전”에 관한 내용은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것을 포함하여 몇 가지만 추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크리스마스 정전

1914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이브에 영국군과 독일군이 일시적으로 정전을 맺고 서로 음식도 나누고 담배도 나눠 피며 축구경기를 갖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1915년 부활절을 맞아 독일군은 다시 정전을 맺으려 제의하였으나 영국군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미국의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의 1914년 12월 31일자 기사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이런 역사적인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2014년 12월 12일 영국 내셔널 메모리얼 아버리텀(Christmas Truce) 수목원에 기념탑을 설치하였습니다.

 

▶ 영국은 입대지원자를 거절해야만 했다.

전쟁을 위해 필요한 병력을 충원하기 위해 영국은 대대적인 모병에 나섰지만 심각한 영양실조로 인해 40% 이상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합니다. 현재 영국남성의 평균시장이 약 180cm 정도인데 당시의 평균신장은 160cm 정도였다고 하는군요.

▶ 영국은 미성년자를 병력으로 채용하였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1·2차 세계대전을 통틀어 정식 군인들 중에서는 소련의 “세르게이 알레시코프(Sergey Aleshkov)”가 6살로 가장 어린 나이로 기록되어 있는데 1차 대전 당시 영국의 공식적인 모병연령은 18세 이상이었지만 굶주림에 고통 받던 많은 미성년자들이 나이를 속이고 입대를 하였다고 합니다.

영국군에 입대한 미성년자는 대략 25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하며 가장 나이가 어린 사람은 불과 12세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캐나다도 2만 명에 달하는 미성년자들을 파병하였습니다.

세르게이 알레시코프(Sergey Aleshkov)

▶ 독일군은 캐나다군을 두려워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캐나다군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는데 “세계최고의 저격수들을 보유한 PPCLI”란 포스팅에서 알아본 것처럼 세계에서 가장 먼거리의 저격에 성공한 Top5 중에서 1위를 비롯하여 3위와 4위 등 3명의 저격수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 바로 캐나다이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국과 영국에 이어서 세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하여 도와주었던 나라입니다.

1차 대전 당시 독일군은 참호를 공격하기 위해 특수한 병종인 “충격보병(Sturmtruppen)”이란 것을 만들었는데 캐나다 군인들을 독일군은 “스트룸트루펜(Sturmtruppen: 영어로 Storm Troopers)”이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고 합니다.

독일군이 캐나다군을 두려워하게 된 것은 “비미 리지 전투(Battle of Vimy Ridge)”와 “파스샹달 전투(Battle of Passchendaele)”에서 보여준 용맹함 때문이었다고 하는데 1차 대전기간 동안 연합군 병사들 중에서 가장 높은 수당을 캐나다군이 받은 것은 우연의 일치만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 성병발생률이 가장 높았던 캐나다군

용맹한 것은 좋은데 성병의 감염율이 높았던 것은 그리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아무튼 캐다군의 성병감염률은 영국군보다 6배나 높았다고 하며 성병에 감염이 되면 그에 대한 처벌로 급여의 지급을 중지하고 12개월 동안 휴가도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 귀족 여성들의 자원입대

국내재벌들의 연이은 갑질이 끊일 줄을 모르는데 영국의 귀족여성들은 자발적으로 “응급의용간호부대(First Aid Nursing Yeomanry)”를 조직하고 전쟁에 자원하였다고 합니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이들은 의용조직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으로 금전과 물품을 제공해야 한다는 조항을 만들고 전쟁터로 몰고 온 자동차는 군에 헌납하여 앰뷸런스로 사용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 고위급 독일군 포로들의 행동은 자유로웠다

독일군 고급간부들은 문서에 서명만 하면 포로수용소를 나와 인근 마을에서 식용품을 구입할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 일부의 연합군 포로들은 호텔에 수용되었다.

전쟁이 계속됨에 따라 독일군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부상의 정도가 심한 포로들은 중립국인 스위스나 네덜란드로 보내거나 돈이 많으면 호텔에 머무를 수가 있었고 가족들의 방문도 허용되었다고 합니다.

 

네덜란드의 “스헤베닝언(Scheveningen)”에 있던 포로수용소에는 너무 많은 미군포로와 캐나다군 포로들이 수용되는 바람에 각각 야구단을 만들어 경기를 갖기도 했다고 합니다.

 

캐나다군 포로들

빅토리아시대에는 애도용 란제리를 입었다.

빅토리아시대에는 애도용 란제리를 입었다.

뚱뚱하든 말랐든 자신의 몸을 사랑하자는 캠페인이 여성들 사이에 확산되는 시대의 흐름을 읽지도 못했을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나 체구가 큰 모델들은 패션쇼에 세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패션잡지 보그의 질문에 “그들은 빅토리아시크릿이 보여주는 ‘판타지’의 본보기가 아니다”라고 대답한 마케팅 최고책임자의 발언으로 불매운동을 초래하게 된 ‘빅토리아시크릿’이라는 업체의 매출감소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빅토리아시크릿(Victoria’s Secret)’이라는 회사의 이름은 영국의 최고 전성기를 이루었던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과 그녀가 재위하던 시대를 말하는 ‘빅토리아 시대(Victorian era)’에서 따온 것이라고 하지요~

빅토리아 여왕은 하얀 피부에 병적인 집착을 보였는데, 희다 못해 창백해 보이도록 화장을 하는 것을 아주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처럼 하얗게 화장을 한 것은 상류층 여성들은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일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부유하다는 것을 자랑하기 위해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군요~

 

그리고, 이런 메이크업을 빅토리아 여왕은 아예 혈관이 보일 정도로 창백하게 하는 것을 좋아했고, 여왕의 이런 기호에 따라 결핵으로 죽어가는 여성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풍조까지 생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편을 얼굴에 바르고 잔 후 아침에 일어나 암모니아로 화장을 하고, 주근깨를 없애고 황갈색의 피부를 희게 해준다고 해서 당시에 쥐를 잡기 위해 약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중독성이 강한 비소를 복용하기까지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희다 못해 창백한 피부에 집착하던 당시에는 여성들이 입던 속옷도 순결을 의미하는 흰색이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첫날밤을 앞둔 신부는 반드시 흰색 속옷을 입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빅토리아시대에는 사람들의 억눌린 욕구가 비밀리에 성행하고 있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창백한 흰색의 피부에 검정색 속옷이 더 아름답게 보인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순결을 의미하는 흰색 속옷 대신에 검정색 속옷을 입는다는 것이 드러내놓고 말할 일은 아니었겠지요~

 

그래서 생긴 문화가 우리말로 장례용 속옷 내지는 애도용 속옷으로 번역할 수 있는 “Mourning Lingerie”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상복을 뜻하는 “Mourning Dress”에서 표현을 따온 것인데 당시의 장례문화는 유교의 장례문화와 유사할 정도로서 부모가 사망하면 1년을, 남편이 사망하면 2년의 애도기간을 가져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절차에 대해서도 아주 세세하게 규정하고 있었음을 ‘콜리어 백과사전(Collier’s Cyclopedia)’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례식과 애도기간에 착용하는 속옷은 실크와 솜털로 만들어진 것이어야 하고, 스타킹은 실크나 캐시미어 또는 검정색의 발브리간(balbriggan)이라고 하는 이집트면으로 만든 것을 신어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이것은 또 하나의 부를 과시하는 수단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상복도 입지 못하는 일반 여성들이 장례식에만 입는 속옷을 따로 준비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기에 어느 작가는 이런 현실을 두고 이렇게 표현했다고 합니다.

그 돈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하다.

그것은 슬픔의 사치다.

태즈매이니아의 쥐새끼들 같으니라구~

태즈매이니아의 쥐새끼들 같으니라구~

요즘 장관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를 보고 있으면 차제에 위장전입 3회 미만, 부동산 시세차익 실현 10억 미만인 자는 후보가 될 수 없다는 내용과 함께 후보자의 병역사항이나 가족의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청문회장에서 질의하면 의원자격을 영구히 상실하도록 한다는 법을 만드는 것이 좋을 듯 싶소이다. 당신들이 하는 일이 법 만드는 것이잖소?

촛불혁명으로 정권이 바뀌고 나서 많은 국민들은 이제는 무언가 달라지겠지? 하는 기대감을 가지면서 새로운 정부에 힘을 실어주었으나 지금은 바꿔봐야 도루묵이라는 자조 섞인 한숨만 내쉬고 있소이다.

누가 당신들에게 사회지도층이란 수식어를 붙였는지는 모르겠소 만은 한글은 읽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내가 얘기 하나 해줄 테니 잘 듣고 생각들 좀 했으면 좋겠소이다.

호주의 태즈매이니아 섬에서 남동쪽으로 약 1,500㎞ 떨어진 곳에는 유네스코가 1977년에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한 매쿼리섬(Macquarie Island)이란 곳이 있소이다.

1810년에 발견된 이 섬은 물개와 바다표범 및 펭귄을 잡아 가죽을 채취하고 고래로부터 기름을 얻기 위한 배들의 전진기지로 사용되면서부터 배에서 상륙한 쥐들이 섬에서 번식하게 되었다오.

그리고 쥐의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자 선원들은 이를 퇴치하기 위해 고양이 몇 마리를 섬에다 풀어놓았는데 이 녀석들의 번식력도 아주 뛰어나서 급속도로 증가하였다고 하오.

그러다가 섬을 발견하고부터 60년이 지난 시점에서 혹시라도 난파한 배의 선원들이 굶어죽지는 않을까 염려하여 또 토끼를 몇 마리 섬에다 풀었다고 하는구려.

그러자 섬에 있던 고양이들이 토끼를 먹이로 삼게 되었고 그런 와중에도 요행히 살아남은 토끼들은 빠르게 번식하여 점점 그 수가 늘어났고 먹잇감이 풍부해짐에 따라 고양이의 개체수도 더욱 증가하였다는구려~

그런데 고양이가 토끼만 먹는 것이 지겨웠는지 이제는 별식으로 섬에 있던 조류들을 잡아먹기 시작했고 마침내는 몇몇 종은 아예 씨가 말라버리는 일이 생겼다고 하오. 우리사회의 중산층이 점점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오.

그러다가 1970년대에 토끼에게 치명적인 병인 ‘점액종증(myxomatosis)’이 섬에 만연하여 그때까지 13만 마리나 되었던 토끼의 개체수는 2만 마리로 격감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먹이가 부족해진 고양이들은 더 많은 새들을 잡아먹기 시작했다오.

이를 보다 못한 환경보호론자들의 활동으로 1985년부터 고양이를 섬에서 퇴치하는 작업을 벌여 마침내 2000년에 마지막으로 남은 한 마리의 고양이를 사살했다는 구려~ 조금 쫄리지 않소? 정치인님네들~

그런데 힘없는 국민들처럼 평화가 온줄로만 알았던 토끼들은 자신들의 숫자가 점차 증가하자 이제는 먹을 것이 부족해서 섬에 있는 식물들을 닥치는대로 먹기 시작했고 이런 피해는 또 다른 서민인 펭귄이 먹을 것이 없어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오고 말았다오. 아래 사진이 바로 토끼들이 닥치는대로 먹어대는 통에 울창했던 숲이 횡뎅그레 변해버린 태즈메이니아의 모습이라오.

사진 출처: 영국 가디언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다구요?

그야 당연한 일 아니겠소! 보다 못한 태즈메이니아를 관리하는 곳과 호주 야생동물보호국에서는 2009년에 토끼 13만 마리를 비롯하여 생쥐 103,000마리, 쥐 36,000마리를 모두 없애버리기로 결정하고 실행에 옮기기로 했다는구려~

말로는 국민들을 위한다고 하면서 정작 본인들을 위해서만 아주 열심히 일하는 정치인님네들도 국민이 열 받으면 태즈메이니아의 쥐와 같은 꼴을 면키는 어려울 것이오.

출처: 위키미디어

쥐에 비유해서 죄송하오이다만은 뭐 인용한 가디언지의 기사에 그렇게 나와 있어서 달리 표현하지 못하는 점은 양해 바라오.

그런데 참 신기하고 부럽기는 하오. 경제는 안 좋다는데 작년보다 재산이 증가한 고위공직자가 72%나 된다는 사실이~ 그리고, 내 얘기가 사실인지 궁금하면 아래에 가디언지의 기사를 링크하니 올 연말 외유가서 읽어들 보시든지~

※ Macquarie Island faces ‘ecosystem meltdown’ after conservation efforts backfire

상어의 공격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낳았던 USS 인디애나 폴리스 침몰사건

상어의 공격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낳았던 USS 인디애나 폴리스 침몰사건

1945년 7월 30일, 태평양전쟁을 끝낼 수 있는 원자폭탄의 재료인 우라늄을 수송하는 극비임무를 수행하고 필리핀의 레이테 섬으로 이동 중이던 미국의 USS 인디애나폴리스함은 일본의 I-58 잠수함의 어뢰공격을 받아 침몰하였다.

침몰 직전 바다에 뛰어들었던 900여 명의 생존자 중에서 구조된 인원은 317명에 불과했는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상어의 공격이었다.

인디애나폴리스호에는 25명이 정원인 구명뗏목 35척이 실려 있었지만 13척 만이 탈출에 성공하였던 까닭으로 2/3에 가까운 인원들은 뗏목을 붙잡거나 뗏목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밧줄을 잡고 바닷물 속에 잠겨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높은 파도로 인해 뗏목 위의 사람들도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형편이어서 그들은 흩어지지 않고 조금이라도 더 안정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구조되기 위한 방편으로 서로의 뗏목을 밧줄로 연결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부상자나 사망한 시체에서 나오는 피냄새에 이끌린 상어떼가 몰려들기 시작했고 상어에 희생당한 숫자만 수십에서 많게는 150여 명에 이르렀다는 것이 생존자들의 증언이다.

그러나 끊임없는 상어의 위협과 함께 바닷물을 마신 인원들은 염분중독으로 신장의 정화능력이 저하되어 호흡이 불규칙해지고 신경마비 증세가 일어나면서 사망에 이르기도 하였고 더러는 저체온증으로 사망에 이르고 또 더러는 정신착란에 의해 서로를 죽이는 일까지 있었다고 한다.

※ 바다에 표류할 때 바닷물을 마신 사람의 사망률은 39%로 마시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3%)보다 13배나 높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이처럼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도록 4일간이나 구조활동이 지체되었던 이유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침몰하기 직전 보낸 구조신호를 해군본부에서 수신하지 못했다는 것이 공식적인 당시의 답변이었지만 나중에 해제된 비밀문서에 따르면 구조신호는 세 차례 레이테의 해군기지에서 수신하였으나 일본군의 기만공작으로 간주하고 무시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면에 도사리고 힜었던 심각한 미군부의 알력을 간과해선 안 된다.

당시 괌을 기지로 하는 태평얌함대 사령부를 지휘하던 니미츠 제독과 레이테 섬에 있는 7함대를 지휘하던 맥아더는 서로 앙숙이었고 그 바람에 서로 교신이 거의 없었던 것도 구조가 지연되는 결과를 가져온 커다란 이유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인디애나폴리스호의 입항이 늦어지자 수색을 위해 2척의 함정을 출동시켰지만 침몰지점과는 동떨어진 지역을 수색하다 철수하는 바람에 더 많은 희생자를 낳고 말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과감한 결단력으로 많은 인원을 구조하는 맹활약을 펼친 사람이 있었으니 그는 바로 아드리안 막스(Adrian Marks) 중위였다.

아드리안 막스 중위(왼쪽)와 극중 아드리안 중위 역을 맡았던 배우 토마스 제인(오른쪽)

 

인디애나폴리스가 침몰한지 4일째 되던 날 정기순찰 중이던 록히드 PV-1 벤추라가 조난자들을 발견하였고 무전연락을 받은 미군은 당시 유일한 덤보(Dumbo: air-sea rescue) 구조기였던 PBY 카탈리나를 출동시켰는데 조종사가 바로 아드리안 막스 중위였던 것이다.

 

PV-1 벤추라

당시 아드리안 막스 중위의 구조활동을 묘사한 영화 USS 인디애나 폴리스의 한 장

 

탁 트인 바다에는 착륙해선 안 된다는 규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드리안 중위는 승무원들의 동의를 얻어 3미터가 넘는 파도가 치는 바다에 착륙하여 모두 56명의 조난자를 무사히 구조할 수 있었는데 아래의 사진이 조난자들 주위를 맴돌고 있는 상어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처럼 많은 스토리를 가진 USS 인디애나 폴리스 침몰사건은 미국과 일본 양국에서 모두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미국은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의 USS 인디애나 폴리스란 제목으로, 일본은 한여름의 오리온(真夏のオリオン)이란 제목으로 개봉하였으나 둘 다 졸 구린 영화라서 보면 시간이 아까울 것이란 점을 말씀드린다.

 

여기서 국내정치의 현주소와 비교할 생각은 없지만 3번의 조난신호를 무시한 미군 지휘부와 상층부의 알력으로 인한 수많은 인명의 희생은 필연적으로 이태원참사를 떠올리게 만든다.

용산구청장과 용산경찰서장에게 책임을 물어 꼬리를 자르는 모습은 인디애나폴리스의 침몰책임을 함장이었던 맥베이 대령에게 전가하여 회피기동을 하지 않았고 배를 버리라는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는 두 가지 혐의로 기소하여 이 중 회피기동에 대한 책임을 물어 유죄판결을 내린 것과 너무도 닮았음을 깨닫게 한다.

나중에 인디애나폴리스를 격침시켰던 일본 I–58의 함장이 맥베이 대령의 책임이 아니라는 증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유죄판결을 내림으로써 맥베이 대령은 1968년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말았다.

그 뒤의 이야기는 예서 멈추어야겠다. 더 하면 욕이 나올 것 같아서…

주일 미해병대의 공중급유 추락사고는 A클래스에 해당

주일 미해병대의 공중급유 추락사고는 A클래스에 해당

지난 6일 미 해병대 제3 해병원정군 소속의 FA-18D 호넷 전투기와 KC-130J 공중급유기가 공중급유 훈련 도중에 충돌하여 추락한 사고가 발생하여 전투기에 탑승했던 2명과 급유기에 탑승했던 5명의 승무원을 합하여 모두 7명의 승무원이 추락하여 이 중 2명은 구조되었고 당일 1명은 사망하고 5명은 실종된 상태였는데 실종자 5명에 대하여 제3해병원정군 사령관 에릭 스미스 중장은 모두 사망하였다고 어제일자로 공식 선언하면서 사고등급을 A클래스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미해병대는 2년 전인 2016년 12월 13일에도 MV-22B와 KC-130이 공중급유 도중에 접촉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MV-22B가 불시착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MV-22B

 

또한 금년 9월 4일에는 항공모함 “USS 에이브러햄 링컨”의 함재기인 F-35C 라이트닝Ⅱ와 F/A-18F 슈퍼 호넷이 공중급유 훈련을 하던 도중, F-35C의 공기흡입구로 급유기인 F/A-18F 슈퍼 호넷의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생긴 “드로그(drogue)”의 파편이 빨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하여 엔진의 손상을 입었는데 다행히 두 대 모두 무사히 착륙은 하였지만 당시의 사고등급은 F-35C 라이트닝Ⅱ가 A클래스, F/A-18F 슈퍼 호넷은 C클래스라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드로그(drogue)

 

미군이 규정하고 있는 항공기사고의 등급은 A부터 D까지 4개의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등급은 인명의 피해와 경제적인 손실을 합하여 아래와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 A클래스:비행기 전체가 손상되거나2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드는 손상이 발생 또는 승무원이 사망하거나 전신에 걸쳐 영구적인 장애가 남는 경우
  • B클래스: 50만 달러 이상200만 달러 이하의 경제적 손실과 승무원이 신체 일부의 영구적인 부상을 당하거나3명 이상이 입원하는 경우
  • C클래스: 5만 달러 이상50만 달러 이하의 손상과1일 이상의 입원이 필요한 부상을 입은 경우
  • D클래스: 2만 달러 이상5만 달러 이하의 손상과A, B, C클래스로 분류되지 않는 부상을 입은 경우

상기와 같은 규정에 의거하여 이번의 사고는 A클래스로 규정되었는데 이처럼 위험한 공중급유를 계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이전의 포스팅 “전투기의 연비는 얼마나 될까?”와 전투기에는 무기를 얼마나 탑재할 수 있을까?”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공중급유는 항속거리를 연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투기의 무장을 최대로 탑재하게 되면 최대이륙중량을 초과하여 이륙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연료를 만재하지 않고 우선 이륙한 다음 공중에서 급유하여 무장탑재량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함 때문입니다.

즉, 군에서는 최대한으로 무장을 하고 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륙하여 비행하다가 중간에서 공중급유를 받아 연료를 보충하는 무장탑재량을 우선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기온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제트엔진의 특성에 따라 온도의 상승에 따른 추력의 감소는 필연적으로 최대이륙중량의 감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현대전에서의 공중전은 공중급유기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므로 미국은 항공모함에서 이륙할 수 있는 무인공중급유기 “MQ-25A”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야간작전의 위험과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전 세계 공중급유기의 80% 정도인 600여 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이번 사고로 운명을 달리한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일본의 집중호우 피해는 백 빌딩 현상 때문

일본의 집중호우 피해는 백 빌딩 현상 때문

(2018년 7월)9일 오후 10시 현재로 사망자가 123명, 실종자가 61명에 이르는 일본의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는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 우리가 흔히 집중호우라고 부르는 것은 한 시간에 30mm 이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몇 시간 동안 계속해서 강한 비가 퍼붓는 현상은 소나기를 내리는 적란운 덩어리(강수 셀)가 단일 셀(single cell)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런 단일 셀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다중 셀(multi cell)형 뇌우를 형성하면서 강한 비가 몇 시간 동안 내리거나 단일 셀의 규모가 아주 큰 슈퍼 셀 형을 이룸으로써 집중호우가 내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상기와 같은 구분은 미국의 블루스타인(Bluestein)의 연구에 따른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의 기상학자 오구라 요시미츠(小倉義光: 일리노이 대학의 명예교수이기도 함)가 1980년대의 집중호우를 분석하여 백 빌딩(back building) 형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정확하게는 백 앤드 사이드 빌딩(Back and Side building)이라고 부릅니다.

백 빌딩 현상은 적란운이 연속해서 발생하고 이 때문에 폭우가 내리는 것을 말하는데 적란운의 바람으로 다음 적란운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모습이 흡사 빌딩이 즐비해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것입니다.

 

백 빌딩 현상으로 인한 일본에서의 피해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며 2014년 히로시마에서 77명의 사상자를 낸 산사태(토사재해)의 원인도 바로 이 백 빌딩 현상에 의한 집중호우 때문이라고 하며 재해대책이 어느 나라보다도 잘 구축되어 있다는 일본에서 이번과 같은 큰 피해를 예방하지 못한 이유에는 발생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백 빌딩 현상이란 것도 주요한 이유 가운데의 하나라고 합니다.

 

며칠 동안 내리던 비가 멈추고 오늘부터는 다시 무더위가 찾아온다고 합니다. 많은 낚시인들 사이에 예보의 부정확함 때문에 ‘구라청’으로 불리고 있는 ‘기상청’을 아예 없애달라는 국민청원도 올라온 것을 보았는데 개인적으로는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지만 우리의 기상청도 국민의 신뢰를 받는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