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도미(돔) 류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도미(돔) 류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FAO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1년 모두 12,870톤의 돔류 물고기를 어획 및 양식을 통해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985년
19,873
23
19,896
1986년
17,815
60
17,875
1987년
23,061
106
23,167
1988년
18,269
1
18,270
1989년
15,379
129
15,508
1990년
20,694
228
20,922
1991년
21,567
356
21,923
1992년
20,610
117
20,727
1993년
16,147
142
16,289
1994년
17,335
83
17,418
1995년
10,621
25
10,646
1996년
9,059
43
9,102
1997년
8,797
115
8,912
1998년
8,809
146
8,955
1999년
9,240
268
9,508
2000년
9,491
633
10,124
2001년
7,174
916
8,090
2002년
11,856
1,879
13,735
2003년
8,982
6,788
15,770
2004년
9,178
6,797
15,975
2005년
9,770
10,535
20,305
2006년
8,270
8,780
17,050
2007년
9,640
11,163
20,803
2008년
10,972
9,455
20,427
2009년
12,991
11,838
24,829
2010년
12,260
9,465
21,725
2011년
10,542
5,453
15,995
2012년
10,117
4,684
14,801
2013년
9,530
4,466
13,996
2014년
4,911
6,013
10,924
2015년
2,900
8,618
11,518
2016년
2,887
8,165
11,052
2017년
2,813
8,584
11,397
2018년
3,862
6,590
10,452
2019년
3,163
6,536
9,699
2020년
3,183
6,425
9,608
2021년
3,457
9,413
12,870
우리나라의 돼지 사육두수 통계

우리나라의 돼지 사육두수 통계

FAO의 통계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111여 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세한 통계는 아래와 같다.

 

연도
단위: 만 마리
1990년
452.8
1991년
504.6
1992년
546.3
1993년
592.8
1994년
595.5
1995년
646.1
1996년
651.6
1997년
709.6
1998년
754.4
1999년
786.4
2000년
821.4
2001년
872.0
2002년
897.4
2003년
923.1
2004년
890.8
2005년
896.2
2006년
938.2
2007년
960.6
2008년
908.7
2009년
958.5
2010년
988.1
2011년
817.1
2012년
991.6
2013년
991.2
2014년
1,009.0
2015년
1,018.7
2016년
1,036.7
2017년
1,127.3
2018년
1,133.3
2019년
1,128.0
2020년
1,107.8
2021년
1,121.7
2022년
1,111.1
우리나라의 명목GDP 변동추이(UN통계)

우리나라의 명목GDP 변동추이(UN통계)

1990년부터 2022년까지 UN의 통계로 본 우리나라의 명목GDP의 변동추이로서 적용한 환율은 1: 1,300원이다.

2020년 세계 10위를 기록했던 우리나라는 2021년에 11위, 2022년에는 13위를 차지하였다.

 

연도
금액(조 원)
`1990년
368.3758
`1991년
429.8411
`1992년
462.1825
`1993년
510.4658
`1994년
602.706
`1995년
736.5553
`1996년
793.2171
`1997년
740.6815
`1998년
498.3316
`1999년
646.7682
`2000년
749.0327
`2001년
711.9528
`2002년
815.4211
`2003년
913.5295
`2004년
1031.1288
`2005년
1215.3713
`2006년
1369.1821
`2007년
1524.3982
`2008년
1361.5407
`2009년
1227.1246
`2010년
1487.2871
`2011년
1629.1899
`2012년
1661.9564
`2013년
1782.0335
`2014년
1929.6134
`2015년
1905.5049
`2016년
1950.1456
`2017년
2111.0713
`2018년
2242.1815
`2019년
2146.5899
`2020년
2137.6069
`2021년
2363.9616
`2022년
2176.0921

우리나라의 원유 수입액 통계

우리나라의 원유 수입액 통계

유엔 무역개발회의(UNCATD)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월 29일자의 달러화 매매기준율로 환산할 때 우리나라는 2022년에 모두 1,059억 6,400만 달러의 원유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사용한 원유란 개념은 국제표준무역분류(SITC: 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Rev.3의 333의 기준에 따라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정제품은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환율은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1: 1,300원을 적용하였다.

 

연도
억 원
1995년
140,517
1996년
187,616
1997년
231,036
1998년
146,133
1999년
192,179
2000년
327,808
2001년
277,784
2002년
249,600
2003년
300,066
2004년
388,921
2005년
553,878
2006년
726,245
2007년
784,212
2008년
1,116,115
2009년
659,841
2010년
892,606
2011년
1,310,478
2012년
1,407,874
2013년
1,291,329
2014년
1,234,636
2015년
716,560
2016년
575,835
2017년
774,839
2018년
1,045,109
2019년
913,276
2020년
578,006
2021년
871,260
2022년
1,377,532

전세계 가리비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전세계 가리비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가리비를 먹고 있을까?’란 제목의 포스팅을 통해 일본산 가리비의 수입이 2001년에 비해 10배 이상이나 많이 수입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는데 해양수산부가 펴낸 ‘2020년 수산물 생산 및유통산업 실태조사’의 <표 2-4> 우리나라 천해양식어업의 부류별․품종별 생산량 추이를 보면 2020년도 우리나라의 가리비 총생산량은 5,591톤이라고 한다.

일본은 얼마나 많은 양의 가리비를 생산하기에 우리나라에서 1년에 생산하는 가리비에 해당하는 물량을 우리나라로 수출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일본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가리비를 생산하고 있을까? 지금부터 그 실태를 알아보도록 하자.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일본
346,000
2
미국
185,256
3
캐나다
63,412
4
페루
48,163
5
프랑스
34,189
6
아르헨티나
33,355
7
영국
23,306
8
러시아
10,848
9
호주
6,644
10
페로 제도
6,603
11
태국
4,785
12
멕시코
1,804
13
아일랜드
1,572
14
맨섬
1,544
15
그린란드
540
16
벨기에
510
17
칠레
447
18
채널 제도
392
19
노르웨이
270
20
스페인
265
21
이탈리아
218
22
인도네시아
190
23
뉴질랜드
141
24
대한민국
131
25
생피에르 미크론
87
26
크로아티아
53
27
필리핀
47
28
네덜란드
20
29
아이슬란드
2
30
그리스
1
합 계
770,795

 

순위
국가명
생산량(톤)
1
중국
1,746,238
2
일본
151,000
3
페루
47,581
4
러시아
16,259
5
대한민국
5,591
6
칠레
4,367
7
북한
400
8
캐나다
123
9
브라질
34
10
노르웨이
11
11
영국
4
합 계
1,971,608

 

멸종위기에 처한 전 세계의 전복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멸종위기에 처한 전 세계의 전복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전복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지정하는 레드리스트에 올랐다.

전복이 멸종위기에 처한 가장 큰 이유는 무분별한 남획과 지구온난화인데 지구상에서 전복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중국은 상어지느러미와 해삼, 물고기 부레와 더불어 전복을 포함한 4가지를 4대해미(四大海味)로 일컬으며 범죄조직까지 가담하여 남아프리카 등지의 바다에서 전복류를 남획하고 있어서 국제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식전복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우리는 이전보다 쉽고 저렴하게 전복을 맛볼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2020년 전복 어획량은 1991년의 28.5%에 불과할 정도로 크게 감소하였다.(단위:톤)

 

반면 양식전복의 생산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에는 20,059톤을 생산하였는데 이는 중국의 양식전복 생산량의 10% 정도에 불과한 양이다.​

 

전세계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는 중국의 수산업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도 지적하였지만 중국의 싹쓸이조업은 지구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임과 아울러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이기에 부르노 오벨리 IUCN 사무총장의 말대로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하겠다.

그러면 전세계의 2020년 전복 어획량과 생산량의 통계를 그림과 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 2020년 전세계 전복 어획량(단위: 톤)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호주
2,309
2
일본
700
3
뉴질랜드
585
4
멕시코
485
5
필리핀
166
6
대한민국
107
7
남아프리카
45
8
프랑스
11
9
채널 제도
1
10
스페인
1
합 계
4,409

■ 2020년 전세계 양식 전복 생산량(단위: 톤)

 

순위
국가명
생산량(톤)
1
중국
203,485
2
대한민국
20,059
3
남아프리카
1,977
4
칠레
939
5
호주
549
6
대만
210
7
미국
154
8
멕시코
105
9
뉴질랜드
50
10
프랑스
7
11
태국
2
합 계
227,536

우리나라의 전복 생산량 (채집+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전복 생산량 (채집+양식) 통계

‘멸종위기에 처한 전복의 생산량(어획/양식) 통계’란 포스팅을 통해 전복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지정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전 세계의 전복 생산량을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우리나라의 전복 생산량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자.

FAO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는 채집과 양식을 통해 모두 2만 3,301톤의 전복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전 세계 전복 생산량의 9.3%, 중국의 생산량 217,831톤의 10.7%에 해당한다.

    

 

연도
어획(톤)
양식(톤)
합계(톤)
2000년
113
20
133
2001년
104
29
133
2002년
75
85
160
2003년
94
1,065
1,159
2004년
101
1,260
1,361
2005년
202
2,062
2,264
2006년
170
3,050
3,220
2007년
259
4,350
4,609
2008년
172
5,146
5,318
2009년
226
6,207
6,433
2010년
235
6,228
6,463
2011년
165
6,779
6,944
2012년
173
6,564
6,737
2013년
124
7,479
7,603
2014년
185
8,977
9,162
2015년
149
10,090
10,239
2016년
96
12,343
12,439
2017년
112
16,027
16,139
2018년
113
20,050
20,163
2019년
117
18,436
18,553
2020년
107
20,059
20,166
2021년
102
23,199
23,301
우리나라의 볼락 및 쏨뱅이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의 볼락 및 쏨뱅이 어획량 통계

겨울철 루어낚시의 대표적인 인기어종인 볼락보다 맛있는 구이는 개인적으로 없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FAO의 자료는 비록 쏨뱅이와 볼락을 구분하지 않은 것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의 볼락과 쏨뱅이를 합산한 어획량의 통계를 알아보자.

​​

 

연도
1985년
5,927
1986년
7,086
1987년
24,408
1988년
18,810
1989년
36,240
1990년
20,846
1991년
11,600
1992년
21,664
1993년
10,291
1994년
5,823
1995년
5,901
1996년
7,106
1997년
18,155
1998년
19,339
1999년
15,216
2000년
13,796
2001년
14,684
2002년
22,073
2003년
30,705
2004년
25,183
2005년
26,596
2006년
33,269
2007년
42,203
2008년
39,392
2009년
37,894
2010년
25,264
2011년
21,966
2012년
27,866
2013년
27,933
2014년
28,782
2015년
23,109
2016년
21,797
2017년
26,187
2018년
26,908
2019년
24,720
2020년
25,519
2021년
20,989

노르웨이의 연어 및 송어류의 양식 생산량 통계

노르웨이의 연어 및 송어류의 양식 생산량 통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어를 양식하고 있는 노르웨이는 2050년에는 500만 톤의 양식 연어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다.

1959년부터 시작된 노르웨이의 연어 양식이지만 1980년만 해도 송어류를 합한 생산량이 7,980톤 정도에 그쳤으나 그 뒤 급속도로 규모가 커지면서 2021년에는 166만 톤 규모로 발전하였다.

 

연도
생산량(톤)
1985년
34,617
1986년
49,217
1987년
55,241
1988년
88,102
1989년
115,017
1990년
149,947
1991년
160,705
1992년
130,870
1993년
164,132
1994년
217,088
1995년
276,499
1996년
320,744
1997년
366,226
1998년
409,426
1999년
474,343
2000년
489,121
2001년
508,185
2002년
546,373
2003년
578,747
2004년
627,581
2005년
645,818
2006년
693,554
2007년
822,082
2008년
823,428
2009년
937,402
2010년
994,695
2011년
1,123,689
2012년
1,307,072
2013년
1,240,156
2014년
1,327,627
2015년
1,376,612
2016년
1,321,805
2017년
1,303,694
2018년
1,350,636
2019년
1,448,050
2020년
1,485,199
2021년
1,660,694

일본산 활어 수입통계(2011년~2020년)

일본산 활어 수입통계(2011년~2020년)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이 누출된 사고가 발생한 이후,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최근에 와서는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겠다는 결정을 내림으로써 더욱더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에 대한 모두의 경각심은 높아지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통계’란 포스팅을 시작으로 일본산 활어의 수입에 대한 실태를 몇 차례에 걸쳐 포스팅하였다.

국민의 우려와는 달리 겨울철이면 방송사들은 앞다투어 ‘제철 방어’ 운운하는 제목으로 대부분이 일본에서 수입되는 방어를 홍보하기에 여념이 없지만 그러는 한편에서는 일본산 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오늘은 우리가 얼마나 많은 일본산 활어를 먹고 있는지를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2020년의 대일(對日) 활어의 수출입 통계를 보면 수출은 넙치와 붕장어가 주도하고 있지만, 일본에서 수입하는 방어와 기타 어종의 수입보다 적어서 전체로는 203억 7천만 원의 무역역조를 보이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일본불매운동이 시작된 2019년에는 전년 대비 1.8%가 감소하였지만 방어의 수입량은 전년 대비 40%가 증가하여 얼마나 많은 일본산 방어가 수입되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잠깐, 수입된 활어의 구분에서 기타라고 하는 항목은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아보고 가도록 하자.

HS코드에서 방어는 0301992000이고 기타로 구분하는 0301994090은 돔 종류의 물고기로 참돔, 감성돔, 돌돔, 벵에돔, 기타돔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즉, 일본에서 수입하는 활어는 방어와 돔 종류가 대부분이고 2017년부터는 능성어가 그 뒤를 잇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활어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어와 돔, 능성어의 수입물량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통계로 알아보도록 하자. 일본불매운동이 한창일 때도 방어의 수입액은 증가했음은 이미 알아본 바가 있지만~

※ 이전의 통계와 금액의 차이가 나는 것은 적용환율 때문이며, 오늘 포스팅에 적용한 환율은 미국 달러화에 대한 2021년 5월 21일자의 매매기준율을 적용하였다.

 

대일 활어 수입통계

연도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
2011년
365억 6천만원
2012년
280억 4천만원
85억 2천만원 감소
2013년
255억 4천만원
25억원 감소
2014년
241억 8천만원
13억 6천만원 감소
2015년
253억 1천만원
11억 3천만원 증가
2016년
341억 2천만원
88억 1천만원 증가
2017년
361억 1천만원
19억 9천만원 증가
2018년
583억 3천만원
222억 2천만원 증가
2019년
572억 6천만원
10억 7천만원 감소
2020년
571억 8천만원
8천만원 감소

대일 활방어 수입통계

연도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
2011년
5억 7천만원
2012년
8억 1천만원
2억 4천만원 증가
2013년
9억 6천만원
1억 5천만원 증가
2014년
17억 1천만원
7억 5천만원 증가
2015년
25억 6천만원
8억 5천만원 증가
2016년
43억 9천만원
18억 3천만원 증가
2017년
76억 3천만원
32억 4천만원 증가
2018년
168억 6천만원
92억 3천만원 증가
2019년
237억 3천만원
68억 7천만원 증가
2020년
251억 6천만원
14억 3천만원 증가

대일 활돔 수입통계

연도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
2011년
314억 1천만원
2012년
234억 1천만원
80억원 감소
2013년
199억 8천만원
34억 3천만원 감소
2014년
178억 9천만원
20억 9천만원 감소
2015년
184억 3천만원
5억 4천만원 증가
2016년
256억 7천만원
72억 4천만원 증가
2017년
238억 9천만원
17억 8천만원 감소
2018년
351억 4천만원
112억 5천만원 증가
2019년
284억 2천만원
67억 2천만원 감소
2020년
281억 2천만원
3억원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