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좌의 게임 배경이 된 글렌코 대학살

왕좌의 게임 배경이 된 글렌코 대학살

허무하게 끝을 맺은 ‘왕좌의 게임’ 시리즈는 시즌 8까지 방영되는 동안 수많은 화제를 만들었는데 아직도 시청자들의 뇌리에 남아 있는 장면들 가운데에는 시즌3에서 방영되었던 제9화 ‘피의 결혼식’도 포함되어 있을 것 같다.

북부의 왕과 그에게 충성하는 사람들이 결혼식에서 학살당하는 장면은 왕좌의 게임의 작가인 조지 R.R. 마틴(George R. R Martin)이 밝힌 것과 같이 스코틀랜드의 역사에 나오는 두 사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조지 R.R. 마틴(George R. R Martin)에게 영감을 준 두 가지 사건은 첫 번째가 블랙 디너(Black Dinner)라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글렌코 대학살(Massacre of Glencoe)이었다.

1440년에 일어난 블랙 디너(Black Dinner)는 블랙 더글라스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던 스코틀랜드 클랜 더글라스(Clan Douglas) 가문의 힘이 강력해지자 이를 견제하기 위하여 클랜 더글라스(Clan Douglas) 가문의 권력자들을 제임스 2세가 식사에 초대한 다음 죽인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임스 2세가 초대를 한 것이 아니라 당시 스코틀랜드의 지방장관이었던 윌리엄 크로이턴(William Croichton)이 초대를 한 것이었고, 초대 받아 만찬에 참석했던 16세의 윌리엄 더글라스(William Earl of Douglas)와 10세의 데이빗 더글라스는 재판을 받고 참수형에 처해지는데 형이 죽었다는 사실을 모른 채 형만은 살려달라고 애원했던 10세의 동생 데이빗은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블랙 디너(Black Dinner) 사건은 아직까지도 실제냐 허구냐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고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형을 먼저 죽여 만찬의 요리로 내어온 검은 황소의 머리와 함께 윌리엄스의 머리를 테이블에 가지고 왔다는 이야기도 존재하고, 형인 윌리엄은 참수형에 처하게 되자 동생을 먼저 참수할 것을 요구하고 나중에 자신이 처형당함으로써 두 형제가 모두 사망하였다는 얘기도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설(說)들이 있지만 클랜 더글라스(Clan Douglas) 가문의 장자였던 윌리엄 더글라스(William Earl of Douglas)가 간계(奸計)에 의해 죽임을 당한 것은 분명하다.

두 번째로 왕좌의 게임에 영감을 주었던 역사적인 사건은 1692년 2월 13일에 일어났던 하이랜더 지방의 글렌코(Glencoe)학살사건인데 이념논쟁으로 날을 보내고 있는 작금의 우리 정치판의 모습이 투영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만드는 사건이기도 하다.

 

1688년 영국에서는 명예혁명이 일어났는데 왕위에서 쫓겨난 제임스 2세가 스코틀랜드 계의 스튜어트 왕조였다는 사실 때문에 스코틀랜드에서는 불만이 팽배해 있었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새롭게 즉위한 윌리엄 3세는 이런 불안요소를 없애기 위해 충서서약을 강요하였는데 충성서약을 하지 않으면 토지와 가옥의 몰수 및 파괴는 물론이고 가문의 우두머리는 처형을 당했기에 누구도 이를 거부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피치 못할 사정이 있기 마련이고 천재지변과 같은 사람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일들도 존재하기 마련인데, 이런 불가피한 이유로 충성서약을 제때 하지 못한 동족을 같은 스코틀랜드 사람이 나서서 무자비하게 살상을 했던 사건이 바로 글렌코(Glencoe)학살이다.

1692년 1월 1일까지 모두 충성서약을 마치라는 명령이 내려졌지만 꽁꽁 얼어붙은 추운 겨울철의 스코틀랜드 날씨는 맥도날드 가문의 우두머리였던 알라스데어 맥케인(Alasdair MacIain)에게 늦게서야 전달이 되었고 기한을 넘긴 1월 6일이 되어서야 충성서약을 마칠 수 있었다.

비록 늦기는 했지만 서약을 마쳤다는 안도감에 취해 있던 알라스데어 맥케인(Alasdair MacIain)과는 달리 하이랜드 지방에서 서로 앙숙이었던 캠벨 가문은 이를 빌미로 맥도날드 가문을 없앨 흉계를 꾸몄고, 스코틀랜드에 왕의 권위를 보이고자 했던 윌리엄 3세의 속셈과 맞아떨어져 (살상)명령서가 만들어지게 된다.

명령서는 1962년 2월 12일자로 전달되었지만 이런 흉계를 감춘 병력이 글렌코에 도착한 것은 11일 전인 1962년 2월 2일이었으며, 당시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지방에서는 손님들을 융숭하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어서 세금을 추징하기 위해서 왔다는 병사들을 10일 동안이나 환대하는 잔치를 벌이게 된다.

그러나 2월 12일 학살의 우두머리인 로버트 캠벨에게 전해진 명령서를 보면 당시 400여 명에 불과했던 주민 모두를 죽이라는 내용이 담겨져 있는데 전해지는 명령서의 사본에는 아래의 내용이 담겨있다.

“귀관에게 70세 미만의 반역자들을 모두 처단할 것을 명령함과 아울러 특히 늙은 여우(알라스데어 맥케인)와 그의 아들들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주의하고 모든 도로를 차단하도록 하라. 나는 새벽 5시에 도착할 예정이며 그에 맞추어 처형을 시작하고 신속히 마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만일 내가 정해진 시간에 도착하지 못한다면 나 없이 작전을 실시하라.(後略)”

이렇게 실시된 학살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게 되고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40명은 도망치다가 동사(凍死)하거나 방화로 인해 불에 타서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렇게 숨진 사람 78명은 당시 글렌코의 인구 20%에 해당하는 숫자였으며, 학살을 꾸민 자들의 바람과는 달리 알라스데어 맥케인(Alasdair MacIain)은 침대에서 죽음을 맞이하지만 그의 아내와 아들, 그리고 손자는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다고 한다.

 

글렌코(Glencoe)학살 이후, 손님들을 환대했던 사람들을 죽인 캠벨가문은 비겁하고 비열한 집단으로 취급받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이런 풍습은 이어져 글렌코의 술집들 중에는 행상과 캠벨가문 사람은 사절한다는 푯말을 붙여놓은 곳도 있다고 한다.

네덜란드의 정치가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죽음을 돌아보며

네덜란드의 정치가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죽음을 돌아보며

네덜란드 해군은 요한 드 비트(HNLMS Johan de Witt)라는 16,800톤의 도크형 상륙함(Dock landing ship)을 보유하고 있다.

이 상륙함의 이름은 네덜란드 역사상 위대한 외교가로 평가받는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인데 2020년을 보내면서 가뜩이나 코로나로 인해 불안한 사회분위기에 기름을 끼얹고 있는 한심한 국내 정치판을 보면서 오늘은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수학자였던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얘기를 해볼까 한다.

1625년 9월 4일에 태어나 46세의 나이인 1672년 8월 20일에 세상을 떠난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생애에 대하여는 포털의 정보를 참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의 죽음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

 

공교롭게도 그의 죽음에는 “왕좌의 게임 배경이 된 글렌코 대학살”이란 포스팅에도 등장했던 윌리엄 3세가 관련되어 있다.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던 것은 윌리엄 3세가 공개한 영국의 찰스 2세로부터 받았다는 편지였는데 그 편지에서 “영국이 네덜란드를 상대로 전쟁에 나섰던 것은 드 비트파의 침략 때문이었다.”다고 찰스 2세가 말하였다고 밝힘으로써 민심을 들끓게 만들었고 그것이 도화선이 되어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는 죽음을 맞게 되었던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윌리엄 3세가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죽음에 관여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러나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를 사망케 한 주모자들을 기소하지 않았으며 일부에게는 상을 주기까지 한 것으로 보건대 윌리엄 3세가 배후에 있었다고 보는 것은 합리적이 아닐까 싶다.

범죄혐의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기소조차 하지 않는 한국 검찰의 모습과 닮았다는 점과, 정적(政敵)을 제거하기 위해 거짓으로 대중을 선동하는 한국 정치인들의 모습과 너무 흡사하여 씁쓸하기만 하다.

그러면 지금부터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가 사망한 8월 20일의 2개월 전인 6월 21일로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도록 하자.

1672년 6월 21일,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는 헤이그에서 반 데르 그라페(Van der Graeff) 형제와 그들의 친구로 구성된 4명의 괴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날 도르드레흐트(Dordrecht)에 있던 그의 형 코르넬리스(Cornelis de Witt)의 집에도 4명의 괴한이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우연의 일치였을까?

그 뒤 7월 7일에는 빌럼 티힐라(Willem Tichelaar)라는 사람이 코르넬리스 드 비트(Cornelis de Witt)를 찾아오는데 이것도 냄새가 나지만 증거는 없으며 요한 드 비트와 그의 형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결정타를 제공한다.

빌럼 티힐라(Willem Tichelaar)는 형인 코르넬리스가 통치하던 지방에서 이발사와 외과의사를 겸하던 사람이었는데 2년 전인 1675년에 강간미수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던 것을 최소해달라고 코르넬리스를 찾아갔었으나 손님이 있어 만나지 못하고 돌아와야 했는데 여기서 말이 바뀌게 되는 것이 최근 우리 사회를 갈라놓고 있는 표창장과 관련한 재판과 절묘하게 오버랩 된다.

코르넬리스를 만나지 못하고 돌아 나온 빌럼 티힐라(Willem Tichelaar)는 갑자기 코르넬리스가 윌리엄 3세의 암살을 계획하고 있는데 그에게 참가할 것을 물어봤다는 말을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코르넬리스와 빌럼 티힐라는 구속이 되는데 네덜란드의 사료(史料)에 의하면 코르넬리스는 암살죄로, 티힐라는 위증죄로 기소가 되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티힐라는 무죄판결을 받고 자유의 몸이 된다.

그러나 교도소인 게방겐푸트(Gevangenpoort)에 수감되어 있던 코르넬리스는 동생인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풀려나지 못하고 8월 19일에는 잔인한 고문을 받기에 이른다.

한편 8월 20일 아침 9시 30분에 석방된 빌럼 티힐라(Willem Tichelaar)는 모여든 군중을 향해 자기가 풀려난 것은 무죄임이 입증되었기 때문이고, 코넬리스가 풀려나지 못한 것은 유죄가 입증되었기 때문이었다고 소리친다.

당시 네덜란드의 민심은 영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피폐해져 있었던 터라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로부터 등을 돌리고 있었는데 그런 그의 형이 윌리엄 3세를 암살하려 했다는 거짓말은 성난 민심에 불을 지르는 형국이 되었던 것이다.

코넬리스가 1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자 동생인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 즉시 항소를 제기하고 소송비용을 납부한 다음, 11시경에 법정을 나서려고 했다.

그러나 그들이 문을 열고 나서자 성난 군중들은 “반역자들이 나온다.”고 고함을 질렀다. 이런 상황에서 경비원들은 “감옥으로 돌아가거나 아니면 총을 맞으라!”라는 말을 했다고 하니 당시 두 형제의 마음은 어땠을까?

징역 4년의 형을 선고하고 나서 피고에게 소감이 어떤지 물어봤다는 어느 판사와 경비원이 무엇이 다른가?

아무튼 생명의 위협을 느낀 두 형제는 경비원들에게 또 다른 문은 없는지 물었지만 그 곳을 벗어날 수 있는 다른 출입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없다고 대답하는 경비원들로 인해 갇히는 신세가 되고 만다.

한편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 형제의 소식을 들은 네덜란드 평의회는 현장에 있던 경비대에게 두 형제를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하면서 15마일(24㎞) 떨어진 거리에 있던 윌리엄 3세에게는 병력을 추가로 보내달라는 요청을 한다.

그러나 윌리엄 3세는 이 요청을 거부하였고 현지에 있던 경비대의 지휘관이었던 클로드 드 틸리(Claude de Tilly) 백작은 병력을 마을에 진입하는 다리에 배치하라는 명령을 어기고 아예 철수시켜버리고 마는데 그때가 오후 4시 무렵이었다.

경비대가 철수하자 성난 군중들은 감옥으로 쳐들어가서 드 비트 형제를 무참히도 살해하게 되는데 이것은 윌리엄 3세의 측근인 오데이크(Odijk)와 쥴리스타인(Zuilestein), 그리고 트롬프(Tromp) 3사람의 치밀하게 짜여진 각본에 의한 것이었음이 나중에 밝혀졌다.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는 군중이 쏜 총에 맞아 사망하였고, 그의 형 코르넬리스 드 비트(Cornelis de Witt)는 머스킷 총의 개머리판에 머리를 맞고 쓰러진 다음 다시 총알세례를 받고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폭도로 변한 군중의 광기는 그칠 줄을 몰랐고 두 사람의 시체를 끌고 나와 헤이그의 랑게비벨르크(Lange Vijverberg)에 있던 공개처형장인 그로네 즈지에(Groene Zoodje)에 거꾸로 매달고 시체를 유린하기 시작하였으며 광기가 극에 달한 군중은 살갗을 벗기고 심장과 장기를 꺼내는가 하면 일부는 시신을 먹기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그날의 참혹한 광경은 화가인 얀 드반(Jan de Baen)이 그림으로 기록한 것이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들의 시신에 걸린 죄명은 동생인 요한 드 비트(Johan de Witt)에게는 ‘Land Prince’, 형인 코르넬리스 드 비트(Cornelis de Witt)에게는 ‘Water Prince’라고 적혀있었다.

죄명에 적힌 프린스(Prince)는 두 형제의 실제 죄명은 암살음모가 아니라 오라녜 공(Prince of Orange)의 정적(政敵)이란 이유 때문이었다는 것을 잘 나타낸다는 것이 후세 역사가들의 평가다.

그렇게 유린된 두 형제의 시신은 친구들과 가문의 하인들에 의해 다음날 새벽 1시 무렵이 되어서야 수습될 수 있었고, 너무 심하게 훼손되어 몸에 난 상처로 누구인지 구별할 수 있었다고 한다.

크네우테르디크(Kneuterdijk)의 집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1672년 8월 22일, 신교회(Nieuwe Kerk)의 지하실에 안장되었으며 그로부터 5년 뒤인 1677년 2월 25일에는 유명한 철학자 바뤼흐 스피노자(Baruch Spinoza)가 그 곁에 안장되었다.

 

거짓말로 두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빌럼 티힐라(Willem Tichelaar)는 그 공(?)을 인정받아 윌리엄 3세로부터 매년 400길더의 돈을 지급받고 직업도 얻었으나 그의 파렴치한 행동이 발각되어 몇 년 뒤에 해고되었으며 윌리엄 3세가 사망한 뒤에는 돈줄마저 끊어져 노년기에는 목발을 짚고 구걸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한국전쟁의 스미스부대와 죽음의 행진

한국전쟁의 스미스부대와 죽음의 행진

해마다 7월이 되면 오산시의 외삼미동에 위치한 유엔군초전기념비 경내에서는 “UN군 초전기념 및 스미스부대 전몰장병 추도식”이 열립니다.

이것은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나서 UN군으로는 최초로 배치되었던 미 제24사단 스미스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Smith) 장병들이 죽미령에서 북한군과 교전을 벌이다 희생된 것을 추도하기 위해 열리는 것인데 참전용사들 중에서 생존하고 계신 분들을 초청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스미스 부대원 들 중에서 포로가 되었다가 휴전과 함께 풀려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언론은 보지를 못했고, 그들의 험난하고 견디기 어렸던 이송과정에서의 사실들이 알려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글을 작성해봅니다.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미 제8군 제24사단 제21연대 제1대대장 찰스 스미스(Charles B. Smith)중령의 이름을 따서 스미스 부대(Task Force Smith)로 불리는 이 부대의 예하부대는 B중대와 C중대로 편성되어 있었습니다.

오산전투의 결과 540명의 스미스 부대원들 중에서 150명이 전사하고 장교 5명과 사병 26명이 실종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웨인 존슨(Wayne Archer “Johnnie” Johnson)이란 사람에 의해 1996년에 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민간인을 포함하여 총 835명의 포로들 중에서 496명이 사망하였고 웨인 존슨은 사망한 사람들의 이름과 출신국가 및 도시와 소속부대 그리고 사망한 날짜를 기록해서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웨인 존슨(Wayne Archer “Johnnie” Johnson)

 

1931년 미국의 오하이오 주에서 태어난 웨인 존슨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21연대의 L중대 소속이었고 1950년 7월 11일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을 때 그의 나이는 18세였습니다.

이런 그가 작성한 사망자들의 목록 중에는 21연대 소속의 장병들이 모두 182명이나 되고, 그 가운데 스미스 부대(Task Force Smith)의 B, C중대 장병들은 각각 3명과 1명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대대장이었던 찰스 스미스(Charles Bradford Smith) 중령과 스미스 부대원들의 일부는 스미스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Smith)의 공로를 인정받아 1952년 6월 당시의 대통령이던 트루먼의 초청으로 백악관을 예방하기도 하였으며 스미스 중령은 1966년 준장으로 전역하고 2004년 5월 23일 사망하였습니다.

가장 오른쪽이 스미스 중령

한편 북한군의 포로가 되었던 웨인 존슨은 북한으로 끌려가는 이른바 “죽음의 행진(Death March)”을 하게 되는데 주로 전쟁의 와중에 포로들의 생명을 돌보지 않고 강행함으로써 많은 사상자를 내는 “죽음의 행진(Death March)”은 2차 세계대전 당시에 독일군에 의해 유태인들이 강제수용소로 보내지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것에서부터 비롯된 표현이며 미국으로서는 “죽음의 바탄 행진”을 잊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죽음의 바탄 행진(Bataan Death March)은 태평양전쟁 당시 미군과 필리핀군 전쟁포로 7만여 명이 이동하는 도중에 구타와 굶주림을 당하고 낙오된 자들은 죽임을 당한 사건으로 사망자의 숫자가 무려 7,000~10,000명에 이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웨인 존슨도 북한으로 끌려가는 죽음의 행진을 하게 되는데 특히 이 행진은 호랑이란 단어를 사용하여 “Tiger Death March”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1950년 10월 31일 북한의 만포를 출발하여 중강진을 목적지로 시작된 190km에 이르는 행군은 11월 8일 끝나게 되지만 발이 작은 미군병사들은 군화를 북한군에게 뺏기고 맨발에 행군을 해야 하기도 했었으며 먹을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더 힘들었던 것은 포로들이 호랑이라고 부르던 북한군 소좌 정명실의 잔인한 행동이었습니다.

 

북한군 소좌 정명실은 포로들이 더 이상 행군하기가 힘들어 주저앉았다는 이유로 그들을 인솔하던 손튼 중위(Cordus Thornton)의 머리에 총을 쏴 죽이는 등 잔인하기가 이를 데 없었는데 정명실의 이런 잔인함 때문에 이 행군을 특히 “Tiger Death March”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런 힘든 행군의 와중에도 웨인 존슨은 사망한 89명의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했고 3년 동안의 포로생활 동안 숨져간 사람들을 합하여 모두 496명의 이름과 사망일자 등을 기록하여 보관하고 있었는데 1953년 휴전과 함께 송환되게 되자 목록이 발각되어 빼앗길 것에 대비하여 사용하던 치약의 내용물을 꺼내고 그 속에 목록을 넣어 귀국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Tiger Death March”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모임인 “Tiger Survivors”란 단체에 이 목록의 존재를 알렸고 이후 전사/실종자처리국(Defense Prisoner of War / Missing Personnel Office)의 확인과 가족들의 최종확인을 거쳐 세상에 그 명단을 공개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생존자 Everett T. Endris

 

그러나 외국인 포로들에 대하여는 자료에 다소 오류가 있고, 치약으로 인해 목록을 읽을 수 없는 부분도 있어서 전체 496명의 기록을 모두 복원하지는 못하였습니다.

특히 한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프랑스 국적의 신부에 대하여는 이름이 틀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에 관한 이야기는 뒤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웨인 존슨(Wayne Archer “Johnnie” Johnson)은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은성무공훈장을 받게 되고 오하이오 주 군사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오르게 되었으며 2011년 6월 1일 사망하고 텍사스 주에 있는 포트 샘 휴스턴 국립 묘지(Fort Sam Houston National Cemetery)에 안장되었습니다.

당시 “Tiger Death March”에 참가한 사람들 중에서 가장 나이가 적은 사람은 1살도 채 되지 않은 어린아이였으며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은 83세의 천주교 신부였습니다.

아래에 기재된 사망자들의 명단을 보면 “VILLEMONT, Fr. Paul이란 이름이 있는데 바로 이 분이 83세로 가장 나이가 많은 포로였습니다.

그런데 “VILLEMONT”이란 이름은 “VILLEMOT”를 잘못 기록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빌모(VILLEMOT)란 이름의 이 신부님은 한국명 “우일모(禹一摸)”로 활동하던 프랑스 국적의 신부님(Marie Pierre Villemot)이시며 국내의 자료에도 “1950년 7월 북한 공산군에 의하여 납북되던 중 11월 11일 옥중에서 순교하였다.”고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JOHNNY(Korean Boy)라는 이름의 한국인 사망자도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한국명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며 아마도 미 군속으로 활동하던 사람이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머나먼 나라 한국의 전쟁에서 포로가 되어 끌려가던 도중 죽임을 당해 어딘지 모르는 벌판과 골짜기에 봉분도 없이 버려진 그들의 넋을 생각하면서 앞으로 계속해서 치러질 “UN군 초전기념 및 스미스부대 전몰장병 추도식” 행사에는 이 분들과 그들의 죽음을 세상에 알릴 수 있도록 만든 웨인 존슨(Wayne Archer “Johnnie” Johnson) 희생을 기리는 기회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그분들의 명복을 빌며 글을 마칩니다.

참고: “Tiger Death March” 사망자 명단(일자는 사망일)

– A –

ADAMS, Daryl Tine-이등병-사망일자 불명

ADAMS, Robert Irving-중위-1950. 11. 15

AHERN, Gerald, 영국 해군-1951. 05. 07

AKINS, Willis-이등병-사망일자 불명

ALBRECHT, John-일등병-1951. 01. 31

ALEXANDER, Jack Duane-일등병-1950. 11. 19

ALFORD, Raymond-이등병-1951. 02. 27

AMBEAU, Donald-이등병-1950. 11. 01

AMPON, Joseph Obonon-상병-1952. 01. 20

ANDERSON, Douglas-대위-1951. 08. 14

ANDERSON, Larry Joe-이등병-1950. 12. 25

ANDERSON, Omer Lee-상병-1951. 02. 05

ANGELL, Eugene Leroy-상병-1950. 09. 25

ANZALDUA, Baldomero-병장-1951. 04. 17

ATEN, Fred William-일등병-1950. 10. 24

AYO, Albert James-일등병-1951. 01. 10

– B –

BAER, Donald-일등병-1950. 12. 03

BAILEY, Charles-상병-1951. 01. 22

BAKER, Walter-일등병-1951. 01. 12

BAMFORD, Charles-중사-1951. 07. 24

BARNES, Herbert-일등병-1951. 05. 03

BARNETT, Raymond-일등병-1950. 08.

BARON, John-일등병-1951. 01. 25

BARRICK, George-중위-1950. 11. 07

BARTER, Charles Tracy-소령-1951. 05. 03

BASTIN, Sr. Therese-민간인-1950. 11. 30

BAULK, Richard-이등병-1951. 01. 11

BEAHM, Thomas-이등병-1951. 01. 16

BECKHAM, Larry-이등병-1951. 02. 24

BEECHER, Wilbert-이등병-1951. 01. 22

BENNER, Warren-일등병-1951. 01. 08

BERARDI, Thomas Henry-일등병-1951. 07. 11

BERGE, Ralph-이등병-1950. 12. 26

BERGERON, Joseph-일등병-1951. 01. 16

BERGMAN, William-중위-1951. 06. 18

BERRIER, Jackie-이등병-1951. 01. 05

BEVELS, Charles-상병-1950. 12. 24

BILYEU, Michael-이등병-1950. 09. 26

BISHOP, Arthur-이등병-1950. 11. 22

BISSELL, James-병장-1951. 06. 02

BLOCK, Robert-이등병-1950. 11. 04

BLUE, Adelbert-일등병-사망일자 불명

BOLLES, Lloyd J. Jr-이등병-1952. 04. 13

BOOKS, Arthur Howard-중위-1950. 11. 01

BOONE, James-이등병-1950. 11. 03

BOR, Felix-일등병-1950. 11. 12

BORDEAU, Alfred-일등병-1951. 04. 29

BOTSFORD, Philip-일등병-1950. 10. 29

BOWSER, Lemuel-일등병-1951. 02. 22

BOYER, Charles Edwin-상병-1951. 01. 28

BOYIDDLE, Silas-이등병-1950. 10. 27

BRADLEY, Edgar-일등병-1950. 11. 15

BRANDENBURG, Kenneth-상병-1950. 10. 30

BRINGE, Donald-일등병-1951. 03. 18

BROCKMAN, John Joseph-중위-1950. 12. 12

BROWN, Arthur Leroy-일등병-1951. 01. 19

BROWN, David-일등병-1950. 11. 13

BROWN, Joseph-상병-1951. 07.

BROWN, William E. Jr-일등병-1950. 11. 25

BUFF, Jack-상사-1950. 10. 28

BULTEAU, Fr. Joseph-민간인-1951. 01. 06

BUNTING, Worth-상병-1951. 01. 08

BURFORD, Bobby-일등병-1950. 11. 04

BURNS, Francis-상병-1950. 09. 02

BURROUGHS-병장-사망일자 불명

BUSICO, Ernest-일등병-1951. 03. 03

BUSKIRK, George-이등병-1951. 01. 28

BYERS, Charles-이등병-1950. 12. 27

BYRNES, Bishop Patrick-민간인-1950. 11. 25

– C –

CADARS, Fr. Joseph-민간인-1950. 12. 18

CALAWAY, William-일등병-1950. 10. 24

CAMMARANO, Thomas-이등병-1950. 11. 02

CANAVAN, Fr. Francis-민간인-1950. 12. 06

CARMAN, Lyle Harvey-일등병-1950. 12. 07

CARNES, Harry Zane-일등병-1950. 11. 22

CASPER, Charles-일등병-1951. 01. 09

CHARLES, Madison-상병-1950. 11. 03

CHARLES, Raymond-일등병-사망일자 불명

CHEFF, Louis-이등병-1950. 12. 28

CHERRY, Richard-일등병-사망일자 불명

CHOAT, Loyd-이등병-1950. 11. 01

CHRISTENSEN, Jerry-중사-1950. 12. 10

CHRISTIAN, Stuart-일등병-1951. 03. 21

CHRISTOPULOS, Clayton-이등병-1950. 12. 01

CLARE, Sr. Mary-민간인-1950. 11. 06

CLARK, Glenn-이등병-1950. 11. 16

CLARK, O C Jr-이등병-사망일자 불명

CLARKE, Harry Bernard-일등병-1951. 04. 27

CLOSSON, Archie-이등병-사망일자 불명

COLFORD, Wilber-이등병-1950. 10. 31

CONNICK, Karl-일등병-1951. 06. 18

CORONA, Jamie-이등병-1951. 04. 24

COSKEY, John-일등병-사망일자 불명

COUNCIL, William-일등병-1950. 11. 04

COX, Jansen Calvin-중위-1950. 12. 28

COX, Lester-상병-1950. 10. 31

COX, Robert-상병-1951. 01. 08

CROGHAN, Varnold Gene-일등병-1950. 12. 13

CUMMING, Zolton-일등병-1951. 10. 31

– D –

DAGGETT, Calvin-이등병-1950. 11. 09

DANIEL, Richard-이등병-사망일자 불명

DANOWSKI, Alex-중사-1951. 03. 17

DAVIS, George Parker-일등병-1951. 06. 15

DAVIS, Leo Clifford-일등병-1950. 11. 14

DAY, Donald-이등병-1950. 10. 30

DE CICCO, Leo-일등병-1950. 09. 02

DE LUCA, Leslie-일등병-1950. 12. 03

DE VRIESE, Sr. Mechtilde-민간인-1950. 11. 18

DEAN, Alvin Clinton-일등병-1951. 05. 18

DEMMIN, Dale Allen-일등병-1951. 01. 11

DETAMORE, Robert Gail-일등병-1950. 10. 30

DIEKMAN, Lester-상병-1950. 11. 29

DIRKSEN, Abraham Jr-상병-1951. 05. 08

DITMER, Elwood Lewis-상병-1950. 11. 02

DOBBS, J.B-일등병-1950. 11. 05

DOWLING, James Robert-이등병-1950. 10. 15

DOXIE, Paul-병장-1950. 11. 01

DOYLE, Lawrence-일등병-1950. 10. 28

DRISKELL, Herman-중위-1950. 09. 07

DU BOSE, Clyatt-일등병-1951. 05. 27

DUNCAN, Lester-일등병-1951. 04. 08

DUNHAM, Leland-소령-1951. 08. 07

DUNN, Francis-일등병-1950. 10. 27

– E –

EASTERDAY, Charles-일등병-1950. 11. 16

EATON, Edward Drew-상병-1950. 11. 25

EATON, John Omer-일등병-1951. 05. 08

EBENSPERGER, Clarence-상병-1950. 11. 02

EDGE, Edward-일등병-1950. 11. 20

EDOUARD, Sr. Beatrix-민간인-1950. 11. 03

ELTRINGHAM, Walter-민간인-1950. 11. 17

EMMOTT, Robert-상병-1950. 07. 00

ESTES, Edward Eugene-일등병-1951. 02. 07

EVANS, Joseph Kenneth-병장-1951. 01. 02

EVANS, William H. Sr-민간인-1950. 12. 12

– F –

FABBI, Ernest-이등병-1950. 12. 20

FAHRMEYER, Kermit-이등병-1950. 09. 29

FALLON, Richard Lee-이등병-1951. 02. 02

FANCHER, Harold-일등병-1951. 05. 07

FANNIN, Clyde-상병-1951. 11.

FARONE, William-상병-1950. 10. 31

FILLER, Donald-일등병-1951. 01. 08

FINE, John-일등병-1951. 01. 22

FINE, Richard Melvin-일등병-1951. 02. 09

FITZGERALD, Edward-일등병-1950. 12. 12

FLEMING, John-이등병-1951. 01. 12

FLETCHER, Robert-상병-1951. 01. 09

FLOOK, Grady Harold-상병-1950. 11. 14

FLORCZYK, Edward-이등병-1950. 10. 26

FRANKLIN, John D. Jr-일등병-1951. 06. 06

FRANTZ, George Arthur-일등병-1950. 12. 05

FRECHETTE, Charles-일등병-1950. 10. 21

FREUND, Aloysius-병장-1951. 01. 05

FREYTAG, Reuben-병장-1951. 01. 20

FULLER, Donald-이등병-1951. 01. 08

FULLERTON, Harold-일등병-1950. 10. 01

FUNA, John Francis-일등병-1951. 01. 05

FUNDERAT, Mrs-민간인-1950. 11. 03

FURLOW, Robert Daniel-일등병-1951. 05. 03

– G –

GAILEY, Robert George-상병-1951. 02. 12

GARCIA, Roger-일등병-1951. 03. 20

GARZA, Nicolas-이등병-1950. 12. 20

GEARHART, William-이등병-1951. 01. 03

GEDNEY, Robert Earl-이등병-1950. 12. 09

GENDILO, James-일등병-1950. 11. 04

GEORGE, Edward-이등병-1950. 11. 22

GEORGE, Edwin-이등병 -사망일자 불명

GIBSON, Charles-이등병-1950. 12.

GILLETTE, Robert Lee-이등병-1951. 01. 11

GIRONA, Emil-중사-1950. 09. 06

GLASS, Cecil Robert-이등병-1951. 03. 31

GOHL, Lavern-이등병-1950. 10. 21

GOMBERT, Fr. Antoine-민간인(신부)-1950. 11. 12

GOMBERT, Fr. Julien-민간인(신부)-1950. 11. 13

GONZALEZ, Joe-이등병-1950. 12. 29

GRAFF, Herman L. Jr-상병-1950. 11. 17

GRAHAM, William-상병-1951. 11. 27

GRAMBERG, Bernard M. Jr-중위-1950. 12. 10

GRESSENS, Norman-상병-1950. 09. 28

GRIFFITH, William-이등병-1950. 11. 01

GROSS, Myron-이등병-1951. 01. 14

GUIDRY, Joseph-상병-1951. 07. 03

GUSTAFSON, Harold-이등병-1950. 12. 21

– H –

HAGGARD, Billy-일등병-1951. 06. 26

HALBURT, George R. Jr-일등병-1951. 06. 01

HALE, George-민간인-1950.

HALEY, Richard-일등상사-1950. 08. 11

HALLUM, Leonard David-이등병-1951. 06. 09

HAMILTON, Merlin Jack-병장-1952. 02. 05

HAMMOND, Robert-일등병-1950. 11. 02

HANNON, Arthur Thomas-일등병-1950. 11. 23

HANSEN, Dan-이등병-1950. 12. 10

HANSINGER, Nicholas-이등병-1950. 10. 28

HARBOUR, Ronald-일등병-1950. 12. 09

HARDY, Edgar Warren-중사-1951. 05. 11

HARRINGTON, James-이등병-1950. 10. 04

HARRIS, Howard K-상병-1950. 11. 04

HARRIS, Thomas-이등병-사망일자 불명

HART, Michael J. Jr-일등병-1950. 09. 12

HARTMAN, David-이등병-1950. 07. 00

HARTMAN, Roger-중위-1951. 03. 08

HAYMAN, James-일등병-1950. 10. 28

HEATH, Richard-중사-1951. 03. 18

HEFFLEY, Edgar-이등병-1950. 11. 14

HELMES, Eugene-일등병-1950. 10. 29

HENNESS, Jimmy-이등병-1950. 12. 11

HENSLEY, Bird Jr-병장-1950. 10. 31

HENSLEY, Eldred-일등병-1950. 11. 05

HESS, Kenneth Leland-이등병-1951. 02. 07

HICKS, Chester-일등병-1950. 12. 23

HIGGS, William O. Jr-일등병-1950. 11. 02

HILL, Donald-이등병-1951. 01. 24

HILL, James-일등병-1951. 01. 14

HILL, Melvin Jalmer-이등병-1950. 11. 18

HILLEN, James-이등병-1951. 01. 14

HOAK, Charles-일등병-사망일자 불명

HOLENCIK, Joseph-일등병-1951. 03. 16

HOLLAND, William K-일등병-1951. 06. 11

HOLMAN, Albert C. Jr-일등병-1951. 06. 06

HOULIHAN, Patrick-병장-1950. 12. 23

HOWARD, Ralph-일등병-1950. 11. 20

HUDSON, William-이등병-1950. 12. 18 –

HUNT, Rev. Charles-민간인(영국인 신부)-1950. 11. 26

HUTTON, Donald-상병-1950. 11. 04

– I –

IZU, Isamu-일등병-1951. 07. 12

– J –

JESTER, William-중위-1951. 05. 26

JESTER, William-일등병-1951. 06. 16

JIMENEZ, Victor-일등병-1951. 04. 16

JOHNNY(Korean Boy)-민간인(한국인)-1950. 11. 03

JOHNSON, De Witt-일등병-1950. 12. 30

JOHNSON, Harry W. Jr-이등병-1950. 11. 22

JOHNSON, John-병장-1951. 01. 09

JONES, Arthur Macon-상병-1950. 10. 31

JONES, Dale Royce-일등병-1951. 07. 12

JONES, Thomas Dale-일등병-1951. 01. 01

– K –

KACAR, Stanley-이등병-1950. 07. 05

KAILIANU, Robert-일등병-1950. 12. 23

KEKOA, Joseph K-이등병-1950. 09. 26

KELLY, Ernest-중사-1950. 09. 06

KELLY, Robert Thomas-일등병-1951. 01. 16

KENDALL, Richard-이등병-사망일자 불명

KENDIG, John Philip-일등병-1950. 11. 20

KIJIKOFF, Ilian-민간인-1952. 12. 17

KIM, Chan JP Jr (George)-이등병-1950. 12. 14

KING, Ralph-일등병-1952. 02. 06

KINGSLEY, Willie-상사-1950. 11. 17

KISCH, Dr. Ernst-민간인-1951. 06. 29

KISER, Henry Gaines-병장-1951. 06. 25

KIVLEHAN, Allen-일등병-1950. 11. 03

KLIMSEY, Joseph W. Jr-이등병-1951. 01. 02

KNAPKE, Anthony-상병-1950. 11. 04

KOCH, Kermit K-이등병-1951. 05. 03

KOLBERG, William-일등병-1950. 12. 28

KRISTANOFF, George-중위-1951. 04. 29

– L –

LA—-Y, John-일등병-1950. 11. 14

LAESSIG, Kenneth-이등병-1950. 11. 22

LASSITER, Donald-일등병-1950. 11. 20

LAYTON, Robert Hollace-중위-1951. 04. 00

LE MATTY, Donald Gene-일등병-1950. 11. 01

LEBIEDZ, Joseph-상병-1950. 11. 03

LEE, Charles S.A-일등병-1951. 01. 06

LENZ, Robert-일등병-1950. 12. 25

LEONOFF-민간인-1950. 12. 09

LEWIS, Warren Gunn-중위-1950. 12. 06

LIEBEG, Robert-일등병-1951. 03. 01

LINGLE, Keith Le Velle-상병-1951. 01. 01

LIPES, Richard Ray-일등병-1950. 12. 23

LOGSTON, Edward-A2C-1950. 11. 04

LOOMIS, Otis Wayne-상병-1950. 12. 25

LORENZ, Robert Edward-일등병-1950. 10. 28

LOVE, Robert James-이등병-1950. 11. 14

LUKITSCH, John Joseph-일등병-1950. 10. 27Allentown, PA

LYCAN, John Smith Jr-일등병-1950. 12. 05

– M –

MAC GILL,Henry Tomlinson-중위-1950. 07. 16

MAC NAIR-RAGA, Hector-이등병-1951. 01. 16

MACHEN, William Allen-일등병-1950. 11. 04

MACOMBER, Wayne-대위-1951. 07. 19

MAGNUS, Donald-일등병-1951. 01. 04

MAHER, Frank-병장-사망일자 불명

MAHONEY, Kenneth-이등병-1950. 08. 03

MAJESKE, Arthur Jr-이등병-1951. 01. 01

MALDONADO, Victor-이등병-1950. 11. 27

MALONE, Francis P. Jr-상병-1951. 01. 29

MANN, William Cornett-일등병-1951. 03. 03

MANROSS, Thomas-일등병-1950. 11. 14

MARSH, Harold-중사-1950. 08.

MARTIN, Elwin C Jr-상병-사망일자 불명

MARTIN, John-상병-1951. 05. 02

MARTY, Albert-일등병-1950. 07. 17

MARZLITSKY, Andre-민간인-평양 부근에서 실종(일자 미상)

MATHEWSON, Ward-중사-1950. 07. 16

MATTHEWS, Richard-중사-1950. 10. 31

MATTI, Alfred-민간인(스위스)-1950. 11. 30

MAYNARD, Edward Wiley-중위-1951. 06. 20

MC CABE, Donald John-이등병-1950. 11. 04

MC CLAIN, Frederick-병장-1950. 11. 02

MC CORMICK, Billy Gene-이등병-1950. 11. 06.

MC DONNELL, John James-이등병-1950. 11. 14

MC ELROY, Joseph-상병-1950. 12. 13

MC GILL, William-이등병-1950. 12. 18

MC GRATH, Ross Robert-이등병-1950. 11. 02

MC INTYRE, James-일등병-1950. 12. 28

MC KINLEY, Ralph-이등병-1951. 05. 05

MC NARY, Walter David-이등병-1950. 11. 22

MC QUEEN, Norman-중사-1951. 01. 16

MC SHANE, Edward-일등병-1950. 12. 14

MELCHIORRE, Joseph-일등병-1951. 03. 19

MELLINGER, James-일등병-1950. 11. 02

MENTZOS, Paul Gust-병장-1951. 07. 03

MERSHON, David-이등병-1950. 11. 04

MERTH, Philip-상병-1950. 07.

MIELKE, Robert-이등병-1950. 10. 31

MILLER, Paul Luther, A1C-1950. 11. 15

MINER, Donald-이등병-사망일자 불명

MITCHELL, Rudus Jr-일등병-1950. 11. 04.

MITCHELL, William B. Jr-이등병-1950. 07. 29

MITCHELSON, Thomas-일등병-1950. 09. 24

MOMPHER, David-일등병-1950. 10. 29

MONROE, James-일등병-1950. 11. 02

MONTGOMERY, Harold-병장-1951. 01. 03

MORALES, Joseph-이등병-1950. 11. 26

MORENO, Raymond-일등병-1951. 05. 17

MORGAN, Melvin-일등병-1950. 12. 06

MOSS, William-상병-1951. 01. 18

MULOCK, Arthur-중위-사망일자 불명

MURDOCK, Jackie Lee-이등병-1950. 10. 29

MURPHY, Michael-상병-1950. 11. 14

MURPHY, Robert Mervin-일등병-1951. 05. 27

MYERS, Guy K-이등병-1950. 10. 31

– N –

NAZELROD, Earl-일등병-1951. 04. 14

NELSON, Oscar-이등병-1950. 10. 26

NELSON, Woodrow-일등병-1950. 10. 19

NICHOLS, Robert-일등병-1951. 01. 03

NIEMANN, Robert-중위-1950. 08.

– O –

O HARA, William-일등병-1950. 11. 21

OAKS, Joseph Stephen-일등병-1950. 09. 28

OLES, Peter-이등병-1950. 12. 08.

OLLERO, Luciano-일등병-1951. 05. 23

OLSON, Sigurd Carl-이등병-1951. 02. 05

OLTMAN, Charles R.L-이등병-1951. 01. 28

ONION, Vernon James-일등병-1950. 12. 25

ORCHESTRAIA, Helena-민간인-평양 부근에서 실종(일자 미상)

OSTROWSKI, Chester-일등병-1950. 11. 20

OXNER, Harvey-이등병-1950. 07. 28

– P –

PALLESEN, Robert Gene-일등병-1950. 10. 30

PARKS, Ralph Leonard-상병-1951. 03. 15

PASTUSZEK, Walter-이등병-1950. 12. 17

PEARSON, Raymond-중위-1951. 01. 24

PEETERS, Marcel-이등병-1951. 01. 21

PERRY, Fletcher-상병-1950. 09. 07

PETERSON, Donwin Ross-일등병-1951. 08. 05

PETTIS, Gilbert-일등병-1950. 10. 31

PHILLIPS. Elda Jr-일등병-1950. 10. 30

PIERCE, Frederick-일등병-1950. 11. 04

PIERCE, Leonard L. Jr-이등병-사망일자 불명

PITRE, Charles D. Jr-이등병-1950. 11. 30

PITTMAN, Irvin Wilbur-상병-1950. 11. 07

PLOTNER, Gerald-이등병-1951. 03. 06

POLKA, Francis-병장-1951. 01. 11

POSEY, Harold-이등병-1950. 11. 08

POSIVAK, Michael J. Jr-상병-1951. 01. 01

PRATT, Glen Leroy-일등병-1950. 11. 04

PROVOST, Leonard-이등병-1951. 02. 14

– R –

RABORN, Cleon-중사-1950. 12. 26

RABOYE, Ronald-이등병-1951. 01. 01

RADANOVICH, Harry-일등병-1950. 11. 20

RAILLING, Thomas Earl-상병-1951. 01. 14

RAINEY, William-상병-1950. 11.

RANDALL, Elgin Vogala-상병-1951. 07. 05

RARICK, Rolan Deane-병장-1950. 11. 01

REED, Lee Bright-일등병-1950. 11. 30

REED, Ray-이등병-1950. 11. 26

RHODES, Edward-일등병-1952. 01.

RICKENBACH, Adam-일등병-1950. 11. 04

RIVERA, Fernando Jr-이등병-1950. 11. 02

RIVRI—, Dick-일등병-1950. 11. 05

ROBINSON, George-이등병-1950. 09. 12

ROCKWELL, Clyde-일등병-1950. 11. 22

ROGERS, Raymond Jr-일등병-1950. 09.

ROMO, Angel Peter-이등병-1950. 11. 04

ROSE, Albert Eugene-일등병-1950. 12. 15

ROTH, Bernard-중위-1951. 10. 26

ROY, Floyd Alexander-병장-1951. 07. 03

RUDDELL, James C. Jr-중위-1951. 01. 21

RUFENER, John-일등병-1950. 11. 21

RUSSELL, Gordon-병장-1950. 12. 30

RUSSELL, John-중사-1950. 10. 28

– S –

SADDER, William-일등병-1950. 11. 10

SALMON, Donald-이등병-1950. 10. 22

SAMMS, Jack Clinton-일등병-1950. 11. 13

SANDERS, Gene-일등병-1950. 11. 01

SCHMOLLINGER, James-일등병-1950. 11. 02

SCHOULTHIES, George-이등병-1950. 11. 30

SCHRECENGOST, Paul-이등병-1950. 11. 04

SCHUMAN, John Henry-상병-1951. 03. 01

SCOTT, Amos-일등병-1952. 01.

SCOTT, Floyd Edward-일등병-1950. 11. 11

SCOTT, Neil Roger-이등병-1951. 01. 05

SESLER, Philip K-일등병-1950. 11. 17

SEXTON, Talmage-일등병-1950. 11. 03

SHACKELFORD, Howard-일등병-1950. 11. 02

SHARP, Raleigh-상병-1950. 12. 05.

SHORTER, James-일등병-1950. 10. 31

SIEGMUND, Earl-상병-1950. 11. 03

SIMS, Holly-이등병-1951. 02. 02

SIRMAN, Donald-중위-1951. 07. 07

SKEENS, Irvin K-이등병-1951. 03. 20

SKERO, Charles-일등병-1951. 06. 22

SKINNER, Kenneth-이등병-1951. 01. 09

SMIRNOFF-민간인-1950. 06. 01

SMITH, Billy-이등병-1950. 11. 04

SMITH, George-일등병-1950. 12. 12

SMITH, John-상사-1951. 01. 11

SMITH, Leonard J. Jr-상병-1951. 02. 03

SMITH, William-일등병-1951. 02. 20

SMITHSON, Donald-상병-1950. 11. 22

SPARKS, Donald D. Jr-상병-1950. 11. 04

SPECHT, Wilfred-상병-1950. 12. 04

SROGONCIK, George-일등병-1951. 01. 08

STALLINGS, Vernon-이등병-1950. 11. 01

STANSBURY, William H. Jr-일등병-1950. 11. 02

STEELE, Clyde-상병-1950. 12. 10

STEPHENS, Robert-일등병-1951. 01. 14

STEWART, Robert Edwin-일등병-1950. 12. 26

STOUT, Johnnie Oval-일등병-1950. 11. 14

STRAWSER, Paul-일등병-1950. 11. 22

SU해군R, William-상병-1950. 12. 12

SUMPTER, Bill-상병-1950. 11. 07

SUNSDAHL, Roy-이등병-1950. 12. 04

SWANSON, Richard-이등병-1951. 02. 12

SWEET, Richard-일등병-1950. 12. 19

SWEITZER, William-일등병-1950. 11. 11

SZCZEPANSKI, Anthony-일등병-1950. 11. 04

– T –

TATE, Hershel Leon-병장-1951. 01. 12

TAYLOR, William-이등병-1950. 11. 22

TEIXEIRA, James Cunha-중사-1950. 11. 21

THOMPSON, Ronald-일등병-1950.

THOMSON, Keith Edward, ENS-1951. 01. 03

THORNTON, Cordus-중위-1950. 11. 01

TIERNAN, John-이등병-1950. 07. 29

TITUS, Robert Eli-일등병-1950. 11. 23

TODD, Blanton-병장-1951. 02. 03

TOMASZEWSKI, Waclaw-중위-1951. 01. 02

TORHAN, George-이등병-1951. 05. 27

TOTLAND, Mical-이등병-1950. 10. 31

TREXLER, Rayfield-일등병-1950. 11. 02

TROSS, Eugene-일등병-1950. 12. 23

TUGMAN, Richard-이등병-사망일자 불명

TYLER, Charles-일등병-1951. 06. 14

– U –

UNDERHILL, Virgil-상병-1951. 08. 05

– V –

VAN DEWERKER, Patrick-일등병-1950. 11. 04

VAN WINKLE, Calvin-이등병-1951. 02. 16

VANN, Harvey Thomas, 상사-1951. 01. 06

VANNOSDALL, Gilbert-상병-1950. 11. 21

VARNER, Edmund Stanley-이등병-1951. 02. 05

VARNEY, Basil Jr-일등병-1950. 09. 25

VERCOLEN, Albert-병장-1950. 07. 20

VIARS, James-일등병-1950. 11. 27

VILLEMONT, Fr. Paul-민간인(빌모 신부:한국명 우일모)-1950. 11. 11

VINCENT, Albert-일등병-1950. 11. 04

VINCENT, William E.R-일등병-1950. 12. 20

– W –

WAGONER, James-일등병-1950. 12. 17

WALTEN, Thomas-일등병-1950. 11. 04

WANCOSKI, Frank-일등병-사망일자 불명

WARD, Delmer-일등병-1950. 11. 16

WARREN, Everett-일등병-1950. 10. 28

WARRICK, John-상병-사망일자 불명

WENDLING, Ernest-이등병-1950. 11. 04

WILLIAMSON, Claud-이등병-1950. 11. 12

WILNER, William-일등병-1951. 06. 01

WILSON, David-일등병-1950. 11. 26

WILSON, Earl-이등병-1950. 12. 12

WINTER, Gerald-일등병-1950. 11. 03

WISE, Arthur-이등병-1950. 11. 22

WOODRING, Raymond-일등병-1950. 11. 02

WRIGHT, Chester-일등병-1951. 01. 13

– Y –

YOST, Edward-일등병-1950. 11. 02

YUHASZ, Tony-일등병-1950. 11. 02

– Z –

ZAMORA, Anselmo-일등병-1951. 02. 24

ZUVER, Robert-일등병-1950.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