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오징어의 올바른 캐치 앤드 릴리스

무늬오징어의 올바른 캐치 앤드 릴리스

플라이낚시에서부터 시작된 캐치 앤드 릴리스는 점차 많은 낚시인들 사이에서 실천되고 있으며 특히 법으로 금하고 있는 기준 체장 이하의 물고기를 잡았을 때에는 돌려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음은 반가운 일입니다.

그러나 올바른 릴리스 방법을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아서 어떻게 하면 잡은 물고기를 손상 없이 돌려보내는가 하는 것과 특히 에깅낚시에서 언제나 제가 강조하고 있는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 무늬오징어는 어떻게 놓아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어종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것부터 먼저 알아보면 잡은 물고기를 랜딩할 때에도 도구를(갸프나 뜰채 등)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여건에 따라 힘으로 랜딩시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가능하면 손을 차갑게 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물고기의 입에 걸린 바늘을 제거할 때에는 대개가 맨손으로 잡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물고기의 체온보다 사람의 체온이 높아서 물고기에게 손상을 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손을 차갑게 하여 바늘을 빼주는 것이 좋으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물속에서 바늘을 빼주는 것이지만 바다낚시에서는 이것이 무척 어렵습니다.

② 산소를 공급해준다.

잡은 물고기를 오래도록 공기에 노출시키게 되면 물고기의 호흡을 방해해서 회복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아가미에 물을 공급해서 호흡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살림망에 넣어두고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회복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③ 물고기가 회복할 시간을 준다.

잡은 물고기를 바로 놓아주면 배를 위로 뒤집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에 노출되고 낚시인과의 힘겨루기로 체력이 소진된 물고기가 회복할 시간을 주었다가 놓아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상이 가장 기본이 되는 캐치 앤드 릴리스의 방식이며 이제는 어떻게 무늬오징어를 놓아주는 것이 좋은가를 살펴보겠습니다.

 

▶ 차가운 손으로 만지도록 한다.

다른 물고기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손으로 오래 잡고 있으면 화상을 입게 되어 생존할 확률이 줄어들게 됩니다. 여름철 폭염이 지속되면서 41.1℃의 고체온을 보인 사람이 사망한 사례가 있는 것과 같이 무늬오징어도 바닷물의 온도보다 평균적으로 10~15℃ 이상이나 높은 사람이 맨손으로 잡게 되면 치명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바닥에 두지 않는다.

기온이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지면의 온도도 상승하게 됨으로 무늬오징어를 바닥에 방치하는 것 또한 사람이 맨손으로 잡는 것처럼 화상을 입히게 됩니다.

▶ 높은 곳에서는 뜰채를 이용하여 방류한다.

갯바위나 테트라 등에서 놓아주게 되면 충격에 의해 생존율이 떨어지므로 가능하면 충격이 적도록 물과 가까운 위치에서 놓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 에기를 위로 하여 오징어를 들지 않도록 한다.

에기를 위로 하여 에기에 무늬오징어가 달린 채로 들게 되면 손상을 주게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류해도 생존할 가능성이 적은 경우에는 놓아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에기의 칸나가 눈에 박힌 무늬오징어는 놓아주지 않는 것이 좋다.

무늬오징어의 눈과 촉완은 먹이활동에 가장 필요한 신체의 일부분이어서 눈이나 촉완(가장 긴 다리)에 상처가 심한 경우에는 놓아주더라도 살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놓아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체내의 수분이 빠진 경우에도 놓아주지 않는 것이 좋다.

다른 어종의 릴리스 방법과 마찬가지로 무늬오징어의 릴리스도 가급적이면 물속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산란을 마치지 않은 것인지 구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가능하면 신속하게 칸나를 제거하고 산란여부를 확인한 다음 방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끝으로 참고가 될 만한 것을 한 가지 말씀드리면 무늬오징어의 개체수가 우리보다 많은 일본에서도 강제규정은 아니지만 지자체에서는 7월부터 9월까지는 무늬오징어의 금어기로 정하고 있으며 잡을 수 있는 크기는 15cm 이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의 실천은 바늘의 선택에서부터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의 실천은 바늘의 선택에서부터

 

바다낚시에서는 잡은 고기를 회로 먹거나 아니면 다른 요리로 만들어 먹기 위해 가지고 귀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일정 크기 이하의 물고기는 잡아도 돌려보내는 것이 낚시인들이 지켜야 할 기본덕목의 하나인데 이런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 문화는 플라이낚시로부터 출발하여 이제는 점차 그 저변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며칠 전 “무늬오징어의 올바른 캐치 앤드 릴리스”에 대하여 살펴본 내용은 일반적인 어류들을 놓아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면 이번에는 물고기를 잡더라도 손맛만 보고 놓아줄 것이라면 조금이라도 상처를 덜 받도록 하자는 취지의 논문 2편을 인용하여 진정한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의 실천은 물고기를 잡기 전에 바늘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시 낚시에 관하여 우리보다는 앞서가는 나라답게 미국에서는 낚시와 관련한 학술논문의 편찬도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오늘 소개하는 논문은 1. 서클훅과 J훅의 후킹성공율과 바늘을 삼키는 비율 및 물고기의 출혈에 관한 것들을 비교한 “A Comparison of Circle Hook and “J” Hook Performance in Recreational Catch-and-Release Fisheries for Billfish”와 2. 송어낚시에서 여러 종류의 낚싯바늘을 삼키는 비율과 물고기의 사망률을 조사한 “Hooking Mortality and Landing Success Using Baited Circle Hooks Compared to Conventional Hook Types for Stream-dwelling Trout”이 그것입니다.

논문의 제목을 검색하시면 구글에서 PDF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으니 보다 상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시는 분들은 원문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미국의 논문을 인용하기는 하지만 어업이 아닌 취미생활의 하나인 낚시에 관해서도 이런 학술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내심 부럽기만 하고 이런 연구를 후원하는 기업들이 있다는 사실도 부러울 따름입니다.

부러우면 지는 것이라고 했으니 이쯤에서 멈추기로 하고 우선 우리에게는 생소한 용어인 ‘서클 훅’은 “왜 나만 고기를 잡지 못하는 걸까? 그 이유를 알아보자”에서 살펴본 바늘의 종류 중 락피시를 잡기 위한 전문바늘인 미늘의 끝을 안으로 구부린 넴바늘(네무리 바늘)과 같은 모양의 훅을 말합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새치류(참치류) 어종을 잡을 때 이렇게 미늘의 끝이 안쪽으로 구부러진 ‘서클 훅’을 사용하지 않으면 유어선의 영업을 정지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서클 훅이 무엇인지를 알았으니 위의 사진에서 본 J훅과 서클 훅, 트레블훅 및 드라이플라이 훅을 이용하여 낚시를 한 경우 바늘을 목까지 삼킨 비율과 물고기의 사망률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바늘의 종류 바늘을 삼킨 비율 사망률
J훅 21% 25%
트레블 훅 5% 29%
서클 훅 4% 7%
드라이플라이 훅 1% 4%

상기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클 훅을 이용한 낚시가 물고기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어서 잡은 물고기를 놓아주더라도 생존할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서클 훅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며 놓아주는 물고기의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바늘을 사용하는 것이 진정한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서클 훅이 물고기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것은 알았는데, 과연 조과는 다른 바늘에 비해서 어떤가를 알아본 내용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J 서클 훅
횟수 % 횟수 %
낚시 횟수 225 365
후킹 횟수 161 72% 300 82%
잡은 횟수 125 78% 235 78%
바늘이 걸린 곳
입 가장자리 34 27% 200 85%
상악 21 17% 30 13%
삼킨 경우 58 46% 4 2%
후킹 실패 11 9% 1 40%
기타 부위 1 1% 0 0
출혈량
심각한 출혈 32 26% 6 3%
중등도의 출혈 23 18% 5 2%
소량의 출혈 16 13% 5 2%
출혈 없음 154 43% 221 94%

상기의 표에서 살펴본 대로 서클 훅이 J훅에 비하여 바늘을 삼키는 비율도 적고 출혈량도 적기 때문에 물고기에게 손상을 덜 입힐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어족자원이 감소하면 낚시를 즐기는 것도 당연히 어려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낚시인들은 법으로 규정하는 기준 크기 이하는 반드시 방생하는 실천이 필요할 것이며, 이런 학술논문의 편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이 하지 않으려 해도 부럽기만 합니다.

정부나 행정당국에서는 미봉책에 불과할 수 있는 정책보다는 보다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낚시를 취미로 즐기는 사람들이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행정을 펼치는 노력을 기울여 주었으면 하고(1회 출조 시에 6.5kg의 물고기를 잡는다는 당치 않은 연구에 돈을 낭비하지는 말고), 낚시와 연관된 기업을 운영하는 업체에서도 이런 연구에 뒷받침하는 사례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낚싯바늘을 삼킨 물고기를 놓아주면 살 수 있을까?

낚싯바늘을 삼킨 물고기를 놓아주면 살 수 있을까?

낚시를 하다 보면 물고기가 바늘을 깊이 삼켜버려 분리하기 곤란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목줄만 잘라서 놓아주면 살 수 있다”는 것이 낚시인들이 일반적으로 수긍하고 있던 사실이었는데 이번에 일본의 수산종합연구센터에서 이와 관련한 실험결과를 발표하여 목줄만 자르고 방류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일본의 수산종합연구센터 증양식연구소(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増養殖研究所)에서 발표한 실험방법은 낚시로 잡은 곤들매기(산천어) 중에서 바늘을 삼킨 것들을 목줄만 자르고 표식을 달아 방류하였습니다.

 

실험결과 곤들매기의 체내에 잔류하는 바늘은 부식되고 부러져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방류한 77마리 중 93.5%에 해당하는 72마리가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68.8%에 해당하는 53마리는 다시 낚시로 잡혔다고 합니다.

잡은 물고기를 방류할 때에는 가능하면 건강한 상태로 방류하는 것이 좋지만 바늘을 삼킨 경우에는 무리하게 바늘을 제거하기보다는 목줄만 짧게 잘라서 놓아주는 것이 좋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하여 분명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바늘을 제거하기가 어려울 때에는 목줄만 잘라서 방류하면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많은 분들이 알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와 함께 좋은 뜻에서 실천하고 있는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가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물고기의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는 점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오래 전 “캐치 앤드 릴리스(Catch And Release)의 실천은 바늘의 선택에서부터”란 글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과 같이 낚시가 스포츠로 자리 잡은 나라에서는 잡은 물고기를 놓아주더라도 생존확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바늘까지도 세세하게 규정을 하고 있는데 이런 규정을 만들 수 있는 배경에는 정부와 기업들의 연구지원이 큰 힘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낚시인들의 평균조과가 6.5㎏에 달한다는 터무니없는 연구보고서를 기반으로 낚시인들에게 부담금을 부과하려는 정부의 움직임이 있을 정도이니 규제 일변도의 안일한 정책을 고수하는 편의주의 행정, 탁상행정에 대해서 쓴 소리를 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국에서 낚시에 사용하는 바늘에까지 세부적인 규정을 하고 있는 것은 수많은 연구보고서가 그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는데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2018년에 발표한 연구결과는 우리 낚시인들이 한 번쯤은 생각하고 실천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어 요약해 봅니다.

낚시터에서 목격하게 되는 일이지만 잡은 물고기를 놓아주기 위해 바늘을 빼면서 입에 상처를 내거나 더러는 장기에까지 손상을 주는 것을 보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바늘을 빼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서 물고기의 입이나 신체에 손상을 줄 것 같다는 판단이 들 경우에는 무리하여 빼지 말고 그대로 목줄을 잘라 방류하는 것이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진이 캐나다의 “뱀필드 해양과학센터(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인근에서 그물과 낚시로 각각 10마리의 물고기(shiner perch)를 잡은 다음 낚시로 잡은 물고기들이 바늘로 인한 입주위의 부상 때문에 먹이활동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고 합니다.

 

그 결과 낚시바늘로 인해 입주위에 부상을 입은 물고기들은 먹이를 먹는 속도가 저하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입주위에 부상을 입은 물고기가 먹이를 흡입하는 것은 우리가 구멍 난 빨대로 음료수를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물고기들의 먹이활동에 대한 기능의 저하가 장기적으로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더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고 하는데 연구진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Higham Lab)에서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는 일본산 방어회를 얼마나 먹었을까?

우리는 일본산 방어회를 얼마나 먹었을까?

2020년 2월 18일자 연합뉴스의 “‘식지 않은 불매운동’ 1월 일본산 소비재 수입 36%란 제목의 기사는 “불매운동이 여전히 굳건함을 방증했다.”는 내용을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횟집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일본산 활어의 경우에는 이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주는데 특히 2015년부터 각 방송사들이 제철 대방어 등의 제목으로 방영한 각종 프로그램들에 힘입어 국내산 방어가 아닌 일본산 방어의 인기는 해가 바뀌어도 여전한 것으로 보이며, 2019년 10월 10일자 스포츠경향의 국산 둔갑 日 방어 식탁 점령이란 제목의 기사와 2019년 11월 11일자 경인일보의 일본 방어에 치이는 국민 횟감(광어)의 폭락이란 기사를 보면 일본산 횟감용 활어의 수입량이 만만치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본산 방어의 검역간소화가 방어의 수입액이 크게 증가하는데 원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얼마나 많은 양의 방어를 비롯한 일본산 활어를 우리가 먹고 있는지 그 실태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일본산 방어의 연도별 수입통계를 한 번 보도록 하자.

수입금액은 오늘 2022년 11월 15일자 미국달러화의 매매기준율인 1대 1,323원으로 환산한 금액이며 2019년 7월부터 시작된 일본불매운동이 무색할 정도로 2019년과 2020년의 수입액은 2018년 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여주었으며 작년 2021년은 2020년보다 중량으로는 378톤, 금액으로는 182억4천5백만원이라는 61%의 증가세를 나타내었다.

통계자료가 확인되는 2001년에는 48톤에 불과했던 일본산 방어의 수입물량이 작년에는 3,420톤으로 71.25배나 증가하였는데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으로 2011년에는 6톤에 불과했던 수입물량이 2616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일본산 방어(활어) 수입통계

년도 수입중량(톤) 수입금액(원)
2001년                   47.8                261,954,000
2002년                   12.6                 58,212,000
2003년                   61.0                501,417,000
2004년                  109.7                961,821,000
2005년                   172.9              1,297,863,000
2006년                   396.7              2,986,011,000
2007년                   390.4              3,617,082,000
2008년                   234.1              2,418,444,000
2009년                     8.9                119,070,000
2010년                     6.3                 72,765,000
2011년                    56.0                672,084,000
2012년                    89.9                955,206,000
2013년                   106.4              1,133,811,000
2014년                   162.6              2,013,606,000
2015년                   297.9              3,013,794,000
2016년                   478.6              5,153,085,000
2017년                   748.2              8,964,648,000
2018년                 1,569.9            19,789,434,000
2019년                 2,247.1            27,847,827,000
2020년 2,625.1            29,459,241,000
2021년                 3,420.1            47,704,734,000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활방어의 물량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서 2018년 일본의 양식방어 생산량을 살펴보면 생산량 기준 10위에 해당하는 미에현이나 9위에 해당하는 도쿠시마에서 양식하는 전체물량을 우리나라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내 양식 방어 생산량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10㎏ 정도의 방어를 작년에만 342,000마리나 일본에서 수입했다는 것이어서 실로 어마어마한 양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데 10kg의 방어가 얼마 정도의 크기인가는 이 사진으로 알 수 있다.

 

물론 무게에 따라 정확한 크기가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낚시로 잡은 10kg을 약간 오버하는 방어의 크기는 대략 이 정도 사이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