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어대전에 숨어있는 신분제도

조어대전에 숨어있는 신분제도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te Angler’를 설명하는 글을 보면 “물고기와 낚시에 관한 지식은 정밀하지 않으나 청신한 자연묘사와 꾸밈없고 독실한 인생교훈이 담겨져 있다.”거나 “물고기의 생태와 사실적인 정보도 줄 뿐 아니라 한가로이 낚시를 즐기며 건강한 인생의 쾌락을 나타내는 영국의 목가적인 고전 중의 하나.”라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낚시인의 시각으로 아이작 월턴이 쓴 ‘The Complete Angler’를 쳐다보면-낚시인이 아닌, 문학을 전공하거나 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눈에는 쉽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전혀 새로운 것이 발견되는데 오늘은 그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아이작 월턴의 ‘The Complete Angler’에 나오는 어종을 보면 대부분이 콜스 피시(coarse fish)라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영국의 귀족과 노동계급의 신분제도를 나타내는 것이란 점은 낚시인이 아니라면 쉽게 발견할 수 없는 사항이기도 합니다.

콜스 피시(coarse fish)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연어·송어 이외의 민물고기, 민물 잡어’라거나 ‘콜스 피시(coarse fish)의 종류 중에는 피부가 거친 것들도 있는데 그런 종류를 일컬어 러프 피시(rough fish)라고 부르기도 한다’거나 ‘낚시의 대상어도 아니고 상품 가치도 없는 잡어를 러프 피시(rough fish)라고 하며 이것을 콜스 피시(coarse fish)라고도 한다.’는 등의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전의 정보들을 종합해서 정의를 내리면 “콜스 피시(coarse fish)는 송어와 브라운 송어 및 연어를 제외한 모든 민물고기를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세 유럽, 특히 영국의 낚시에는 귀족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데 이 같은 흔적은 스코틀랜드에 아직도 이어지고 있는 길리(Gille 또는 Ghillie)라는 흔적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길리(GILLIE)는 귀족들이 소유하는 땅에서 밀렵을 감시하고 농작물을 해치는 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일컫던 말이었는데 현재는 주로 강에서 낚시를 할 때 동행하여 도움을 주는 사람들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국의 귀족계급들은 낚시를 사냥의 연장선상이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낚시를 스포츠라거나 게임이라고 하는 말로도 표현을 하였던 것이며, 특히 귀족들이 하던 낚시를 게임피싱(Game Fishing)이라고 부르고, 노동자계급이 하는 낚시는 콜스 피싱(Coarse Fishing)이라고 구분했었던 것입니다.

왜 이런 구분이 생겼던 것일까요?

부유한 귀족들은 그들이 소유하던 방대한 규모의 땅을 파고 물을 끌어들인 다음, 식용하던 물고기인 연어와 송어를 방류하고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낚시대회를 열곤 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게임 피싱이란 말이 생겼고, 이렇게 잡는 물고기를 게임 피시(Game fish)라고 불렀으며 먹을 수 있는 물고기를 뜻하는 것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땅이 없던 노동자계급은 귀족의 소유가 아닌 강이나 호수에서 낚시를 할 수밖에 없었는데 주로 잡히는 어종이 연어와 송어를 제외한 민물고기들이었기에 그것을 먹지 못하는 물고기(정확히는 귀족들이 먹지 않던 물고기)라 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먹지 못하는 민물고기를 뜻하는 것이라고 지금도 전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게임 피싱(Game Fishing)과 콜스 피싱(Coarse Fishing)이란 구분의 정착은 아이작 월턴이 살던 시대부터 이어지고 있지만 그 의미가 고착된 것은 19세기의 일입니다.

청교도혁명의 와중에 런던을 떠나 생활하던 아이작 월턴은 일반적인 영국시민들과 마찬가지로 귀족들이 먹지 않던 물고기를 잡는 시간이 많을 수밖에 없었음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가 쓴 ‘The Complete Angler’에는 콜스 피시(coarse fish)라는 처브(Chub), 그레일링(Grayling), 파이크(Pike), 잉어(Carp), 브림(Bream), 텐치(Tench), 퍼치(Perch), 장어(Eel), 바벨(Barbel), 모샘치(Gudgion), 데이스(Dace), 로치(Roach)와 같은 이름도 생소한 물고기들에 관한 얘기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역사적인 사실과 물고기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 수 있다면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te Angler’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제가 출판할 번역본에는 이런 내용들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게임 피싱과 콜스 피싱으로 구분했던 영국의 계급문화가 현대를 사는 우리의 낚시문화에도 자리하고 있지는 않은가? 고개를 갸웃해보는 것은 저만의 생각이어야겠지요?

조어대전(釣魚大全) 기존 번역본의 심각한 결함

조어대전(釣魚大全) 기존 번역본의 심각한 결함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at Angler’는 낚시의 바이블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지만, 국내에서 번역본이 출판된 것은 여러 차례 소개한 것처럼 2014년에 작고하신 안동림 교수님과 이재룡씨가 번역한 2권뿐입니다.

그러나, 2권 모두 조어대전(釣魚大全)을 완전하게 번역했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이재룡씨가 번역한 것은 자꾸만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듭니다.

감히 이런 평가를 하느냐고 나무라거나 반문할 수도 있기에 지금부터 번역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안동림 교수께서 번역하신 것은 일본에서 번역된 것을 다시 번역한 것으로, 교수님께서 번역하신 일본의 번역본은, 번역하던 일본인이 영문판의 낙장(落張) 때문에 찰스 코튼이 쓴 제2부의 일부가 빠져있음은 역자도 본문에서 밝히고 있는 바입니다.

그러나 제1부 제5장의 송어낚시에 관한 부분은 전체의 30%가 정도가 빠져있음에도 그 이유를 일본인 역자(譯者)가 언급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마도 모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따라서, 안동림 교수님의 번역본도 제1부 제5장 송어낚시에 관한 내용이 30%가 누락되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런데, 이재룡씨의 번역본에도 이처럼 30%가 빠져있다는 것은 이해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당시는 이미 1903년판 조어대전이 공개 도메인에 올라있던 터였기에 원본을 번역했다면 이재룡씨는 30%를 빼먹지 않아야 했을 뿐만 아니라, 빠진 부분이 안동림 교수님의 번역본과 일치한다는 것이 쉽게 납득이 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 의문은 금방 풀렸는데, 그 얘기에 앞서 하나만 더 짚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작 월튼의 The Complete Angler의 번역을 시작하면서”란 포스팅에서 이미 비교해본 바가 있었지만 두 권의 번역본은 목차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원본의 목차는 제1부가 전부 2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교수님의 번역본은 원본과 같은 21장이 마지막이고, 이재룡씨의 번역본은 20장까지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아주 중요한 원본의 제19장은 두 권 모두에 빠져있다는 것이 크나큰 문제인 것입니다.

아이작 월튼이 쓴 조어대전의 제1부 제19장은 영국의 유명한 강과 물고기에 대한 내용이지만 국내 번역본 모두는 이것을 빠뜨리고 출판되었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2권 모두. 이것도 우연의 일치일까요?

그렇지 않다는 것은 금방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안동림 교수님의 번역본은 오역(誤譯)한 부분이 2군데 있었는데,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부정문을 긍정문으로 번역한 것이 그것이며 글자를 빠뜨린 탈자(脫字)가 딱 한 군데 있었습니다.

물론 탈자는 있을 수 있는 일이어서 문제라곤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 빠진 글자가 똑같이 이재룡씨의 번역본에서도 발견된 것은 우연이라고는 보기가 어렵습니다.

특별히 뛰어난 능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1903년 조지 벨 출판사에서 펴낸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at Angler’ 제1부의 번역을 드디어 마무리 지었습니다.

주말을 이용해 원고를 마지막으로 점검하고 시원한 맥주나 한잔 마실까 합니다.

아이작 월턴의 The Complete Angler의 번역을 시작하면서

아이작 월턴의 The Complete Angler의 번역을 시작하면서

조어대전(釣魚大典)이란 제목으로 알려진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책 ‘The Complete Angler’는 2014년에 작고하신 우당(愚堂) 안동림 교수님과 이재룡씨가 번역한 두 가지가 있다.

그러나 낚시인의 한 사람으로서는 번역서에 약간의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고, 언젠가 기회가 되면 번역해보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던 중에 드디어 용기를 내어 시작해보기로 했지만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의 ‘The Complete Angler’를 어디까지 번역할 것인가 하는 점이 제일 첫 번째 결정해야 할 사항으로 떠올랐다.

아이작 월튼은 ‘The Compleat Angler’를 “Iz. Wa”란 익명으로 제4판까지 발행하였는데 1653년에 초판이 발행된 이후, 1655년에는 개정증보판인 2판이 발행되었고, 1661년에 3판, 1668년에 4판이 발행되었다.

이것이 우리가 번역서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총 21장으로 구성된 4판에 해당하며, 1676년에 찰스 코튼(Charles Cotton)이 플라이피싱에 관한 내용을 쓰고 아이작 월튼이 가필(加筆)한 것을 제2부로 합본한 5판은 번역된 것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도 추가를 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로 번역할 것인지는 앞으로 고민해봐야 할 문제다.

또한 1662년에 아이작 월튼은 ‘The Experience’d Angler or Angling Improv’d’라는 책을 쓴 로버트 베너블즈(Robert Venables)에게 자신도 30년 이상이나 낚시를 해오고 있다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를 근거로 아이작은 30대 중후반에야 비로소 낚시를 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아이작은 자기의 맘에 들었던 로버트 베너블즈(Robert Venables)가 쓴 ‘The Experience’d Angler or Angling Improv’d’을 합본하여 ‘The Complete Angler’를 펴내기도 했던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는 이야기다.

그러나 로버트 베너블즈(Robert Venables)가 쓴 것은 아이작이 쓴 제1부와 찰스 코튼이 쓴 제2부에 이어서 제3부로 수록되었으나 문학가가 아닌 군인이었던 로버트 베너블즈가 쓴 글은 너무 크게 차이가 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아이작 월튼 사후에는 생략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로버트 베너블즈는 차치하더라도 찰스 코튼(Charles Cotton)이 쓴 내용들은 번역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짧은 실력임에도 불구하고 번역에 도전하기로 용기를 내게 된 것은 문학적인 표현은 감히 평가할 수 없지만 낚시에 대한 부분에서 아쉬움을 많이 느낀 것이 동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우선 원문과 번역본의 제목을 서로 비교해보면 물고기의 이름에서 오류(?)라고까지는 못해도 부족한 점이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

순서
원본 제목
번역본 제목(안동림 역)
번역본 제목(이재룡 역)
제1장
A conference betwixt an angler, a hunter, and a falconer; each commending his recreation.
釣師와 나그네의 對話
낚시꾼, 매사냥꾼과 사냥꾼 이야기
제2장
Observations of the Otter and the Chub
수달 이야기
수달과 황어 이야기
제3장
How to fish for, and to dress the Chavender, or Chub
황어낚시와 그 料理法
황어낚시와 그 요리법
제4장
Observations of the nature and breeding of the Trout, and how to fish for him.
And the Milkmaid’s song
自然의 觀察
송어의 생태와 잡는 방법
제5장
More directions how to fish for, and how to make for the Trout an artificial minnow and flies; with some merriment.
송어 낚는 방법
송어 이야기
제6장
Observations of the Umber or Grayling, and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그레일링의 관찰과 낚는 방법
살기 이야기
제7장
Observations of the Salmon: With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연어의 관찰과 낚는 방법
연어 이야기
제8장
Observations of the Luce or Pike, with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곤들매기(꼬치어)의 관찰과 낚는 방법
창꼬치어 이야기
제9장
Observations of the Carp, with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잉어의 관찰과 낚는 방법
잉어 이야기
제10장
Observations of the Bream, and directions to catch him
브림의 관찰과 낚는 방법
브림 이야기
제11장
Observations of the Tench, and advice how to angle for him
텐치의 관찰과 낚는 방법
텐치 이야기
제12장
Observations of the Pearch, and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농어의 관찰과 낚는 방법
농어 이야기
제13장
Observations of the Eele, and other fish that want scales, and how to fish for them
뱀장어 및 비늘이 없는 類似魚種에 대한 관찰과 낚는 방법
뱀장어와 비늘이 없는 물고기들
제14장
Observations of the Barbel, and directions how to fish for him
돌잉어의 관찰과 낚는 방법
돌잉어 이야기
제15장
Observations of the Gudgion, the Ruff and the Bleak, and how to fish for them
모샘치의 관찰과 낚는 방법
모샘치·러프·블리크 이야기
제16장
Is of nothing; or that which is nothing worth.
하찮은 이야기 이것 저것
하찮은 이야기들
제17장
Of Roach and Dace and how to fish for them; and of Cadis.
데이스와 로오치 낚는 방법 및 미끼에 대하여
로치와 데이스 이야기
제18장
Of the Minnow or Penk, of the Loach,
and of the Bull-head, or Miller’s-thumb
雜魚에 대하여
피라미·미꾸라지·메기·큰가시고기 이야기
제19장
Of several rivers, and some observations of fish.
養魚場과 그 관리방법
양어장 이야기
제20장
Of Fish-ponds, and how to oreder them
나그네와 釣師의 對話
낚시꾼과 나그네
제21장
Directions for making of a Line, and for the colouring of both Rod and Line
釣師와 그의 아내 그리고 나그네

예를 들어 농어로 번역한 퍼치(Perch)는 농어로 번역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돌잉어로 번역한 바벨(Barbel)도 물살이 빠른 곳에서 서식하는 등의 습성으로 볼 때 잉어과에 속하기는 해도 일본에 분포하는 돌잉어로 번역한 것은 잘못된 것이란 생각이 든다.

퍼치 (Perch)

 

바벨(Barbel)이란 의미는 물고기의 수염을 뜻하는 것으로 바벨(Barbel)은 돌잉어와는 엄연히 다른 어종이기 때문에 바로잡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는 판단이며 혹시라도 섣부른 판단이 불러올 수도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전문가에게 의뢰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

바벨 (Barbel)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6명이 조어대전을 번역하였으며 그 중에서 모리히데토(森秀人)가 번역한 것을 보면 돌잉어에 해당하는 제14장에서 니고이(似鯉)라는 일본 고유어종으로 번역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이런 영향을 받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되지만 바벨(Barbel)과 니고이(似鯉)는 학명도 다른 어종이므로 그냥 바벨이란 이름으로 번역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언제 작업을 마칠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지금 하고 있는 아이작 월튼 평전(評傳)의 탈고를 마치는 대로 ‘The Compleat Angler’의 번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인데 지치지 않고 꾸준하게 해나갈 것을 스스로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