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쇼어 스위블 노트(Offshore Swivel Knot)

오프쇼어 스위블 노트(Offshore Swivel Knot)

원투낚시에서 안전과 가장 직결되는 부분은 바로 원줄과 힘줄(힘사)이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매듭 부위를 매듭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직결매듭을 못하는 경우에, 도래를 사용하지 않거나 심지어는 튼튼하지 않은 매듭으로 스냅을 연결하여 채비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원투낚시의 채비는 아래의 사진과 같은데 초보자들의 경우를 보면 원줄을 핀도래에 바로 연결하거나 혹은 핀도래에 스냅을 연결하고 원줄을 연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럴 경우 원줄에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서 손상이 오면 위험한 일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번에는 매듭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프쇼어 스위블 노트(Offshore Swivel Kno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매듭법은 더블라인을 먼저 해주고 매듭을 짓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더블라인은 한 쪽이 끊어져도 다른 쪽은 풀리지 않기에 원줄의 손상이 오더라도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어서 무거운 봉돌을 사용하는 원투낚시의 안전을 위해서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더블라인 매듭은 비교적 쉬운 “8자 매듭”과 스파이더 히치 두 가지를 알아본 적이 있는데 오프쇼어 스위블 노트(Offshore Swivel Knot)에는 “8자 매듭이면 충분하며, 물론 이 매듭은 더블라인을 맺지 않고도 할 수는 있으나 무조건 더블라인 매듭을 한 다음에 오프쇼어 스위블 노트(Offshore Swivel Knot)를 하실 것을 권유합니다.

더블라인을 하지 않은 오프쇼어 스위블 노트

그러면 지금부터 자세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8자 매듭을 합니다.

 

2. 라인을 도래나 스냅의 안으로 통과시킵니다.

 

3. 라인을 한 번 비튼 다음 도래나 스냅을 통과시킵니다.

 

4. 라인을 벌려 원을 만들어 줍니다.

 

5. 원 안으로 도래나 스냅을 4~5회 빠져나가게 합니다.

 

6. 라인을 천천히 당겨줍니다.

※ 다른 매듭법과 달리 당길 때 매듭을 아래로 조금씩 눌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7. 완성된 모습

더블라인 매듭-스파이더 히치

더블라인 매듭-스파이더 히치

라인을 이중으로 만드는 매듭 중에는 비미니트위스트가 강도가 가장 높으나 매듭을 만드는 것이 조금 어려운 편이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8자 매듭”이다.

이 스파이더 히치는 “8자 매듭”만큼 간편하여 흔들리는 선상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매듭을 하기가 용이한데 자세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라인을 필요한 길이만큼 이중으로 만든다.

2. 라인을 한 바퀴 돌려 고리를 만든다.

 

3. 라인의 교차점을 잡고 5~6회 감는다. 이 때 엄지손가락도 함께 감는다.

 

뒤에서 본 모습

 

4. 다 감은 후 고리 안으로 라인의 끝을 빼낸다.

 

5. 더블라인을 잡고 천천히 당기며 엄지에서 라인이 차례로 풀리도록 한다.

 

6. 양쪽을 잡아당긴다.

 

7. 여분을 남기고 자른다.

원줄에 목줄을 직결하는 가지채비 매듭

원줄에 목줄을 직결하는 가지채비 매듭

출조를 하게 되면 목줄과 채비를 미리 준비하게 되지만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흔히 얘기하는 카드채비를 원줄에 직결하는 방법이 바로 이 매듭법이다.

이 매듭의 기본은 8자 매듭이며 여기 포스팅하는 이외에도 많은 형태의 매듭이 있으나 현장에서 임시방편으로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1. 원줄과 목줄이 연결된 바늘을 나란히 놓는다.

※ 이 때 바늘과 원줄의 짧은 쪽 방향이 일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주 불편하다^^

2. 바늘의 목줄과 원줄을 같이 돌려 고리를 만든다.

3. 한 바퀴 더 돌려 8자 모양을 만든다.

 

4. 만들어진 라인의 고리(윗쪽) 사이로 바늘과 원줄을 통과시킨다.

 

5. 양쪽을 당겨준 후 목줄을 여분만 남기고 자른다.

6. 원하는 만큼의 바늘을 달면 된다.

직결 매듭법-올브라이트 노트(Albright Knot)

직결 매듭법-올브라이트 노트(Albright Knot)

이 매듭법은 미국 플로리다 출신의 지미 올브라이트(Jimmy Albright)가 1950 년대에 고안한 것으로 주로 두꺼운 라인의 체결에 사용하는데, 배우기가 쉽고 매듭을 하는 시간도 짧아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다.

올브라이트 노트(Albright Knot)의 방법을 알아보면

1. 리더를 돌려 고리를 만들어 준다.

 

2. 만들어진 리더의 고리 안으로 원줄을 넣는다.

※ 이때 원줄의 짧은 부분의 길이가 20cm 정도가 되도록 하고 리더와 원줄의 교차점을 단단히 잡는다.

 

3. 원줄의 짧은 부분을 돌려 리더와 원줄의 오른쪽으로 감아나간다.

 

4. 10회 정도 감는다.

 

5. 원줄의 짧은 부분을 리더의 고리 안으로 통과시킨다.

 

6. 리더의 본선과 짧은 부분, 원줄의 본선과 짧은 부분을 잡고 천천히 당겨준다.

 

7. 마지막으로 강하게 당겨준다.

 

8. 여분의 라인을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최강매듭

도래 매듭법-최강매듭

이 매듭법은 쟌식 스페셜 노트와 비슷하지만 도래의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직접 감는 방법이 쟌식 스페셜 노트이고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세로로 2바퀴 돌린 다음 라인의 고리 사이로 빼내는 것이 바로 이 최강매듭법이다.

그러면 자세한 방법을 알아보자.

1. 라인을 도래의 고리로 통과시킨다.

 

2. 한 번 더 통과시킨다.

 

3.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세로로 2바퀴 감는다.

※ 쟌식 스페셜 노트는 도래를 통과한 라인을 직접 돌려서 감는다는 것이 다르다.

 

4. 라인의 끝을 라인의 고리 사이로 빼낸다.

 

5. 양쪽을 당겨주고 여분만 남기고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쟌식 스페셜 노트(어부매듭)

도래 매듭법-쟌식 스페셜 노트(어부매듭)

쟌식 스페셜 노트” 또는 “어부매듭”이라고 부르는 이 매듭법은 도래를 열결할 때 사용하는 다른 매듭인 “클린치 노트”나 “유니노트”에 비해 결속강도가 높아서 추천하는 매듭이다.

매듭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도래의 고리 부분으로 라인을 통과시킨다.

도래 매듭법-클린치 노트(clinch knot)

도래 매듭법-클린치 노트(clinch knot)

이 매듭법은 현장에서 사용하는 도중 풀려버린 경험이 있어 추천하고 싶은 매듭은 아닌데 “도래 매듭법”의 카테고리에 있는 다른 매듭법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그리고 도래의 고리 안으로 두 바퀴를 돌리는 방법과 라인을 두 겹으로 하여 매듭을 하는 방법을 모두 “더블 클린치 노트”라고 부르고 있다.

클린치 노트의 방법은 아래와 같이 아주 간단하고 쉽지만 3번 그림과 같이 매듭 안으로 한 번만 통과시키고 마무리할 경우에는 줄이 풀릴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매듭을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앞쪽의 작은 고리와 뒷쪽의 큰고리 부분으로 두 번 통과시키고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그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 이 때 라인을 도래의 고리와 매듭의 고리 부분으로 함께 빼주면 더욱 튼튼하게 된다.

※ 매듭을 소개하는 것 중에는 라인을 앞쪽의 고리 부분만 통과시키는 것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라인이 풀릴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2개의 고리 안으로 통과시키고 앞 부분의 경우에는 도래의 고리를 함께 통과시키면 더욱 튼튼한 매듭이 된다.

이모마츠 노트와 AG 체인노트

이모마츠 노트와 AG 체인노트

결속강도가 거의 100%를 보인다고 해서 지깅낚시를 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모마츠는 일본어로 애벌레를 말하는데, 매듭을 완성한 모습이 애벌레와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다른 표현으로는 하프히치를 여러 번 한다고 해서 “더블 하프히치 노트”라고도 부릅니다.

“더블 하프히치”로도 불리는 이유는 하프히치를 할 때 한 번은 안쪽으로 돌리고 한 번은 바깥쪽으로 돌려서 매듭을 한다고 해서입니다.

그리고 이런 “이모마츠 노트”와 거의 유사한 매듭법으로 “AG 체인노트”란 것이 있는데 두 가지의 차이점은 최초로 라인을 도래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매듭만 다를 뿐이지 그 이후의 단계는 모두 같습니다.

 

즉, 이모마츠 매듭을 하기 위하여 도래에 라인을 연결하는 모습은 아래와 같으며

 

AG 체인 노트를 하기 위한 연결은 사진처럼 처음부터 하프히치를 한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처음 시작하는 매듭을 어떤 형태로 하는가에 따라서 이모마츠 노트와 AG 체인 노트로 구분되는데 그 이후의 단계는 두 가지 모두 같으며, 강도는 현재로서는 최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매듭법은 직결을 하는 때에도 사용되는데 “야마리아”의 홈페이지에 있는 사진을 보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줄에 리더를 하프히치합니다.

 

2. 리더를 안으로 돌립니다.

 

3. 안으로 돌린 리더를 앞쪽에서부터 위로 통과시킵니다.

 

4. 가까이 당겨 조여줍니다.

 

5. 이번에는 리더를 바깥쪽(앞쪽)으로 돌립니다.

 

6. 바깥쪽으로 돌린 리더를 안쪽에서 위로 통과시킵니다.

 

7. 가까이 당겨 조여줍니다.

 

8. A~F의 과정을 필요한 횟수만큼 반복합니다.

 

9. 마지막에는 풀리지 않도록 마감합니다.

 

10. 천천히 당겨서 조인 다음 자르고 라이터로 마무리하면 됩니다.

 

완성된 AG 체인노트

 

완성된 이모마츠 노트

낚시바늘 묶는법-바깥 돌리기(마쿠라 방식)

낚시바늘 묶는법-바깥 돌리기(마쿠라 방식)

이 방법은 일본에서 낚시명인으로 유명한 마츠다 미노루(松田稔)가 고안한 방식으로 일본에서는 마쿠라방식이라고 하는데 마쿠라는 우리말로 베개를 뜻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매듭을 하는 것이 완충 역할을 해준다고 하는데 통상적인 “바깥 돌리기”방식과의 차이점은 라인을 바늘에 감을 때 바늘과 라인을 함께 감는데 반해 이 방법은 마지막 단계에서는 바늘만 감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목줄이 쓸림에 강하도록 보강하는 방법이라고 하는데 한편에서는 나카이도(中井戸)와 같은 저명 낚시인은 오히려 보강한 부분이 약해지기 쉬워서 추천하고 싶지 않은 매듭이라고 말하고 있다.

강도의 측면에서는 통상적인 “바깥 돌리기”보다 12.9% 정도 강하다는 실험결과가 있는데 이 실험은 단지 일직선으로 당기는 것이었기에 물고기가 요동을 치는 등의 변화에 따른 부하와 힘의 작용방향 등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므로 신뢰도는 낮다고 하겠다.

매듭의 방법을 소개하면 일반적인 “바깥 돌리기”와 똑같으며 단지 마지막 감는 단계에서는 바늘만을 감으며 감는 횟수는 1~3회 정도가 무난하다. 그러면 바늘을 묶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바늘에 목줄을 대고 고리를 만든다.

 

2. 바늘의 축과 목줄을 함께 5~8회 정도 감는다.

 

3. 마지막에는 바늘만 감는다. 횟수는 2~3회

※마지막으로 바늘만 감은 부분을 “마쿠라”라고 한다.

 

 

4. 목줄의 끝을 고리 사이로 빼내고 당겨준다.

 

5. 본선을 당겨준다.

 

마지막의 “마쿠라”가 과연 얼마나 완충 역할을 하는지는 나도 의문이다.

낚시바늘 묶는 법-안 돌리기(두 번째)

낚시바늘 묶는 법-안 돌리기(두 번째)

낚시바늘을 묶는 방법은 목줄을 안쪽으로 감느냐, 바깥쪽으로 감느냐에 따라서 안돌리기, 바깥돌리기라고 부르고 있는데 오늘은 지난번에 알아본 “안돌리기”와는 조금 다른 유니노트를 이용한 안돌리기 매듭법을 알아보자.

바늘을 묶는 것이 처음이신 분들은 오늘 소개하는 방법보다는 지난번에 소개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면 유니노트를 이용하여 바늘을 안으로 돌려서 묶는 방법을 알아보자.

※ 바늘을 라인이라고 생각하면 유니노트와 매듭의 방법이 동일하다.

※ 목줄의 끝부분이 짧기 때문에 가급적 도구를 사용하여 강하게 당겨주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목줄의 여분을 남기고 잘라준 후 라인의 방향을 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