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래 매듭법-더블 클린치 노트

도래 매듭법-더블 클린치 노트

도래나 낚싯바늘과 낚시줄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매듭법의 하나로 도래의 고리 부분으로 한 번만 통과시키면 “클린치 매듭”, 두 번 통과시키면 “더블 클린치 매듭”이라고 통상 지칭하고 있는데 사람에 따라서는 라인을 두겹으로 하여 “클린치 매듭”을 하는 것을 “더블 클린치 매듭”이라고도 부른다.(※ 도래를 연결하는 매듭으로 사용하는 클린치 매듭과 유니노트 등은 결속력이 조금 떨어지는 편이라 “도래 매듭법”의 카테고리 안에 있는 다른 매듭법을 추천한다.)

그러나 고리 안으로 라인을 두 번 넣어 매듭을 하는 것의 정식 명칭은 트라일렌 노트(trilene knot)라고 부르는데 매듭의 방법은 클린치 노트와 동일하고 단지 고리 안으로 라인을 두 번 넣는다는 것만이 차이점이다.

더블 클린치 매듭(트라일렌 노트: trilene knot)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도래의 고리부분으로 라인을 통과시킨다.

 

한 번 더 라인을 통과시킨다.

 

라인을 5회 정도 꼬아준다.

 

라인의 고리부분으로 라인의 짧은 쪽을 통과시킨다.

 

라인을 당겨주고 끝을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완전매듭(어부매듭)

도래 매듭법-완전매듭(어부매듭)

낚시에 사용되는 매듭법 중에는 어부매듭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있는데 한 종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어부매듭”이 단 한 가지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란 점을 알아야 한다.

이 매듭의 기원이 어디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래 매듭법 중에서는 결속강도에 있어서 세 손가락 안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매듭의 방법도 간단하므로 익혀두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방법을 순서대로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1. 라인을 2겹으로 하여 도래의 고리를 통과시킨다.

2. 통과한 2겹의 라인과 라인의 본선(총 3개)을 라인의 짧은 부분으로 4~5회 감고 2겹의 라인 사이로 빼서 당겨 준다.

 

3. 도래와 라인의 본선을 양쪽으로 당겨 주고 라인의 짧은 부분을 여분만 남기고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팔로마 노트(palomar knot)

도래 매듭법-팔로마 노트(palomar knot)

팔로마 노트는 방법이 간단하고 쉬워서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매듭법인데 사진과 같이 도래매듭뿐만 아니라 다운샷이나 지그헤드의 매듭에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방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라인을 두 겹으로 만들어 도래의 고리를 통과시킨다.

 

2. 통과한 라인을 한 바퀴 돌려 매듭을 만든다.

 

3. 매듭을 만들고 난 끝 부분으로 도래를 통과시킨다.

 

4. 라인을 당겨서 조여준다.

 

5. 완성

 

낚시바늘의 매듭도 방법은 동일하며 그림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래 매듭법-빠르고 강한 매듭

도래 매듭법-빠르고 강한 매듭

도래매듭을 포함하여 낚시에 사용되는 매듭은 아무리 완벽하고 강한 매듭이라고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결강도는 떨어진다. 따라서 낚시터에서는 밑걸림이나 기타의 이유로 매듭을 다시 해야 하는 일이 생기는데 이럴 경우 아무리 튼튼한 매듭이라고 할지라도 방법이 복잡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든지 아니면 간단하면서도 빨리 매듭을 할 수 있을지라도 그 강도가 떨어진다면 문제가 된다.

오늘 소개하는 이 매듭은 빠르면서도 강도는 다른 매듭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는데 매듭의 방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라인을 도래의 고리로 통과시킨다.

2. 통과시킨 라인을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안에서 밖으로 통과시킨다.

 

3. 라인을 당겨주고 여분만 남기고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최강매듭

도래 매듭법-최강매듭

이 매듭법은 쟌식 스페셜 노트와 비슷하지만 도래의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직접 감는 방법이 쟌식 스페셜 노트이고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세로로 2바퀴 돌린 다음 라인의 고리 사이로 빼내는 것이 바로 이 최강매듭법이다.

그러면 자세한 방법을 알아보자.

1. 라인을 도래의 고리로 통과시킨다.

 

2. 한 번 더 통과시킨다.

 

3.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세로로 2바퀴 감는다.

※ 쟌식 스페셜 노트는 도래를 통과한 라인을 직접 돌려서 감는다는 것이 다르다.

 

4. 라인의 끝을 라인의 고리 사이로 빼낸다.

 

5. 양쪽을 당겨주고 여분만 남기고 잘라준다.

도래 매듭법-쟌식 스페셜 노트(어부매듭)

도래 매듭법-쟌식 스페셜 노트(어부매듭)

쟌식 스페셜 노트” 또는 “어부매듭”이라고 부르는 이 매듭법은 도래를 열결할 때 사용하는 다른 매듭인 “클린치 노트”나 “유니노트”에 비해 결속강도가 높아서 추천하는 매듭이다.

매듭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도래의 고리 부분으로 라인을 통과시킨다.

도래 매듭법-클린치 노트(clinch knot)

도래 매듭법-클린치 노트(clinch knot)

이 매듭법은 현장에서 사용하는 도중 풀려버린 경험이 있어 추천하고 싶은 매듭은 아닌데 “도래 매듭법”의 카테고리에 있는 다른 매듭법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그리고 도래의 고리 안으로 두 바퀴를 돌리는 방법과 라인을 두 겹으로 하여 매듭을 하는 방법을 모두 “더블 클린치 노트”라고 부르고 있다.

클린치 노트의 방법은 아래와 같이 아주 간단하고 쉽지만 3번 그림과 같이 매듭 안으로 한 번만 통과시키고 마무리할 경우에는 줄이 풀릴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매듭을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앞쪽의 작은 고리와 뒷쪽의 큰고리 부분으로 두 번 통과시키고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그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 이 때 라인을 도래의 고리와 매듭의 고리 부분으로 함께 빼주면 더욱 튼튼하게 된다.

※ 매듭을 소개하는 것 중에는 라인을 앞쪽의 고리 부분만 통과시키는 것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라인이 풀릴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2개의 고리 안으로 통과시키고 앞 부분의 경우에는 도래의 고리를 함께 통과시키면 더욱 튼튼한 매듭이 된다.

도래 매듭법-유니노트(던컨 루프 노트)

도래 매듭법-유니노트(던컨 루프 노트)

이번에 알아볼 도래매듭의 명칭은 통상 유니노트라고 부르지만 정식 이름은 던컨 루프 노트(Duncan Loop Knot)라고 하는 매듭법이다.

이 매듭은 도래를 묶는 것뿐만 아니라 바늘을 묶는데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난번에 알아본 찌낚시에서 수심을 조절하기 위한 면사매듭 그리고 릴에 원줄을 감을 때 스풀에 라인을 묶을 때도 애용되고 있으며 직결매듭법의 한 가지인 “전차매듭”에도 사용되는 등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매듭법이다.

그러면 이제 매듭법을 자세히 알아보자.

1. 도래의 고리로 라인을 통과시킨다.

2. 통과한 라인을 아래에서 위로 돌려 고리를 만든다.

3. 만들어진 고리 사이로 라인을 위에서 아래로 4~5회 통과시킨다.

4. 라인의 짧은 부분을 당겨서 매듭을 조여준다.

5. 라인의 본선을 강하게 당겨서 매듭부위가 도래의 고리에 닿도록 한다.

6. 라인의 짧은 쪽을 여분만 남기고 자른다.

7. 완성된 모습

릴에 라인을 감을 때도 사용하는 면사매듭(유니노트)

릴에 라인을 감을 때도 사용하는 면사매듭(유니노트)

반유동 찌낚시에서 많이 사용되는 면사매듭은 일명 유니노트로 불리고 있는데 많은 곳에서 응용되는 매듭으로 낚시가 처음이신 분들은 릴에 원줄을 감을 때도 사용되는 매듭이므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도래 매듭법-심해매듭

도래 매듭법-심해매듭

오늘은 도래매듭법의 9번째 순서로 심해매듭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도래의 고리를 통과한 라인을 한 바퀴 돌려 고리를 만든다.

 

2. 고리 사이로 라인을 통과시켜 매듭을 만든다.

 

3. 라인의 고리를 한 바퀴 돌려 8자를 만든다.

 

4. 8자의 아래쪽 고리로 라인을 빼낸다.

 

5. 양쪽을 당겨준다.

 

6. 여분을 남기고 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