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줄의 굵기와 색깔은 정말 조과에 영향을 미칠까?

목줄의 굵기와 색깔은 정말 조과에 영향을 미칠까?

바다낚시에서 목줄이나 쇼크리더로 사용되는 소재는 기본적으로 나일론 또는 플루오르 카본이며 그 중에서도 플루오르카본이 더 적당하다는 것이 낚시인들의 공통된 생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코팅 처리된 PE라인을 목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라인도 목줄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어느 정도 낚시를 경험한 사람에게 낚시의 종류는 불문하고, 나일론과 플루오르 카본 중 어느 것을 목줄로 선택할 것인가를 물으면 십중팔구 플루오르 카본을 선택하는데, 그 주된 이유는 비중이 커서 물에 가라앉기 쉬우며, 수중에서의 강도는 나일론보다 강하면서도 신도는 더 적고 감도는 좋으며 수중의 암초나 장애물에 스쳐서 생기는 손상에 강하며 물고기에게 잘 보이지 않으므로 경계심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재질에 의한 목줄의 선택 이외에도 많은 낚시인들은 굵기(호수)를 어느 정도로 해야 하며, 색깔이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될까? 하는 점에 있어서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물고기는 색깔을 인식할까?”에서 알아본 결론만 다시 인용하자면 아래와 같이 색을 식별하는 어종과 하지 못하는 어종, 그리고 색맹인 어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색을 식별하는 어종】

농어, 숭어, 우럭, 놀래미, 돌돔, 넙치, 감성돔, 전어 등

【색을 식별하지 못하는 어종】

쥐치, 방어, 상어, 기타 빛이 닿지 않는 심해에 사는 어종

※기타 낙지, 무늬 오징어, 갑오징어는 색맹

상기의 구분은 학계에서 오랜 연구 끝에 나온 결과인데 이제 시즌을 앞두고 있는 참돔낚시의 경우, 참돔은 색깔을 구별하는 어종으로 나와 있는데 과연 그런지 실험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험에 사용한 라인(낚싯줄)은 아래와 같습니다.

· 플루오르 카본 14호

· 플루오르 카본 1.2호

· 1.5호 PE라인(합사)

· 1.7호 반투명 옐로우 색상 나일론 라인

 

◉ 14호 플루오르 카본을 목줄로 사용한 경우

미끼를 발견하고 다가온 참돔들이 미끼를 먹지 않고 몸을 돌려 멀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추후 미끼를 먹었습니다.

 

 

◉ 1.2호 플루오르 카본을 목줄로 사용한 경우

미끼를 발견하고 다가온 참돔은 바로 미끼를 먹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확실히 목줄을 가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굵은 14호 플루오르 카본을 사용했을 때와는 전혀 다르게 먹이를 먹는 모습임을 볼 수 있습니다.

   

 

◉ 색깔이 있는 1.5호 PE라인(합사)을 목줄로 사용한 경우

미끼를 발견하면 즉시 다가오지만 미끼 앞에서 몸을 돌려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다시 돌아와 몇 번의 탐색 후에 미끼를 먹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1.75 옐로우 색상의 나일론을 목줄로 사용한 경우

미끼를 발견하고는 다가오지만 가까이에서 몸을 돌려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나중에 다시 돌아와 먹이를 먹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실험결과

목줄이 가늘수록 경계심을 적게 가지고 미끼를 먹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목줄이 가늘다는 것은 목줄의 무게에 의한 가라앉는 속도와 수중에서의 모습과도 관련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미끼 앞까지 다가온 참돔이 몸을 돌려 멀어지는 것은 굵고 색깔이 있는 목줄을 사용하였을 때라는 것은 실험결과로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플루오르 카본에 비하여 색깔이 있는 PE라인과 나일론의 경우에도 참돔이 경계심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국에는 모든 목줄에서 참돔이 미끼를 먹는 것을 보았는데 대상어종의 활성도가 높지 않은 시기에는 사용하는 목줄의 두께는 가는 것이 좋고, 가급적이면 색깔이 없는 투명한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확인한 실험이었습니다.

요런 녀석들은 모두들

당연히 놓아주시죠?^^

4합사, 8합사, 12합사의 비거리 차이

4합사, 8합사, 12합사의 비거리 차이

원투낚시와 루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비거리의 향상은 중요한 요소로서 사용하는 장비나 채비에 변화를 주어 비거리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의 하나로 몇 번 꼬아서 만든 합사(PE)를 사용하는가 하는 것이 있다.

낚시와 관련해서는 카더라~ 하는 정보들이 많은데 4합사, 8합사, 12합사는 어떤 것이 더 멀리 날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는 12합사일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으나 실제 실험한 결과의 데이터로 설명하는 경우는 잘 없어서 일본 시마노에서 비교한 실험결과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그런데 특정 제품명을 노출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지금까지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지켜오던 원칙이기도 하지만 특히나 일본불매운동이 확대되고 있는 지금, 이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본인으로서는 실험에 사용된 제품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단지 원문의 링크를 남겨둔다.

※ 시마노의 비거리 실험 원문

실험에 사용된 합사의 호수는 1.2호로서 4, 8, 12합사를 각각 같은 기종의 릴에 200m씩 감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쇼크리더는 연결하지 않고 실험을 했다.

실험방법은 9.6피트의 로드로 시마노에서 생산하는 루어를 각각 8번씩 던져 최댓값과 최솟값을 뺀 6회의 평균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구분
4합사
8합사
12합사
평균 비거리
48.5m
53.6m
56.1m
4합사 대비(%)
0
10.5 % 증가
15.6 % 증가
기타(%)
0
4합사 대비 10.5 % 증가
8합사 대비 4.7 %증가

 

+4합사에서 8합사로 바꾸면 비거리는 10.5%, 8합사에서 12합사로 바꾸면 4.7%가 향상된다는 것을 이 실험은 보여주고 있지만 낚시인들에게는 가격이 결국 문제로 다가오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현재 비거리에 만족한다면 굳이 고가의 12합사를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지만, 그렇지 않고 비거리의 향상을 원한다면 8합사를 사용하는 정도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이 실험은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8합사에서 12합사로 바꾸면 향상되는 5% 정도의 비거리는 캐스팅 자세와 방법의 수정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니까!

낚싯줄(라인)의 파운드(lb) 표기 제대로 이해하고 계십니까?

낚싯줄(라인)의 파운드(lb) 표기 제대로 이해하고 계십니까?

낚싯줄의 호수와 두께에 관한 글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낚싯줄(라인)의 규격으로 사용되는 호수(號數)라는 것은 나일론을 원료로 한 라인이 개발되고 나서 표준직경이란 것을 일본에서 정하면서 5척(약 150cm)의 무게가 1리(厘: 약 0.0375g)인 라인을 1호로서 규격을 정했는데 이것의 직경이 0.165mm였던 것에서 비롯되어 지금도 이 호수를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2010년에 통일규격이 제정되기 전에는 나일론 라인을 제외한 플루오르나 합사(PE)라인의 경우에는 업체마다의 굵기가 달랐습니다(지금도 그렇지만).

특히 플루오르의 경우에는 표기를 업체의 자율에 맡김으로 인해서 플루오르의 강도가 나일론과 같도록 하기 위해 약간 두껍게 만드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로 인해 릴에 감는 라인의 양을 자세히 살펴보면 나일론보다 플루오르가 적은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런 결과로 인해서 대다수의 낚시인들이 동일한 호수라면 플루오르가 강하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 된 것이었습니다.

2010년 9월에는 플루오르의 표준규격이 제정되고 12월에는 PE의 표준도 제정이 되었기에 앞으로는 모든 업체들의 호수와 굵기는 통일되어 나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런 문제와 함께 많은 낚시인들이 모르고 있는 부분이 바로 낚싯줄의 파운드(lb) 표기입니다. 해외에서 직구로 라인을 구매하는 가장 큰 원인은 가격적인 문제라 생각되는데 막상 제품을 수령하고 나면 “엄청나게 굵다”라는 생각들을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물론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기술과 원재료의 차이에서도 기인하지만 파운드를 표기하는 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구매하는 것도 한 가지 이유입니다.

일본과 미국에서 표기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데 특히 미국식의 파운드 표기를 한 제품을 구매하게 되면 “굵다”는 생각들을 모두가 하게 됩니다.

낚싯줄의 파운드를 표기하는 방법에는 ‘파운드 테스트 라인’과 ‘파운드 클래스 라인’의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미국 등에서 표기하는 ‘파운드 테스트 라인’ 방식은 그 표기를 PTL, TEST(lb), lbT 등으로 하고 있으며 표시된 수치 이하에서는 끊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PCL, CLASS(lb), lbC 등으로 표기되는 일본식은 국제게임낚시협회(IGFA, International Game and Fish Association)가 정한 방식으로 표기하는데 표시된 수치 이상에서는 무조건 끊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동일한 10lbs라고 해도 10lbC와 10lbT는 의미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지요. 10lbC의 경우에는 10파운드의 무게가 실리면 라인이 터진다는 것이고 그것은 그 이하에서도 터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며 10lbT의 경우에는 10파운드 이상이 걸리면 라인이 터진다는 것으로 그 이상의 무게도 견딜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이런 차이에 기인하여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파운드의 표기는 극단적으로는 16파운드를 8파운드로 표기하고 있는 것도 있는 것과 같이 표기된 강도보다 실제 강도가 높은 것이 대부분이며 일본식의 경우에는 실제 강도가 표기된 강도보다 낮은 것이 많은 것입니다.

따라서 낚시인들이 느끼기에는 미국식이 일본식에 비해 동일한 파운드라고 해도 1.5배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일본식의 경우에는 근래에 들어서 파운드의 표기를 최대강도와 평균강도로 나누어 표기하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업체들이 파운드의 강도를 최대에 맞추어 표기하는 이유는 더 강한 라인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는 것이 판매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며 대다수의 낚시인들이 평균강도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가 된다고 하겠습니다.

물론 고가의 고품질 라인의 경우에는 lbC와 lbT의 차이가 크지 않고 모두를 표기하고 있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극히 일부 제품에 국한된 얘기이므로 앞으로는 라인을 구매할 때 파운드의 표기가 lbC인지 lbT인지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현명한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제품의 포장에 무게만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 표기방법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미국이나 유럽에서 판매되는 것은 ‘파운드 테스트’, 일본에서 판매되는 것은 ‘파운드 클래스’라고 보면 무방하며 일본에서 ‘파운드 테스트’ 방식의 무게로 판매하는 제품은 아래 사진과 같이 명기를 하고 있다는 점을 참고로 말씀 드립니다.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

저의 유튜브 채널을 시청하신 분께서 합사의 두께와 관련한 문의를 주셔서 오늘은 많은 낚시인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항과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공개하지 않는 것을 알아볼까 합니다.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라인을 구매할 때 호수나 파운드 표기를 보고 결정합니다. 특히 라인의 강도를 중요하게 보는데 여기에는 아주 중요한 오해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근대 낚시문화는 일본으로부터 유입되었으며 특히 낚싯줄의 호수에 대한 기준은 일본의 것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낚시용품업체인 바낙스와 시마노 및 다이와는 판매하는 합사(PE)의 제원을 어떻게 표기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얘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인장강도라고 부르는 것을 바낙스는 강도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반해 시마노와 다이와에서는 강력(强力)이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낙스

다이와

 

시마노

 

이건 단순히 번역의 차이일까요?

절대 아닙니다.

낚싯줄의 강도(强度)와 강력(强力)의 의미는 완전히 다른 것이며 일본에서도 강도를 표기하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시마노와 다이와는 물론 다른 낚싯줄 생산업체에서도 강도란 표기는 거의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두 가지의 차이와 일본에서 강도 표기를 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2010년 일본의 낚시용품공업회에서는 제정한 기준에 맞게 생산된 낚싯줄에 인증마크를 부착하여 판매하도록 하자는 안건이 표결에 부쳐진 적이 있었으나 많은 업체들의 반대로 무산된 바가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낚싯줄의 강함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강력(强力)과 강도(强度)의 두 가지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강도를 일본에서는 강력이라고 표기합니다.

그래서 앞에서 본 것처럼 시마노와 다이와도 제원에서 강력이라고 표시하고 있죠.

그렇다면 강도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알고 계시겠지만 나일론 라인 1호의 표준직경은 0.165mm입니다. 그리고 0.8호는 0.148mm이고 1.2호는 0.185mm입니다.

따라서 0.149mm~0.184mm 사이의 직경을 가진 라인이라면 1호라 표시해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굵기가 다양한 1호 라인을 무작위로 잘라 양 끝을 당겨서 끊어질 때의 하중을 일본에서는 강력이라 부르고 우리는 흔히 강도 또는 인장강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일본에서 말하는 강도라는 것은 낚싯줄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재가 가지는 본질적인 강함을 말하는데 이것은 굵기를 나타내는 데니어를 알아야만 계산할 수가 있습니다.

2010년 말, 일본에서 합사의 표준직경을 제정하기 이전에는 합사를 판매할 때는 데니어를 표시하도록 했고 1호의 기준은 200d였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은 모르시지만 나일론과 카본 라인의 기준 데니어도 제정되어 있습니다.

데니어라는 것은 9천 미터의 실이나 섬유의 무게가 1g일 때를 1d로 표시하므로 합사 1호의 기준인 200d는 9천 미터의 무게가 200g이라는 것이고 이것을 낚싯줄의 강력(强力), 즉 인장강도로 나누면 일본에서 말하는 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이나 섬유의 두께와 관계없이 본래 가지는 강도가 강하다는 것은 낚싯줄의 직경이 굵어서 강한 것이 아니라 그 소재 자체가 강하다는 것으로 굵다=강하다가 아니라 가늘면서도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척도가 되지만 어느 업체도 이를 밝히는 곳은 없습니다.

일본의 단 한 업체를 제외하곤 말입니다.

굳이 이 업체의 이름을 밝힐 필요는 없겠죠?

100d의 인장강도가 10kg이고 200d의 인장강도가 10kg이라면 강도는 각각 0.1과 0.05로 100d로 만든 라인이 가늘면서도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낚싯줄은 굵어질수록 무거워진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로 데니어를 밝히는 것은 제품의 품질을 그대로 드러내게 되는 것이므로 가능하면 업체들은 이런 정보를 밝히길 꺼리는 것이죠.

자, 이제 오늘 얘기의 결론을 내려보겠습니다.

낚싯줄 가운데 특히 합사의 굵기가 업체별로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은 합사의 표준직경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것을 준용하고 있지만 일본과는 달리 합사의 강함을 판단할 수 있는 데니어를 공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게다가 마이크로미터기로 굵기를 측정한다 하더라도 합사의 특성상 측정하는 부위가 눌려 가늘게 계측된다는 문제도 상존하므로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라인 제조의 소재가 되는 실과 섬유의 데니어를 공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우리가 판매하는 낚싯줄은 최고의 기술로 만든 가늘고 강하다는 현란한 홍보보다는 간단하게 데니어만 밝히면 됩니다. 그것만 밝혀도 매출은 급증할 것이니 어느 업체가 먼저 나서시렵니까?

저부터 대대적으로 홍보해드리겠습니다.

낚싯줄의 호수에 숨어있는 루트(√)의 비밀

낚싯줄의 호수에 숨어있는 루트(√)의 비밀

오늘은 아주 간단하게 낚싯줄의 호수별 굵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초보자들의 경우에는 가끔은 인터넷으로 낚싯줄의 지름을 찾아보기도 하는데, 계산기 어플만으로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가 있답니다.

단 한 가지, 합사를 제외한 나일론과 카본, 에스테르 라인의 1호는 지름이 0.165mm인 것만 기억하고 있으면 됩니다.

 

 

그럼, 나일론 2호의 지름은 얼마나 될까요?

1호의 2배니까 0.165에 √2를 곱하면 0.233이 나옵니다. 2호의 지름인 0.235mm와 0.002mm 밖에 차이가 나지 않죠?

그럼, 1.2호의 지름과 1.5호의 지름을 계산해볼까요?

1호의 지름인 0.165에 √1.2와 √1.5를 곱해보면 0.181과 0.202가 나오고, 이것은 규정된 1.2호의 지름인 0.185mm와 1.5호의 규정 지름인 0.205mm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죠.

따라서 1호의 지름인 0.165만 기억하고 있으면 0.1호의 지름은 √0.1을 곱하면 되고, 5호는 √5를 24호는 √24를 곱하는 등, 1호의 지름인 0.165에 √해당 호수만 곱해주면 간단하게 호수별 지름을 계산할 수가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