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마노가 하이엔드급 로드 가이드사양을 토르자이트에서 SiC로 변경키로 결정

시마노가 하이엔드급 로드 가이드사양을 토르자이트에서 SiC로 변경키로 결정

전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낚시용품 업계도 비껴갈 수는 없어서 작년 12월 19일부로 일본의 다이와는 일부제품의 가격을 인상한다는 내용을 공지한 바가 있었다.

다이와의 공지를 구글번역기로 돌린 것임

시마노는 가격의 인상에 대한 공지가 아직까지는 없으나 하이엔드급 로드의 가이드 사양을 토르자이트에서 SiC로 변경할 것이라는 내용을 2023년 1월 20일자로 고지하였다.​

시마노의 공지를 구글번역기로 돌린 것임

고지 내용을 보면 뉘앙스는 마치 후지사의 공급에 문제가 있다는 듯이 보이지만 후지 측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생산이 지체되었으나 현재 토르자이트의 공급은 거의 원상태로 돌아왔다고 한다.

따라서 이번 시마노의 공지는 원가상승의 부담을 가격 인상 대신에 사양을 다운그레이드시키는 것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라 판단할 수밖에는 없을 것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링크하는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양이 바뀌게 되면서 상품코드 또한 변경되지만 아직 신규 카달로그에는 새로운 가격으로 수정되지 않고 있는데 가격의 인하 없이 기존가격으로 사양만 낮춘 것인지 아니면 가격까지 인하하게 될 것인지는 좀 더 지켜볼 일이다.

그러나 개인적인 견해로는 가격의 인하는 아마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 시마노의 가이드 사양 변경제품 목록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시마노의 가이드 사양이 바뀌는 제품의 목록을 아래에 표로 첨부하니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제품명
품번
가이드사양 변경 전
가이드 사양 변경 후
상품코드
JAN코드
상품코드
JAN코드
175
253385
4969363253385
201492
4969363201492
MH175A
257314
4969363257314
201508
4969363201508
S610L-S
399151
4969363399151
205261
4969363205261
S610ML-S
399168
4969363399168
208316
4969363208316
S68M-S
399175
4969363399175
208347
4969363208347
166L-BFS/5
300621
4969363300621
215055
4969363215055
1610M-5
300638
4969363300638
220042
4969363220042
1610MH-5
300645
4969363300645
220059
4969363220059
174MH+-5
301932
4969363301932
220486
4969363220486
266L-5
300669
4969363300669
220493
4969363220493
161L-BFS
306289
4969363306289
221223
4969363221223
164MH
306296
4969363306296
221230
4969363221230
165MH+-SB
305213
4969363305213
227645
4969363227645
166L+-BFS
305220
4969363305220
232786
4969363232786
166M
306449
4969363306449
234124
4969363234124
168ML+
305237
4969363305237
234704
4969363234704
1610M
306319
4969363306319
235381
4969363235381
1610MH
306326
4969363306326
235398
4969363235398
1611ML/H
305244
4969363305244
236654
4969363236654
170H
306333
4969363306333
236753
4969363236753
174MH+
306357
4969363306357
236975
4969363236975
2510UL
306364
4969363306364
237200
4969363237200
2510UL-S
305268
4969363305268
237231
4969363237231
263ML
306371
4969363306371
237262
4969363237262
266L
306388
4969363306388
237347
4969363237347
267UL+
306401
4969363306401
237354
4969363237354
267L+
306920
4969363306920
237361
4969363237361
268M+
306418
4969363306418
237378
4969363237378
268UL/ML-G
306937
4969363306937
237385
4969363237385
2610UL/M
305275
4969363305275
237392
4969363237392
2610L/MH
306425
4969363306425
237408
4969363237408
2610ML/H
305282
4969363305282
237415
4969363237415
2610L-S
306432
4969363306432
237422
4969363237422
B68H-S/BOAT
259677
4969363259677
237699
4969363237699
B76H+
259684
4969363259684
237705
4969363237705
B810XXH+
259691
4969363259691
237682
4969363237682
S76L/M-S
259707
4969363259707
237750
4969363237750
S78MH
259714
4969363259714
238283
4969363238283
S83MH
259721
4969363259721
238498
4969363238498
S96MH+-3
259738
4969363259738
238153
4969363238153
B511UK-GS
380050
4969363380050
238689
4969363238689
B66UK-GS
399571
4969363399571
238771
4969363238771
B66ML-S/F
399533
4969363399533
238788
4969363238788
B66M-S/F
399540
4969363399540
238795
4969363238795
B68M-S/R
399588
4969363399588
238801
4969363238801
B66MH-S/F
399557
4969363399557
238818
4969363238818
S610M-S/R
399595
4969363399595
239327
4969363239327
S68ML+-S/F
399564
4969363399564
238962
4969363238962
S70MH-S/R
399601
4969363399601
239051
4969363239051
S68L-S
302847
4969363302847
239334
4969363239334
S511ML-S
302830
4969363302830
239822
4969363239822
S68ML-S
302854
4969363302854
239839
4969363239839
S72ML-S
305305
4969363305305
240262
4969363240262
S68M-S
302861
4969363302861
240163
4969363240163
S68MH-S
305299
4.96936E+12
240255
4.96936E+12
S62SUL
398680
4969363398680
240903
4969363240903
S66SUL
398697
4969363398697
240910
4969363240910
S66UL
398703
4969363398703
240927
4969363240927
S66L
398710
4969363398710
241054
4969363241054
B76ML
343062
4969363343062
242068
4969363242068
S72ML
343079
4969363343079
242075
4969363242075
S78ML
343086
4969363343086
242563
4969363242563
S76M
343093
4969363343093
242587
4969363242587
S48UL-4
305312
4969363305312
242631
4969363242631
S54UL
305336
4969363305336
242662
4969363242662
B48UL-4
305329
4969363305329
243584
4969363243584
B54UL
305343
4969363305343
244109
4969363244109
B64L
305350
4969363305350
244123
4969363244123
S76UL-T
399137
4969363399137
244307
4969363244307
S58SUL-S
399083
4969363399083
244260
4969363244260
S510SUL+-S
399090
4969363399090
244130
4969363244130
S610SUL-S
399113
4969363399113
244161
4969363244161
S64UL+-S
399106
4969363399106
244277
4969363244277
S73UL-S
399120
4969363399120
244284
4969363244284
S80L-S
399144
4969363399144
244291
4969363244291
162L-S
359896
4969363359896
244314
4969363244314
163MH
373144
4969363373144
244321
4969363244321
166M
366535
4969363366535
244338
4969363244338
1610L-BFS
387721
4969363387721
244345
4969363244345
170M
359902
4969363359902
244437
4969363244437
174MH-G
379023
4969363379023
244444
4969363244444
2610L-S
387738
4969363387738
244451
4969363244451
B605MH-S
380449
4969363380449
245403
4969363245403
S608MH-S
380432
4969363380432
245410
4969363245410
TW77L
380654
4969363380654
246011
4969363246011
TW83ML
380661
4969363380661
246042
4969363246042
DP83ML
380685
4969363380685
246103
4969363246103
DP93ML
380692
4969363380692
246110
4969363246110
DP73M
380678
4969363380678
246530
4969363246530
2651F-3
387745
4969363387745
246547
4969363246547
2701FF-2
387769
4969363387769
246554
4969363246554
2750FF-2
396136
4969363396136
246561
4969363246561
2831R-2
387776
4969363387776
248091
4969363248091
B61-1/HP
387554
4969363387554
248411
4969363248411
B61-2/HP
387561
4969363387561
248817
4969363248817
B62-1/FS
393340
4969363393340
248848
4969363248848
B62-2/FS
393357
4969363393357
249265
4969363249265
B63-1
387523
4969363387523
249289
4969363249289
B63-2
387530
4969363387530
249517
4969363249517
B63-3
387547
4969363387547
249524
4969363249524
B65-0/FS
393333
4969363393333
249944
4969363249944
S62-1/FS
397904
4969363397904
249982
4969363249982
S62-2/FS
397911
4969363397911
249999
4969363249999
S65-0/FS
393326
4969363393326
250599
4969363250599
S87L+/F
394354
4969363394354
252050
4969363252050
S116-130M/RF
398925
4969363398925
252074
4969363252074
S108MH+/R
397171
4969363397171
252616
4969363252616
S810ML/R
388766
4969363388766
252821
4969363252821
S92ML/F-3
388780
4969363388780
252845
4969363252845
S96M/F-3
392602
4969363392602
252852
4969363252852
S96M/R
388797
4969363388797
253354
4969363253354
S910M/R
392619
4969363392619
253361
4969363253361
S100MH/R
392626
4969363392626
254795
4969363254795
S108M+/R
394361
4969363394361
255211
4969363255211
S90MH/R
388773
4969363388773
256089
4969363256089
S97MH/F
388803
4969363388803
256829
4969363256829
S110MH/R
394378
4969363394378
257062
4969363257062
S110H/R
394385
4969363394385
257079
4969363257079
S83L
393722
4969363393722
259011
4969363259011
S77ML
398253
4969363398253
259042
4969363259042
S85ML
393739
4969363393739
259219
4969363259219
S89ML
397188
4969363397188
259783
4969363259783
S86M
393746
4969363393746
259790
4969363259790
S52UL-3/F
397140
4969363397140
259806
4969363259806
S52L-3/MD
397157
4969363397157
259813
4969363259813
S62XUL-2
394569
4969363394569
259820
4969363259820
S62SUL-2
394576
4969363394576
259837
4969363259837
S62UL-2/F
394583
4969363394583
259844
4969363259844
S62L-2/MD
394590
4969363394590
259851
4969363259851
S66SUL-2
394606
4969363394606
259868
4969363259868
S66UL-2/F
394613
4969363394613
259875
4969363259875
S66L-2/MD
394620
4969363394620
259882
4969363259882
S68UL-S
395368
4969363395368
259899
4969363259899
S73/76UL-S
395375
4969363395375
259905
4969363259905
B88ML/R
398932
4969363398932
259912
4969363259912
B88M/R
398949
4969363398949
259929
4969363259929
B96M/R
398956
4969363398956
259936
4969363259936
B108M+/R
398963
4969363398963
259943
4969363259943
B80H/RF
399205
4969363399205
259950
4969363259950
2651F-5
397348
4969363397348
259967
4969363259967
1610M
352408
4969363352408
259974
4969363259974
1611ML+
397133
4969363397133
259981
4969363259981
170MH
352415
4969363352415
259998
4969363259998
172H
397270
4969363397270
260000
4969363260000
2511UL
352439
4969363352439
260017
4969363260017
264UL/M
397287
4969363397287
260024
4969363260024
264UL-S
352446
4969363352446
260666
4969363260666
B65ML-S
397966
4969363397966
260673
4969363260673
B65M-S
397973
4969363397973
260680
4969363260680
B65MH-S
397980
4969363397980
260697
4969363260697
S82L
399618
4969363399618
260703
4969363260703
S86L
398437
4969363398437
260710
4969363260710
S79ML
398444
4969363398444
260727
4969363260727
S82ML
398451
4969363398451
260734
4969363260734
S86ML
398468
4969363398468
260741
4969363260741
S810ML
398475
4969363398475
260758
4969363260758
S92ML+
399182
4969363399182
260765
4969363260765
S79M
399199
4969363399199
260772
4969363260772
S82M
399625
4969363399625
260789
4969363260789
S86M
398482
4969363398482
260796
4969363260796
S90M
398499
4969363398499
260802
4969363260802
S86MH
399632
4969363399632
260819
4969363260819

낚싯대(로드)의 가이드에 대하여

낚싯대(로드)의 가이드에 대하여

현재 낚싯대(로드)의 가이드는 시장의 점유율에서 일본의 후지(Fuji)가 가장 높은데, 로드의 가이드에는 티타늄, 스테인레스, K가이드, SIC가이드, 토르자이트 등 사용되는 용어가 많아 초심자들의 경우에는 구별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이드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우선 우리가 낚시를 할 때 입질이 오거나 아니면 챔질을 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의 감도는 우선 라인을 통해 전해지고, 그 진동은 가이드 프레임을 거쳐 로드의 진동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이드가 많을수록, 가벼운 가이드일수록 그 전해지는 감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낚싯대의 가이드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프레임과 링의 두 부분으로 구분이 된다.

▶가이드 프레임

프레임에는 스테인레스와 티타늄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소재의 종류에 따른 제품의 차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언급하기로 하고 오늘은 이런 것들이 있다는 정도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그리고 후지(FUJI)의 티타늄 프레임은 사진과 같이 각인이 되어 있는 것도 있고, 각인되지 않은 것들도 있다.

▶가이드의 소재

가이드로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 현재 가장 뛰어나다고 알려진 것으로는 탄소와 실리콘의 화합물인 실리콘 카바이드를 사용한 SIC(SILICON CARBIDE) 가이드와 2013년 이후부터 후지공업과 일본 교세라가 공동개발한 토르자이트(TORZITE)가 SIC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를 받았고 지금 보급되고 있는 중이다.

가이드 링의 소재로 사용되는 재질은 경도와 열전도율은 높고 비중이 낮은 것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재질 별 비교는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된다.

▶가이드의 형명(型名): 이름

우리가 흔히 보는 K가이드, KT 가이드, KL가이드 등등의 가이드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칭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지공업의 가이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프레임의 종류를 나타낸다.

T라는 것은 티타늄을 나타내고 이것이 P로 적여 있으면 스테인레스를 나타낸다.

가이드의 이름을 나타낸다.

KT가이드를 나타낸다.

링의 종류를 나타낸다.

T: 토르자이트링 S:SIC링 O:O링

가이드의 종류를 나타낸다.

G: 가이드 T: 톱 가이드

링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낚싯대의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

낚싯대의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

낚싯대의 가격과 능을 좌우하는 요소 중의 하나가 가이드인데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살펴보기로 하자.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는 “프레임”과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프레임만 보면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프레임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① 스테인레스 프레임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있는데 스테인레스 프레임이라고 해서 무조건 저렴한 제품의 생산을 목적으로만 하지는 않고 AGS 프레임에 비해서 강도면에서는 오히려 우수하기 때문에 대물을 목표로 하는 낚싯대에도 장착된다.

② 티타늄 프레임

다소 고가인 상위 모델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티타늄 프레임인데 스테인레스 프레임에 비해 가볍고 고감도인 것이 특징이며 내식성도 우수하다 .

③ AGS 프레임

일본 다이와(DAIWA)의 로드에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인데 상기 2가지의 프레임과 달리 탄소 섬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러나 다소 강도면에서는 뒤떨어지기 때문에 빅게임용 로드의 프레임으로는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가이드 링을 살펴보면 현재 시판되는 것들은 아래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① Sic 링

현재 시판되는 로드의 대부분은 Sic 링을 장착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링이며 강도도 충분하다.

② 토르자이트 링

Sic 링의 상위 등급으로 등장한 것으로 Sic 링에 비해 더욱 얇게 만들 수 있으므로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즈를 기존보다 한 사이즈 낮출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며 강도도 충분하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현재는 고가의 상위 기종에만 채택하고 있다.

③ 알코나이트 링

Sic 링보다 저렴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북미 지역에서는 인기 있는 기종이다.

위에서 살펴본 가이드 링에서 언급하지 않은 하드가이드와 Sic(실리콘 카바이드)가이드, 그리고 알코나이트(강화 알루미나 옥사이드)의 성능을 경도와 방열성, 그리고 비중과 소재의 강도로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SIC (경도 2200 ~ 2400 / 방열성 0.15 / 비중 3.2 / 소재 강도 55)

알코나이트 (경도 1300 ~ 1500 / 방열성 0.11 / 비중 4.2 / 소재 강도 45)

하드가이드 (경도 1200 ~ 1400 / 방열성 0.03 / 비중 3.8 / 소재 강도 30)

이렇게 수치로 비교해보면 SIC의 경도는 하드가이드의 약 두 배, 방열성은 약 다섯 배를 나타낸다.

그러나 경도가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충격에 약하고, 깨지기 쉽다. 그리고 토르자이트 링에 대해서는 성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 원투낚싯대에서는 가급적이면 Sic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알코나이트(Alconite) 가이드란 어떤 것일까?

※ SiC링이란 무엇인가?

가이드의 싱글 풋과 더블 풋

가이드 프레임을 로드에 연결하는 다리 부분을 보면 하나로 된 것과 두 개로 된 것이 있다. 하나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면 자중이 가볍다는 말이다. 그리고 대물을 노리는 빅게임 용도로는 더블 풋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iC링이란 무엇인가?

SiC링이란 무엇인가?

흔히들 가이드라고 부르는 낚싯대의 부품은 프레임과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기간산업과 일본의 후지공업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이드에 사용되고 있는 링 중에서 “SiC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는 합사(PE라인)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캐스팅을 할 때나 고기를 잡아 릴을 감을 때 합사와 가이드 링의 마찰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라인이 손상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1981년부터 열을 방출하는 성능을 가진 SiC링의 사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그런데 SiC링을 “SIC” “Sic”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 SiC는 영어의 단어가 아니고 화학식이기 때문에 반드시 “SiC”라고 표기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Sic”는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의 약자로서 실리콘(Si)과 탄소(C)의 1 : 1의 화합물임을 의미하는 화학식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Sic”링에 대하여 후지공업의 홈페이지에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좀 더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후지공업이 홍보하고 있는 SiC링의 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방열성

SiC는 개량형 하드 링의 5.7배라는 압도적인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인이 갑자기 강하게 당겨지는 때에 라인과 링과의 접점에는 순간적으로 고열이 발생하는데 SiC 링은 그 열을 순식간에 확산시킴으로써 소중한 라인을 보호합니다.

뛰어난 미끄러짐

SiC링은 보석 수준의 표면연마로 마무리작업을 합니다. 단단하고 손상되기 어려운 SiC를 특수 제법에 의해 매끄럽게 갈고 닦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표면은 현미경으로 봐도 매끄럽습니다.

개량형 하드 링과의 라인이 끊어지는 비교실험에서 엄청난 마찰 저항에 의해 20배 이상의 라인 수명을 기록하여, 라인 손상을 비약적으로 감소시키고 광택이 있는 표면도 변질되거나 열화하지 않았다고 자랑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딱딱하고 손상을 받기 어렵다는 부분은 크게 공감이 가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특히 톱 가이드에 있는 SiC링이 깨지는 경험을 2번이나 겪었기 때문입니다.

초·경도

SiC는 스테인레스의 12배의 경도를 가져 다이아몬드에 버금간다고 합니다. 보이지 않는 모래와 소금이 묻어 있는 낚싯줄(라인)은 긴 줄(일본어로 야스리) 같아서 특히 합사(PE 라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쉽게 깎이지 않고, 닳기 어려운 SiC링의 사용은 필수입니다.

초경량

SiC는 스테인리스의 1/3의 무게로 초경량 티타늄 프레임과의 시너지 효과로 감도와 균형, 로드 성능을 크게 끌어올리는 열쇠가 됩니다.

이상이 후지공업이 자사의 홈페이지에서 홍보하고 있는 SiC링에 대한 정보입니다.

이런 SiC링도 진화하여 이제는 S형 SiC링이 출시되고 있는데 기존의 J형의 SiC링보다 9%의 경량화를 실현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던 O-링과 비교하여 SiC링을 구분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외형을 보고 판단하는 방법은 SiC링은 표면에 광택이 있지만 O링은 이보다는 광택이 적은데, 비교를 하지 않고 O링만 본다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두 번째로는 SiC링의 색깔은 연필심과 같은 카본 블랙인데 반하여 O링의 색깔은 거무스름하면서도 붉은 빛을 띤 다크 브라운의 색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로드를 구매할 때에는 SiC링을 장착하였음을 나타내는 실버 택이 붙어 있다는 것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알코나이트(Alconite) 가이드란 어떤 것일까?

알코나이트(Alconite) 가이드란 어떤 것일까?

낚싯대의 가이드 링 소재로 사용되는 알코나이트(Alconite)는 미주지역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하여 모래에 의해 가이드 링이 깎이는 손상이 오는 것은 아닌지 하는 문의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알코나이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의 후지에서 만드는 가이드 링의 소재를 가격순으로 정리해보면, 토르자이트(TORZITE), SiC(탄화규소), SiN(질화규소), 알코나이트(Alconite), 파즈라이트(FazLite), 그리고 가장 저렴한 O링의 순입니다.

SiC는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의 약자이고, SiN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의 약자이며, 마지막으로 O링은 산화알루미늄인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를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판매되는 것은 고가인 토르자이트와 SiC가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미국에서는 이 모든 종류의 가이드 링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오늘 이야기의 주제인 알코나이트(Alconite)입니다.

알코나이트 링은 SiC링에 비해 가격이 절반 정도에 불과하여 7~8개의 가이드가 있는 로드라고 한다면 거기서부터 벌써 2만 원 이상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국내 소비자들은 선택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소재의 특성을 비교한 표를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경도는 토르자이트와 같고, 굽힘강도는 SiC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에 알코나이트를 사용해도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방열성은 SiC가 0.15, 알코나이트가 0.11이지만, 열전도율은 SiC가 60, 알코나이트가 11로, 실조에서 사용하기에 전혀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SiC에 비해 가장 떨어지는 점이라고 한다면 비중이 높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과연 그 정도의 무게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입니다.

한편, 합사를 사용하다 보면 라인에 모래가 묻을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알코나이트 링에 손상이 올 수도 있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모래의 주성분인 석영의 비커스경도는 1103이고 알코나이트의 비커스경도는 이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물론, 알코나이트의 비커스경도가 정확히 얼마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석영보다는 높다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최고의 가이드라고 선전했던 후지의 가이드 링 중에 골드 서멧(Gold Cermet)이란 게 있었습니다.

1991년에 발표된 이 제품이 사라지게 된 이유가 바로 합사의 출현 때문이었죠.

모래가 묻은 라인에 의해 가이드 링이 손상되리란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을 테니 후지에서는 골드 서멧(Gold Cermet)의 경도를 1100으로 생산하였고, 나중에 모래에 의해서 손상이 되자 단종되고 말았던 것이었죠.

 

이후에 소비자들이 알코나이트와 O링에서 이런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느냐는 문의를 후지에게 했고, 후지사는 이에 대하여 문제가 없다고 답변하였으며, 지금까지 모래에 의해 가이드 링의 손상이 왔다는 보고는 없는 걸로 볼 때, 알코나이트 링이 모래에 의해 손상되는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판단됩니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알코나이트는 O링에 비해 20%가 가볍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SiC와 O링의 가운데 위치한 제품으로 실용성과 가성비를 선택의 최고기준으로 삼는 미국인들의 소비패턴에 맞춘 것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개인적으로도 알코나이트가 비싼 SiC나 토르자이트를 대신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변화는 일본에서부터 시작되고 있으며, 알코나이트 가이드 링을 채택한 일본의 낚싯대들은 이미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다이와의 블레이존이 알코나이트 링을 채택하고 있으며, 시마노에서도 트라스틱을 비롯하여 조디아스 등으로 알코나이트 링을 탑재한 제품의 라인 업을 늘려가고 있고, 메이저크래프트의 3세대 크로스티지에도 알코나이트 링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다이와의 블레이존

 

시마노의 트라스틱

 

메이저크래프트의 크로스티지

 

국내에서는 O링은 저가형이란 인식이 퍼져있지만, 미국에서는 이와 달리 SiC는 고가이기 때문에 알코나이트를 채택한 제품을 구입한다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뿐만 아니라 O링과 알코나이트의 가격이 비슷하기 때문에 알코나이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언젠가 지니월드를 통해 한 번 얘기한 적이 있었습니다만, 좋은 블랭크에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우수하다 할 수 있고, 좋은 블랭크에 안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보통이라 할 수 있으며, 안 좋은 블랭크에 좋은 가이드가 장착된 로드는 졸작이라 할 수 있는데, 국내의 로드 중에는 졸작이 조금 많다는 것이 아쉽기만 합니다.

앞으로는 더욱 다양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과, 합리적인 사양을 가진, 우수한 제품들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알코나이트 가이드 링에 대한 얘기를 마칩니다.

낚싯대의 가이드 시스템(후지를 중심으로)

낚싯대의 가이드 시스템(후지를 중심으로)

낚싯대(로드)는 베이트와 스피닝을 막론하고 모두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이드를 어떻게 배치하는가 하는 것을 일컬어 가이드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낚싯대의 가이드 중에서 낚시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일본 후지사의 제품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생소한 제품들도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이드와 롤러 가이드가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가이드

※ 마이크로 웨이브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는 두 번째 사진에서 COF는 Corn of Flight의 약자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톱가이드가 무조건 초크가이드가 되는 방식을 말한다.

롤러 가이드

특히 스피닝 로드에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으로 초크 가이드(choke guide)라는 것이 있는데 목을 조른다는 뜻을 지닌 초크(choke)가 의미하는 것처럼 초크 가이드(choke guide)는 나선형으로 방출되는 라인이 한 지점에서부터 직선으로 방출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초크 가이드(choke guide)의 위치를 정하는 것은 미국식인 27배의 방법과 줄여서 NGC라고 하는 일본 후지의 뉴 가이드 컨셉(New Guide Concept)이 대표적이다.

이 중 미국식인 27배의 방법은 아무리 좋은 낚싯대라도 릴과 궁합이 맞아야 한다.’란 포스팅에서 소개한 적이 있는데 톰 커크만(Tom Kirkman)이란 사람이 고안한 이것은 본인이 사용하는 스피닝 릴 스풀의 지름에 27을 곱한 위치에 초크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일본 후지의 뉴 가이드 컨셉(New Guide Concept)은 스피닝 릴 메인샤프트의 중앙을 연결한 선과 로드 블랭크가 만나는 지점에 초크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이드를 설치하는 방법도 변화하여 1955년에 개발된 후지의 뉴 가이드 컨셉(NGC: New Guide Concept)은 KR 컨셉(KR Concept)으로 발전하여 사용되고 있다.

모노 라인의 사용을 기반으로 개발된 후지의 뉴 가이드 컨셉(NGC: New Guide Concept)은 합사(PE라인)의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부터 모노 필라멘트 라인에 비해 부드러운 합사(PE라인)가 가이드에 쉽게 엉키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혁명적으로 개발한 K-시리즈라는 뜻으로 뒤에 레볼루션(Revolution)의 R을 붙여서 KR 컨셉이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설치하는 초크 가이드(choke guide)가 기존의 뉴 가이드 컨셉(NGC: New Guide Concept)에 비해서 높이와 가이드 링의 지름이 작은 것을 사용하면서 한 개의 가이드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에서 래피드 초크(Rapid Choke)라 이름지었다.

그러나 KR 컨셉(KR Concept)은 완전한 것은 아니고 지금도 개발 중에 있다고 봐야 하는 것으로 원투낚싯대와 같은 경우에는 기존의 NGC가 KR 컨셉에 비해서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아무리 좋은 낚싯대라도 릴과 궁합이 맞아야 한다.

아무리 좋은 낚싯대라도 릴과 궁합이 맞아야 한다.

“스피닝 릴의 광고,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라는 글에서 원투낚시 등에서 사용하는 대형 스피닝 릴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스피닝 릴들은 릴풋과 수평선을 긋고, 메인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그으면 아래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이 각도는 보통 2°~4.5°를 이루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도와 길이의 차이는 가이드와 로드를 생산하는 업체에도 아주 중요한 사항으로써 각도가 1°가 달라지면 가이드는 10㎝를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였는데 오늘은 이 내용을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아무리 값비싸고 좋은 로드와 릴이라고 하더라도 그 궁합이 맞지 않으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하게 되는데 사용하는 낚싯대에는 베이트 로드와 스피닝 로드를 막론하고 모두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가이드의 세팅이 자신이 사용하는 릴에 맞게 제작되어 있는지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로드에 릴을 장착했을 때 메인샤프트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과 로드가 만나는 지점에 세팅하는 가이드를 일컬어 쵸크 가이드(choke guide)라고 하며 오늘 얘기하는 내용은 베이트 로드는 해당되지 않고 스피닝 로드에만 적용된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고 이 글을 읽어주시기를 부탁한다.

쵸크 가이드(choke guide)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씩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로드와 릴의 메인샤프트의 중앙을 연결한 선이 만나는 쵸크(choke)가 로드의 끝부분에 있는 형태로 이것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나선형을 이루며 스피닝 릴에서 방출되는 라인(낚싯줄)의 나선형을 줄여주는 기능을 최대한도로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1번 가이드는 제대로 세팅이 되어있지만 쵸크 가이드는 너무 높게 설치되어 있는 형태의 것으로 이것은 비거리의 손실과 가이드와 라인의 손상을 가져오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1번 가이드를 포함하여 2번 가이드와 쵸크 가이드의 위치와 높이가 릴과는 전혀 맞지 않는 최악의 구조를 가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릴이라고 할지라도 로드에 따라 최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그렇지 못한 것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고가의 로드와 릴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란 점을 우리는 알 수 있다.

그러면 낚시점에서 자신의 릴에 맞는 로드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가이드의 세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이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하나를 알려드릴까 한다.

절대적인 것은 아니니 무조건 맞다고 받아들여서는 안 되지만 톰 커크만(Tom Kirkman)이란 사람이 만든 27배의 공식을 적용하면 대략적으로 자신의 릴과 맞는 로드인지, 즉 쵸크 가이드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 낚싯대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인이 주로 사용하려는 릴의 스풀 지름을 측정한 다음 27을 곱하여 나오는 값이 쵸크 가이드의 세팅 위치와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로드를 구매하기 전에 자신의 릴과 궁합이 맞는지는 간단하게마나 판단해볼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낚싯대는 릴과 궁합이 맞는 것만이 핵심요소가 아님은 분명한 것이니 오늘의 내용은 단지 하나의 참고사항 정도로만 받아들이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낚싯대의 감도와 릴 시트의 스페이서(spacer)

낚싯대의 감도와 릴 시트의 스페이서(spacer)

낚싯대의 감도를 올리는 세 가지 요소는 블랭크, 가이드, 릴 시트이며 그나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블랭크 및 가이드와는 달리 릴 시트에는 감도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육안으로 볼 수가 없는 빈 공간이 존재하는데 좋은 로드와 좋지 않은 저급한 로드의 차이는 이 빈 공간을 어떻게 처리했는가에 따라서도 감도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릴 시트의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빈 공간이라고 하는 것은 스페이서(spacer)란 영어단어가 뜻하는 그대로 간격을 띄운다는 것인데 로드의 블랭크와 릴 시트의 지름의 차이로 인해서 생기는 공간을 말합니다.

특히 이 공간은 소리가 장애물에 부딪쳐서 반사하여 다시 들리는 현상을 말하는 반향(反響)이란 말을 빌어서 반향공간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물론 반향은 귀로 느끼는 것이고 로드의 감도는 손으로 느끼는 것이지만 로드에 전해지는 진동을 메아리처럼 느낄 수가 있다는 뜻으로 붙여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전의 포스팅 “농어로드의 릴시트와 아버(ARBOR) 이야기에서 릴 시트를 장착할 때 블랭크와 릴 시트의 지름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틈을 메우는데 사용하는 아버란 것에 대하여 잠깐 살펴본 적이 있었습니다.

사실 로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에는 로드의 감도가 좋지 않으면 블랭크가 문제라고 흔히들 생각하기 쉬운데, 정작 손으로 전해지는 감도의 전달에 중요한 것은 블랭크에서 진동을 통해 그립으로 전해지는 것이 얼마나 증폭되는가 하는 것이 감도의 좋음과 나쁨을 결정하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다시 말해서 릴 시트와 그립이 결합되지 않는 블랭크만 가지고는 정확한 감도를 판단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 릴 시트의 아버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상세하게 하고자 하는 이유는 그리 저렴하게 판매되지 않는 낚싯대들이 소비자가 신뢰할 만큼의 품질을 갖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의문이 드는 일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일본업체의 낚싯대 중에서 국내에서 많이 팔린 로드를 보면 블랭크의 팁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살펴본 결과 대부분이 구부러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인터넷에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업체가 생산한 결코 저렴하지 않는 로드의 경우에는 릴 시트의 공간을 청테이프를 감아서 마감한 것을 보고는 놀라움을 금치 못한 일도 있었기에 제대로 된 로드의 생산을 촉구하는 뜻에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업체의 팁이 구부러진 제품

 

릴 시트의 공간을 메울 때 청테이프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은 없지만 그 가격대에 판매되는 낚싯대라면 보다 감도를 좋게 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마땅한 것은 아닐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릴 시트의 틈새를 메우는 소재는 그 간격이 클 때는 주로 아버를 사용하는데 우레탄과 코르크로 된 두 종류의 아버가 현재 판매되고 있으며 코르크는 가공을 하기는 쉽지만 감도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우레탄 아버를 채택한 로드가 더 좋은 감도를 보입니다.

 

이에 비하여 틈새가 작은 경우에는 실이나 스페이서 테이프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을 감아서 작업을 하는 것은 익숙하지 않으면 작업하기가 쉽지는 않으나 감도와 밸런스가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스페이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작업하기는 쉬우나 감도는 제일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청테이프를 소재로 사용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고, 그 정도의 가격에 판매하는 로드라면 더욱 감도를 좋게 하는 방향으로의 제작이 필요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은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낚싯대는 우리가 육안으로 살필 수 있는 부분도 있고 블랭크와 같이 육안으로 보인다고 해도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운 것도 있으며 육안으로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부분들도 존재를 합니다.

따라서 생산하는 업체들은 소비자가 믿고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의 생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지만, 그보다도 앞서서 판매하는 가격대에 걸맞는 제품의 생산을 해달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최소한 비싼 돈 주고 쓰레기를 사는 일은 없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낚싯대(로드) 톱 가이드의 종류

낚싯대(로드) 톱 가이드의 종류

낚시를 하다 자주 부러지는 초릿대를 직접 수리할 때, 혹은 직접 수리를 하지 못해 업체에 맡길 경우에 자신이 사용하는 낚싯대의 가이드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서 톱 가이드를 교환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특히 초보자들의 경우를 보면 무조건 “초릿대 수리 좀 해주세요” 하면서 맡기기 일쑤다 보니, 자신의 로드에는 고가의 토르자이트 링이 채택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리하는 톱 가이드의 링은 묻지마 제품인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톱 가이드를 교체할 때에는 프레임의 재질은 무엇인지, 링의 재질은 무엇인지, 링의 크기와 파이프의 직경은 어떤 크기인가를 보고 선택해야 하는데 거의 대부분의 경우를 보면 부러진 로드에 맞는 파이프의 사이즈면 “OK!”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로드의 다른 가이드는 조금 좋지 못한 것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가급적 톱 가이드만큼은 좋은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시중에서 판매되는 낚싯대의 사양을 보면 무슨 가이드를 채택했다고만 하지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특히 톱 가이드에 대한 설명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이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톱 가이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로드(낚싯대)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공급하는 업체는 한국의 “기간산업(기간이즘)”과 일본의 “후지공업”이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는데, 업체마다 모델명이 뜻하는 사양도 제각각이어서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업체의 홈페이지에서 가이드의 사양에 대한 정보를 습득해두는 것이 좋다고 하겠습니다.

톱 가이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오늘은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두 종류의 톱 가이드에 대하여 살펴보고, 톱 가이드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조의 차이에 의해서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톱 가이드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그리고 브릿지가 가이드 파이프 위(전면)에 붙어 있는지, 아래(후면)에 붙어 있는지, 그리고 브릿지가 없는 것인지에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에서부터 “리버스 브릿지형”과 “논 브릿지형” 및 “프런트 브릿지형”으로 구분합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는 그 표준을 일본의 “후지공업”이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기에 “후지공업”의 제품으로 예를 들면서 설명을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가진 톱 가이드는 베이트와 스피닝 로드에 공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F 톱 가이드”와 “MN 톱 가이드”가 일반적입니다.

“F”와 “MN”이 가이드를 나타내는 기본 명칭이며 앞뒤로 붙는 영어의 약자들은 사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F 톱 가이드와 MN 톱 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MN 톱 가이드는 파이프에 다리가 달려 있다는 점과 F 톱 가이드에 비해서 MN 톱 가이드는 길게 경사진 브릿지를 가지고 있어서 라인이 얽히는 문제를 줄여준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근래 들어서는 MN 톱 가이드의 사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파이프에 다리가 붙어있는 톱 가이드에는 “HN 톱 가이드”도 있습니다.)

F 톱가이드와 MN 톱 가이드를 보면 주로 뒤에 ST가 붙어서 “FST” 혹은 “MNST”로 표시되고 있는데 이것은 스테인레스 프레임에 Sic링을 채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근래에 새롭게 출시된 것 중에는 토르자이트 링을 채택한 “KG 탑 가이드”도 있지만 SIC링이면 무난하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톱 가이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한국의 기간산업에서 생산하고 있는 톱 가이드의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어떤 물고기를 어떤 곳에서 잡느냐, 혹은 사용하는 로드는 어떤 사양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사용하는 톱 가이드의 선택도 달라지지만 위에서 살펴본 “F 톱 가이드”와 “MN 톱 가이드” 두 종류면 큰 무리가 없으며 현재 로드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이기도 합니다.

이제는 초릿대가 부러져 톱 가이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로드에 맞거나 아니면 최소한 본인의 로드에 채택된 가이드에 맞는 톱 가이드를 장착할 것을 말씀드립니다.

8피트 6인치 길이의 낚싯대는 8.6피트가 아니다.

8피트 6인치 길이의 낚싯대는 8.6피트가 아니다.

루어로드의 모델명을 보면 베이트 로드와 스피닝 로드인가에 따라 앞에 B와 S를 붙이고 그 다음에 로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를 적은 뒤에 로드의 경도를 나타내는 표시(M, L, H 등)를 더하여 표시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에서 예로 든 S862ML 로드의 경우에는 길이가 8피트 6인치이니 이것을 센티미터로 환산하면 대략 259.08㎝가 나온다.

그런데 이것을 8.6피트라고 보고 센티미터로 환산하면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262.12㎝라고 서로 다르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실수를 범하는 이유는 우리가 사용하는 루어로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2진수를 사용하는 피트(ft)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진수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8.6ft와 8ft 6in는 분명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8피트 6인치 길이의 낚싯대를 센티미터로 환산할 때 8.6ft로 계산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결과는 몇 ㎝의 차이에 불과할지라도 다를 수밖에 없다.

즉 로드에 표기하는 길이는 8.1→8.2→8.3~→8.9 다음에 9.0이 아니라 8.10→8.11 다음에 9.0이 있다는 것이다.

시간을 예로 들면 우리가 1.5시간이라고 할 때에는 1시간 30분을 가리키는데 시간은 60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0.5시간은 30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8.5피트의 로드라고 한다면 8피트 6인치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10진수로 생각하는 길이와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회의 통념상으로 소수점 이하는 10개로 나눈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로드를 판매하는 곳에서도 가끔 이런 실수를 범하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세계적인 낚시용품업체라는 일본의 시마노에서는 65라는 길이에서만 유독 소비자의 혼돈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마노는 로드의 표기를 독자적인 방법으로 해온 터라 더러는 그 제원의 의미를 잘 모를 수도 있는데 65라는 길이는 제품에 따라 6.5ft(6피트 6인치)를 의미하기도 하고 6피트 5인치를 의미하기도 하므로 특히 로드를 차량에 싣거나 케이스에 수납할 때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 환산한 길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마노에서 만드는 루어로드는 66사이즈가 있는 모델에서 65라는 사이즈는 6피트 5인치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66사이즈가 없는 모델에서 65라는 사이즈는 아래와 같이 6피트 6인치를 나타낸다.

오늘의 포스팅을 요약해보면 루어로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86이란 숫자는 8피트 6인치를 가리키며 이것을 소수점으로 표시할 때에는 8.6ft가 아니라 8.5ft라고 표기해야 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에겐 익숙하지 않은 피트(ft)라는 단위 대신에 국내의 모 업체에서는 미터법을 사용하여 로드의 모델명에 ㎝로 환산한 숫자를 표기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