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몇 년이란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지만 한때는 석문방조제로 광어를 잡기 위해 자주 다녔던 기억이 있다. 또한 광어는 누구나 쉽게 횟집에서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어종인데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넙치와 가자미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순위를 1985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해보았다.
※1985년과 1986년의 양식생산량은 조회되지 않아 통계에 빠져 있음
연도
어획량
양식생산량
합계
1985년
87,710
-
87,710
1986년
70,367
-
70,367
1987년
65,253
20
65,273
1988년
32,354
16
32,370
1989년
27,504
249
27,753
1990년
28,473
1,037
29,510
1991년
25,551
1,815
27,366
1992년
25,973
3,199
29,172
1993년
21,642
4,029
25,671
1994년
21,390
5,270
26,660
1995년
20,554
6,733
27,287
1996년
24,501
8,861
33,362
1997년
24,410
26,274
50,684
1998년
24,912
22,277
47,189
1999년
25,316
21,368
46,684
2000년
21,377
14,127
35,504
2001년
19,962
16,426
36,388
2002년
18,097
23,348
41,445
2003년
17,400
34,533
51,933
2004년
16,532
32,141
48,673
2005년
20,495
40,075
60,570
2006년
25,791
43,852
69,643
2007년
31,189
41,171
72,360
2008년
27,547
46,432
73,979
2009년
27,986
54,674
82,660
2010년
29,302
40,925
70,227
2011년
28,024
40,805
68,829
2012년
27,501
39,371
66,872
2013년
25,216
36,944
62,160
2014년
25,001
42,133
67,134
2015년
23,161
47,600
70,761
2016년
20,212
43,357
63,569
2017년
19,979
43,771
63,750
2018년
21,954
40,650
62,604
2019년
24,642
46,989
71,631
2020년
27,411
47,149
74,560
2021년
27,633
48,005
75,638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우리나라의-넙치-및-가자미류의-생산량어획-및-양식-통계.jpg773103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0:47:272024-12-18 00:47:27우리나라의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FAO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량은 대부분 어획에 의한 것으로 잡는 어종도 대서양참다랑어가 242톤, 남방참다랑어가 1,428톤, 날개다랑어가 1,721톤, 눈다랑어가 23,054톤, 황다랑어가 60.205톤 등으로 다양하나 여기서는 세분하지 않고 합산하여 알아본다.
한편 FAO의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따르면 참치의 분류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등 8종을 포함하고 있으나 돛새치류는 제외하고 있다.
1998년작 영화 고질라 속에 소품으로 등장한 동원참치가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참치원양어업은 국가경제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도 10위권 이내를 유지하고 있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77,207
1986년
82,875
1987년
90,479
1988년
82,952
1989년
89,979
1990년
94,126
1991년
94,786
1992년
109,362
1993년
93,038
1994년
97,066
1995년
79,872
1996년
66,404
1997년
96,575
1998년
112,256
1999년
72,454
2000년
81,359
2001년
93,057
2002년
83,974
2003년
76,080
2004년
69,137
2005년
80,554
2006년
82,388
2007년
79,497
2008년
93,958
2009년
62,391
2010년
95,393
2011년
70,637
2012년
88,283
2013년
69,389
2014년
90,376
2015년
79,217
2016년
99,550
2017년
90,673
2018년
87,987
2019년
83,763
2020년
86,212
2021년
86,651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전-세계-참치-어획량-및-생산량-통계.jpg54180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0:44:052024-12-18 00:44:05우리나라의 참치 생산(어획+양식)량 통계
이 글은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어종의 분류는 FAO의 ISCCAAP에 따라 연어와 송어 및 산천어와 빙어 은어 등이 포함되며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30위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2021년 기준으로 노르웨이의 생산량인 1,660,694톤의 0.16%에 지나지 않는 2,765톤의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18
1986년
621
1987년
704
1988년
878
1989년
1,256
1990년
1,529
1991년
1,250
1992년
1,432
1993년
2,149
1994년
2,546
1995년
2,795
1996년
3,241
1997년
3,744
1998년
4,422
1999년
3,317
2000년
2,930
2001년
2,899
2002년
2,923
2003년
3,590
2004년
3,578
2005년
3,365
2006년
1,897
2007년
2,915
2008년
2,843
2009년
2,785
2010년
2,700
2011년
3,051
2012년
3,115
2013년
3,434
2014년
3,356
2015년
3,107
2016년
3,116
2017년
3,695
2018년
3,460
2019년
3,669
2020년
2,733
2021년
2,765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우리나라의-연어-및-송어류-양식생산량-통계.1.jpg783103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0:39:062024-12-18 00:39:06우리나라의 연어 및 송어류 양식생산량 통계
FAO의 자료에 의거 전 세계 참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합계를 비교한 것으로 FAO의 분류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등 8종을 포함하고 있으나 돛새치류는 제외하고 있다.
한편 2021년 기준 1위를 기록한 인도네시아가 551,572톤을 생산하였는데 인도네시아는 2000년대 초반 일본을 밀어내고 1위에 오른 뒤 계속해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순위
국명
단위: 톤
1
인도네시아
551,572
2
일본
137,658
3
대만
132,057
4
스페인
127,352
5
멕시코
125,319
6
오만
99,839
7
이란
96,568
8
에콰도르
89,376
9
필리핀
86,792
10
대한민국
86,651
11
중국
73,393
12
파푸아 뉴기니
68,612
13
프랑스
60,755
14
세이셸
52,425
15
키리바시
46,339
16
미크로네시아 연방
42,985
17
파나마
38,808
18
나우루
38,038
19
스리랑카
37,508
20
베네수엘라
35,877
21
말레이시아
35,293
22
미국
33,680
23
콜롬비아
29,422
24
인도
26,983
25
몰디브
24,772
26
태국
24,253
27
브라질
22,370
28
가나
22,036
29
솔로몬 제도
21,782
30
마샬 제도
21,552
31
엘살바도르
20,863
32
베트남
20,767
33
예멘
20,615
34
호주
16,894
35
몰타
14,068
36
파키스탄
13,033
37
모리셔스
11,776
38
피지
9,637
39
나미비아
9,606
40
큐라소
9,554
41
벨리즈
9,160
42
세네갈
9,084
43
니카라과
9,044
44
이탈리아
8,984
45
바누아투
8,505
46
터키
7,276
47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7,175
48
투발루
6,634
49
코모로
6,119
50
탄자니아
5,857
51
남아프리카
5,377
52
크로아티아
5,276
53
모로코
5,131
54
페루
5,078
55
뉴질랜드
4,414
56
포르투갈
4,304
57
튀니지
4,048
58
케냐
3,756
59
캐나다
3,429
60
아일랜드
2,896
61
탄자니아
2,715
62
뉴칼레도니아
2,457
63
코트디부아르
2,254
64
리비아
2,234
65
카보베르데
2,213
66
쿡 제도
2,205
67
알제리
1,664
68
과테말라
1,661
69
아랍 에미리트 연방
1,517
70
마다가스카르
1,507
71
사모아
1,483
72
방글라데시
1,479
73
트리니다드 토바고
1,285
74
레위니옹
1,161
75
앙골라
1,066
76
미국령 사모아
957
77
이집트
949
78
도미니카 공화국
694
79
키프로스
681
80
쿠바
677
81
브루나이
610
82
모잠비크
539
83
그리스
509
84
지부티
487
85
과들루프
466
86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462
87
마르티니크
262
88
바베이도스
250
89
세인트루시아
233
90
통가
233
91
영국
169
92
가이아나
166
93
마요트
164
94
알바니아
163
95
베낭
155
96
노르웨이
152
97
버뮤다
93
98
시리아
80
99
세인트 헬레나
79
100
도미니카
75
101
상투메 프린시페
72
102
칠레
68
103
가봉
60
104
라이베리아
39
105
토케라우
32
106
그레나다
27
107
사우디 아라비아
27
108
몬테네그로
23
109
요르단
20
110
토고
18
111
푸에르토리코
13
112
적도 기니
13
113
북마리아나 제도
11
114
이스라엘
10
115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6
116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4
117
괌
2
118
덴마크
2
119
아이슬란드
1
119
팔라우
1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전-세계-참치-어획량-및-생산량-통계.jpg54180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0:11:492024-12-18 00:11:49전 세계 참치 어획량 및 생산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의 오징어 어획량은 총 313만 399톤이었다고 하며 이 중 32.8%에 이르는 102만 6,997톤이 중국의 어획량이었다고 한다.
2004년 중국과 북한은 제1차 북중어업협정을 체결하였고 그 협정으로로 인해 최초 114척의 중국어선에 대한 북한수역에서의 조업을 허가한 북한은 점차 이 규모를 늘려 2011년에는 1,299척으로 10배 가량 그 규모를 늘리더니 2018년에는 그 규모가 2004년의 20배에 가까운 2,161척으로 급증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여파는 대한민국의 어업에 직격탄을 퍼붓는 결과를 가져왔고 특히 오징어와 꽃게의 어획량은 급감하게 되었는데 북한수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싹쓸이 조업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중국의 오징어 어획량은 2002년 세계 1위를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1위를 내준 적이 없다.
연도
어획량(톤)
1985년
53,102
1986년
50,374
1987년
62,242
1988년
75,598
1989년
58,772
1990년
68,791
1991년
69,756
1992년
70,676
1993년
121,636
1994년
193,552
1995년
221,940
1996년
173,371
1997년
225,613
1998년
349,499
1999년
381,582
2000년
441,848
2001년
471,383
2002년
476,740
2003년
687,655
2004년
859,652
2005년
777,409
2006년
775,586
2007년
875,401
2008년
857,277
2009년
645,953
2010년
725,339
2011년
767,965
2012년
902,517
2013년
917,336
2014년
1,217,461
2015년
1,356,388
2016년
775,939
2017년
943,151
2018년
903,176
2019년
826,783
2020년
864,740
2021년
1,026,997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중국의-오징어-어획량-통계.1.jpg544966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0:03:182024-12-18 00:03:18중국의 오징어 어획량 통계
OECD의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전 세게에서 치과의사 숫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으로 모두 20만 1,900명의 치과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위는 10만 4,152명의 치과의사를 가진 일본이 차지하였다.
그러나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를 비교하면 1위가 콜롬비아로 1.67명이고 미국은 0.61명으로 27위, 일본은 0.83명으로 1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가명
인원(명)
1
미국
201,900
2
일본
104,152
3
콜롬비아
86,234
4
독일
71,270
5
이탈리아
49,721
6
프랑스
44,883
7
튀르키예
39,851
8
폴란드
34,874
9
영국
34,673
10
대한민국
27,491
11
캐나다
24,693
12
루마니아
19,792
13
오스트레일리아
16,097
14
멕시코
15,052
15
네덜란드
10,023
16
벨기에
8,926
17
이스라엘
8,000
18
스웨덴
7,973
19
체코
7,963
20
불가리아
7,560
21
헝가리
6,894
22
오스트리아
5,522
23
노르웨이
5,020
24
덴마크
4,166
25
핀란드
4,093
26
크로아티아
3,629
27
스위스
3,481
28
리투아니아
2,934
29
슬로바키아
2,875
30
뉴질랜드
2,590
31
아일랜드
2,329
32
슬로베니아
1,577
33
라트비아
1,349
34
에스토니아
1,346
35
룩셈부르크
581
36
아이슬란드
294
순위
국가명
인원(명)
1
콜롬비아
1.67
2
불가리아
1.1
3
리투아니아
1.05
4
루마니아
1.04
5
에스토니아
1.01
6
룩셈부르크
0.97
7
노르웨이
0.93
8
크로아티아
0.92
8
폴란드
0.92
10
독일
0.86
11
이스라엘
0.85
12
이탈리아
0.84
13
일본
0.83
14
아이슬란드
0.79
15
벨기에
0.77
15
스웨덴
0.77
17
체코
0.76
18
슬로베니아
0.75
19
핀란드
0.74
20
라트비아
0.72
21
덴마크
0.71
21
헝가리
0.71
23
프랑스
0.66
24
캐나다
0.65
25
오스트레일리아
0.63
26
오스트리아
0.62
27
미국
0.61
28
네덜란드
0.57
29
대한민국
0.53
29
슬로바키아
0.53
31
뉴질랜드
0.51
31
영국
0.51
33
튀르키예
0.47
34
아일랜드
0.46
35
스위스
0.41
36
멕시코
0.12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전-세계의-치과의사-수와-인구-1천명-당-의사-수-비교OECD.1.jpeg687103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7 23:58:302024-12-17 23:58:30전 세계의 치과의사 수와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 비교(OECD)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의 의사 숫자가 359만 여 명 123만 여 명이란 것은 놀라울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인구 1천명 당 의사의 숫자를 살펴보면 순위는 뒤바뀐다.
오늘은 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각국의 의사 숫자와 인구 천명 당 의사 숫자를 알아본다.
순위
국명
단위: 명
1
중국
3,590,846
2
인도
1,234,205
3
미국
885,803
4
러시아
610,249
5
브라질
459,080
6
독일
376,852
7
일본
327,403
8
멕시코
324,292
9
이탈리아
242,721
10
프랑스
215,722
11
영국
213,839
12
스페인
212,735
13
인도네시아
190,270
14
터키
183,569
15
아르헨티나
175,419
16
대한민국
132,479
17
폴란드
129,893
18
콜롬비아
126,279
19
캐나다
106,042
20
호주
103,196
21
네덜란드
68,363
22
루마니아
67,096
23
페루
55,479
24
오스트리아
48,443
25
남아프리카
48,021
26
스웨덴
44,719
27
체코
44,712
28
스위스
38,613
29
벨기에
37,630
30
헝가리
32,026
31
이스라엘
31,396
32
불가리아
29,543
33
노르웨이
27,925
34
덴마크
25,522
35
아일랜드
20,256
36
슬로바키아
20,047
37
핀란드
19,970
38
뉴질랜드
18,037
39
크로아티아
14,656
40
리투아니아
12,533
41
슬로베니아
7,049
42
라트비아
6,328
43
에스토니아
4,568
44
룩셈부르크
1,780
45
아이슬란드
1,631
순위
국명
인원
1
오스트리아
5.41
2
노르웨이
5.16
3
독일
4.53
4
스페인
4.49
5
리투아니아
4.47
6
스위스
4.44
7
덴마크
4.38
7
아이슬란드
4.38
9
스웨덴
4.32
10
불가리아
4.3
11
체코
4.26
12
러시아
4.16
13
이탈리아
4.1
14
호주
4.02
14
아일랜드
4.02
16
네덜란드
3.9
17
아르헨티나
3.87
18
크로아티아
3.71
19
슬로바키아
3.68
20
핀란드
3.61
21
뉴질랜드
3.53
22
루마니아
3.51
23
폴란드
3.44
24
에스토니아
3.43
25
라트비아
3.36
26
이스라엘
3.35
27
슬로베니아
3.34
28
헝가리
3.3
29
벨기에
3.25
30
프랑스
3.18
30
영국
3.18
32
룩셈부르크
2.98
33
캐나다
2.77
34
미국
2.67
35
일본
2.6
36
대한민국
2.56
37
중국
2.52
38
멕시코
2.51
39
콜롬비아
2.45
40
터키
2.18
41
브라질
2.15
42
페루
1.65
43
인도
0.89
44
남아프리카
0.8
45
인도네시아
0.7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세계각국의-의사-수-및-인구-1천명-당-의사-수-비교2021년.1.jpg7011024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7 23:54:372024-12-17 23:54:37세계각국의 의사 수 및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 비교(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