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2021년)

전세계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2021년)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라 통계에는 진주담치와 초록담치를 비롯한 홍합과의 조개들이 포함되며 생산량의 대부분은 양식에 의한 것으로 중국이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순위
국명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
중국
829,481
829,481
2
칠레
8,725
425,849
434,574
3
스페인
32
203,225
203,257
4
뉴질랜드
136
98,016
98,152
5
대한민국
6,523
63,672
70,195
6
이탈리아
629
61,921
62,550
7
프랑스
338
61,360
61,698
8
태국
807
52,067
52,874
9
덴마크
24,811
8,485
33,296
10
네덜란드
32,850
32,850
11
인도네시아
1,736
23,173
24,909
12
필리핀
22
23,707
23,729
13
캐나다
22,567
22,567
14
아일랜드
51
17,440
17,491
15
독일
1,206
14,274
15,480
16
브라질
4,810
9,258
14,068
17
그리스
185
13,508
13,693
18
영국
403
9,239
9,642
19
인도
9,500
9,500
20
미국
5,363
2,250
7,613
21
튀르키예
1,371
4,585
5,956
22
캄보디아
5,480
5,480
23
러시아
74
3,740
3,814
24
스웨덴
3,457
3,457
25
남아프리카
3,421
3,421
26
포르투갈
3,043
3,043
27
불가리아
98
2,574
2,672
28
멕시코
2,646
2,646
29
호주
2,425
2,425
30
말레이시아
78
1,473
1,551
31
페루
1,323
1,323
32
크로아티아
32
822
854
33
알바니아
593
593
34
슬로베니아
419
419
35
싱가포르
360
360
36
우크라이나
251
251
37
세네갈
190
190
38
몬테네그로
186
186
39
튀니지
70
60
130
40
루마니아
125
125
41
채널 제도
95
95
42
아르헨티나
73
73
43
모로코
72
72
44
알제리
52
52
45
베네수엘라
43
5
48
46
아이슬란드
5
5
47
노르웨이
3
3
48
에콰도르
1
1
49
브루나이
1
1

순위
국명
단위: 톤
1
덴마크
24,811
2
칠레
8,725
3
대한민국
6,523
4
미국
5,363
5
브라질
4,810
6
멕시코
2,646
7
인도네시아
1,736
8
터키
1,371
9
페루
1,323
10
독일
1,206
11
태국
807
12
이탈리아
629
13
영국
403
14
프랑스
338
15
우크라이나
251
16
그리스
185
17
뉴질랜드
136
18
루마니아
125
19
불가리아
98
20
말레이시아
78
21
러시아
74
22
튀니지
70
23
아일랜드
51
24
베네수엘라
43
25
크로아티아
32
26
스페인
32
27
필리핀
22
28
아이슬란드
5
29
아르헨티나
5
30
노르웨이
3
31
에콰도르
1

 

순위
국명
단위: 톤
1
중국
829,481
2
칠레
425,849
3
스페인
203,226
4
뉴질랜드
98,016
5
대한민국
63,672
6
이탈리아
61,921
7
프랑스
61,360
8
태국
52,067
9
네덜란드
32,850
10
필리핀
23,707
11
인도네시아
23,173
12
캐나다
22,567
13
아일랜드
17,440
14
독일
14,274
15
그리스
13,508
16
인도
9,500
17
브라질
9,258
18
영국
9,239
19
덴마크
8,485
20
캄보디아
5,480
21
터키
4,585
22
러시아
3,740
23
스웨덴
3,457
24
남아프리카
3,421
25
포르투갈
3,043
26
불가리아
2,574
27
호주
2,425
28
미국
2,250
29
말레이시아
1,473
30
크로아티아
822
31
알바니아
593
32
슬로베니아
419
33
싱가포르
360
34
세네갈
190
35
몬테네그로
186
36
채널 제도
95
37
모로코
72
38
아르헨티나
69
39
튀니지
60
40
알제리
52
41
베네수엘라
5
42
브루나이
1
우리나라의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시원한 홍합탕에 소주 한 잔을 곁들이며 추운 몸을 녹이는 것은 한겨울 직장인들의 작은 행복이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홍합 생산량 통계를 알아본다.

참고로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라 통계에는 진주담치와 초록담치를 비롯한 홍합과의 조개들이 포함된다.

연도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985년
9,775
48,239
58,014
1986년
8,452
34,557
43,009
1987년
6,541
26,064
32,605
1988년
11,663
15,693
27,356
1989년
12,325
7,925
20,250
1990년
21,057
9,759
30,816
1991년
14,837
9,495
24,332
1992년
11,826
9,689
21,515
1993년
5,605
55,183
60,788
1994년
5,893
39,764
45,657
1995년
6,627
75,353
81,980
1996년
3,028
70,058
73,086
1997년
7,309
63,573
70,882
1998년
7,925
17,785
25,710
1999년
8,185
15,042
23,227
2000년
6,928
11,713
18,641
2001년
4,913
13,653
18,566
2002년
4,446
13,201
17,647
2003년
3,260
15,785
19,045
2004년
3,059
20,409
23,468
2005년
4,177
43,953
48,130
2006년
6,593
81,617
88,210
2007년
9,517
98,121
107,638
2008년
7,937
67,442
75,379
2009년
10,767
55,035
65,802
2010년
13,495
54,440
67,935
2011년
9,747
70,416
80,163
2012년
8,292
61,310
69,602
2013년
7,027
34,429
41,456
2014년
6,467
51,463
57,930
2015년
6,076
53,536
59,612
2016년
9,334
54,642
63,976
2017년
6,748
76,161
82,909
2018년
6,863
49,500
56,363
2019년
8,099
51,560
59,659
2020년
5,603
61,968
67,571
2021년
6,523
63,672
70,195
전 세계의 삼치 어획량 통계(2021년)

전 세계의 삼치 어획량 통계(2021년)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삼치어획량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중국
365,495
2
인도네시아
226,788
3
인도
37,655
4
이란
36,969
5
대한민국
30,951
6
멕시코
25,116
7
방글라데시
22,130
8
필리핀
18,134
9
말레이시아
16,008
10
일본
14,300
11
파키스탄
12,157
12
브라질
9,672
13
미얀마
8,899
14
태국
7,677
15
오만
7,667
16
모잠비크
6,497
17
미국
5,095
18
아랍 에미리트 연방
4,988
19
사우디 아라비아
4,744
20
베넹
4,505
21
모리타니아
4,107
22
마다가스카르
3,861
23
탄자니아
3,431
24
예멘
3,084
25
카타르
2,598
26
에콰도르
1,903
27
콜롬비아
1,851
28
대만
1,801
29
앙골라
1,655
30
탄자니아
1,275
31
베네수엘라
1,222
32
이집트
1,222
33
트리니다드 토바고
1,194
34
홍콩
1,133
35
스리랑카
1,126
36
가나
877
37
도미니카 공화국
728
38
피지
660
39
코트디부아르
412
40
니카라과
318
41
호주
302
42
코모로
265
43
파나마
264
44
페루
243
45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243
46
에리트리아
213
47
지부티
192
48
세네갈
177
49
쿠웨이트
165
50
라이베리아
158
51
카보베르데
151
52
수단
150
53
가이아나
139
54
프랑스
95
55
쿠바
91
56
바레인
80
57
세인트루시아
77
58
스페인
71
59
버뮤다
67
60
아루바
45
61
레유니온
41
62
이스라엘
40
63
푸에르토리코
33
64
벨리즈
23
65
미국령 사모아
21
66
마요트
20
67
싱가포르
19
68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7
69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16
70
과들루프
14
71
마르티니크
14
72
불령 기아나
11
73
상투메 프린시페
11
74
코스타리카
9
75
뉴칼레도니아
8
76
적도 기니
8
77
세인트 헬레나
6
78
몰디브
5
79
세이셸
5
80
요르단
5
81
바베이도스
5
82
브루나이
4
83
토케라우
4
84
모리셔스
3
85
3
86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3
86
이탈리아
3
88
토고
2
89
남아프리카
1
90
도미니카
1
우리나라의 삼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의 삼치 어획량 통계

삼치가 제철이면 수도권에서 가까운 시화방조제는 잠깐 짬을 내어 손맛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붐비곤 하는데 이번에는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삼치어획량통계를 알아본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13,633
1986년
22,615
1987년
27,104
1988년
28,722
1989년
17,627
1990년
17,950
1991년
26,745
1992년
9,669
1993년
16,603
1994년
9,862
1995년
18,682
1996년
8,249
1997년
14,285
1998년
25,744
1999년
20,744
2000년
27,250
2001년
27,610
2002년
27,293
2003년
23,524
2004년
27,270
2005년
35,119
2006년
37,349
2007년
46,514
2008년
46,637
2009년
45,210
2010년
39,546
2011년
33,886
2012년
38,744
2013년
31,309
2014년
31,258
2015년
39,670
2016년
36,110
2017년
38,369
2018년
32,089
2019년
37,861
2020년
32,988
2021년
30,951
전 세계 꽁치 어획량 통계

전 세계 꽁치 어획량 통계

2021년도 전 세계의 꽁치 어획량은 99,283톤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0개국이 전체 어획고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5,351톤의 어회고를 올려 19,500톤을 기록한 일본에 이어서 4위를 기록하였다.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대만
34,043
2
중국
33,511
3
일본
19,500
4
대한민국
5,351
5
스페인
3,183
6
바누아투
2,700
7
러시아
616
8
칠레
374
9
포르투갈
3
10
이탈리아
2
우리나라의 꽁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의 꽁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평균 2.5만 톤 전후의 어획고를 올렸으나1980년대 후반부터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990년 초반부터 다시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2005년에는 4만 4천여 톤의 어획고를 올리기도 했으나 2000년대부터 다시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5,351톤의 어획량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393
1986년
8,924
1987년
6,779
1988년
4,495
1989년
3,367
1990년
23,103
1991년
29,034
1992년
34,153
1993년
40,889
1994년
35,082
1995년
37,865
1996년
28,368
1997년
68,853
1998년
18,531
1999년
29,538
2000년
44,340
2001년
26,205
2002년
27,187
2003년
32,643
2004년
25,585
2005년
44,828
2006년
12,706
2007년
21,716
2008년
34,500
2009년
25,551
2010년
23,924
2011년
20,759
2012년
16,392
2013년
23,355
2014년
23,751
2015년
11,777
2016년
17,831
2017년
757
2018년
708
2019년
8,647
2020년
6,637
2021년
5,351
우리나라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우리나라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FAO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87년 436,562톤의 대구를 어획한 것이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린 해이며 이루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46,323톤의 어획량을 올려 세계 23위를 기록하였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62,284
1986년
633,771
1987년
436,562
1988년
315,829
1989년
389,391
1990년
324,315
1991년
200,575
1992년
340,704
1993년
239,910
1994년
316,157
1995년
349,326
1996년
233,931
1997년
234,640
1998년
250,255
1999년
163,545
2000년
110,213
2001년
227,080
2002년
47,308
2003년
41,085
2004년
38,239
2005년
47,644
2006년
47,536
2007년
43,031
2008년
46,283
2009년
63,095
2010년
74,756
2011년
79,776
2012년
67,084
2013년
48,769
2014년
57,571
2015년
43,387
2016년
30,318
2017년
36,371
2018년
9,864
2019년
52,239
2020년
44,164
2021년
46,323

 

전 세계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및 양식생산량 통계

전 세계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및 양식생산량 통계

FAO의 통계에 따른 2021년도 전 세계의 대구 생산량은 직접 어획한 것과 양식으로 생산한 것을 합하여 모두 8,642,679톤을 기록하였다.

한편 FAO가 개발한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의하면 당연한 얘기지만 대구류에는 대구과인 명태가 포함된다.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러시아
2,634,500
2
미국
1,853,690
3
노르웨이
961,754
4
아이슬란드
587,775
5
페로 제도
360,186
6
아르헨티나
335,573
7
일본
230,913
8
스페인
192,486
9
영국
151,966
10
남아프리카
150,535
11
뉴질랜드
132,357
12
나미비아
130,000
13
캐나다
111,850
14
덴마크
100,603
15
프랑스
80,130
16
네덜란드
64,498
17
그린란드
61,116
18
북한
58,710
19
아일랜드
53,709
20
독일
50,766
21
칠레
46,898
22
페루
46,753
23
대한민국
46,323
24
폴란드
31,490
25
앙골라
21,157
26
리투아니아
17,532
27
호주
12,462
28
우루과이
11,909
29
터키
11,229
30
에콰도르
10,949
31
포르투갈
10,093
32
멕시코
9,591
33
포클랜드 제도
9,434
34
모로코
9,221
35
이탈리아
7,942
36
브라질
7,060
37
세네갈
5,779
38
그리스
4,073
39
나이지리아
3,653
40
알제리
2,853
41
튀니지
2,170
42
스웨덴
2,116
43
에스토니아
1,579
44
벨기에
1,523
45
크로아티아
1,201
46
조지아
900
47
리비아
745
48
라트비아
708
49
알바니아
703
50
벨리즈
570
51
이집트
494
52
모리타니아
100
53
적도 기니
70
54
몬테네그로
42
55
핀란드
35
55
시리아
35
57
생피에르 미크론
30
58
채널 제도
29
59
슬로베니아
24
60
우크라이나
21
61
몰타
20
62
인도
13
63
불가리아
10
64
키프로스
5
65
레바논
5
65
기니비사우
5
67
루마니아
3
68
맨섬
2

전 세계의 바지락 생산량(채집+양식) 통계(2021년)

전 세계의 바지락 생산량(채집+양식) 통계(2021년)

전 세계에서 자연산 바지락을 가장 많이 채취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이고 양식 바지락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으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8%를 차지하는 실정이다 보니 다른 나라들의 그래프는 잘 보이지 않을 정도다.

순위
국가명 
채집량
양식생산량
합계
1
중국
4,289,768
4,289,768
2
대한민국
21,997
23,818
45,815
3
이탈리아
23,082
23,082
4
포르투갈
43
5,109
5,152
5
일본
4,900
4,900
6
미국
3,555
3,555
7
튀니지
1,750
1,750
8
스페인
342
1,093
1,435
9
프랑스
56
1,140
1,196
10
캐나다
996
996
11
모로코
136
136
12
영국
21
21
13
대만
13
13
14
러시아
5
5
전세계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전세계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넙치와 가자미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순위를 비교한 것으로 어획량 1위는 미국이 양식생산량 1위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명
단위: 톤
1
미국
198,692
2
중국
122,853
3
러시아
113,597
4
대한민국
75,638
5
그린란드
45,404
6
일본
44,059
7
캐나다
43,972
8
인도네시아
33,241
9
인도
30,425
10
네덜란드
29,347
11
앙골라
27,871
12
아이슬란드
25,040
13
스페인
21,700
14
노르웨이
21,371
15
영국
19,031
16
나이지리아
15,985
17
덴마크
15,683
18
폴란드
15,623
19
프랑스
13,722
20
독일
10,542
21
벨기에
8,522
22
포르투갈
7,930
23
모로코
7,883
24
말레이시아
7,623
25
카메룬
7,360
26
이란
7,187
27
기니
6,200
28
세네갈
5,533
29
멕시코
5,381
30
아일랜드
4,454
31
북한
4,120
32
아르헨티나
3,708
33
페로 제도
3,376
34
탄자니아
3,249
35
가나
2,843
36
이탈리아
2,757
37
브라질
2,520
38
태국
2,370
39
코트디부아르
2,260
40
이집트
1,947
41
뉴질랜드
1,810
42
에스토니아
1,683
43
감비아
1,472
44
시에라 레온
1,390
45
파키스탄
1,312
46
예멘
1,275
47
튀니지
1,110
48
튀르키예
888
49
홍콩
733
50
그리스
516
51
필리핀
506
52
라트비아
461
53
콩고 공화국
459
54
에콰도르
436
55
모리타니아
425
56
콜롬비아
424
57
콩고 민주 공화국
400
58
가봉
370
59
스웨덴
326
60
페루
314
61
리투아니아
275
62
크로아티아
242
63
대만
225
64
이라크
204
65
베넹
155
66
적도 기니
150
67
남아프리카
147
68
라이베리아
146
69
리비아
125
70
우루과이
120
71
우크라이나
117
72
알바니아
107
73
생피에르 미크론
93
74
니카라과
78
75
나미비아
75
76
루마니아
75
77
불가리아
70
78
사우디 아라비아
50
79
칠레
48
80
기니비사우
45
81
지부티
19
82
슬로베니아
9
83
베네수엘라
8
84
핀란드
8
85
브루나이
7
86
팔레스타인
7
87
채널 제도
6
88
몬테네그로
6
89
바레인
5
90
알제리
5
91
토고
4
92
에리트리아
4
93
카타르
3
94
맨섬
1

순위
국명
단위: 톤
1
미국
198,692
2
러시아
113,597
3
그린란드
45,404
4
캐나다
43,972
5
일본
42,359
6
인도네시아
33,241
7
인도
30,425
8
네덜란드
29,227
9
앙골라
27,871
10
대한민국
27,633
11
아이슬란드
24,703
12
노르웨이
19,749
13
영국
19,031
14
나이지리아
15,985
15
덴마크
15,683
16
폴란드
15,623
17
프랑스
13,722
18
스페인
12,199
19
독일
10,542
20
벨기에
8,522
21
모로코
7,883
22
말레이시아
7,623
23
카메룬
7,360
24
이란
7,187
25
기니
6,200
26
세네갈
5,533
27
멕시코
5,381
28
아일랜드
4,454
29
북한
4,120
30
포르투갈
4,064
31
아르헨티나
3,708
32
페로 제도
3,376
33
탄자니아
3,249
34
가나
2,843
35
이탈리아
2,719
36
브라질
2,520
37
태국
2,370
38
코트디부아르
2,260
39
이집트
1,947
40
뉴질랜드
1,810
41
에스토니아
1,683
42
감비아
1,472
43
시에라 레온
1,390
44
파키스탄
1,312
45
예멘
1,275
46
튀니지
1,110
47
튀르키예
888
48
홍콩
733
49
그리스
514
50
필리핀
506
51
라트비아
461
52
콩고 공화국
459
53
에콰도르
436
54
모리타니아
425
55
콜롬비아
424
56
콩고 민주 공화국
400
57
가봉
370
58
스웨덴
326
59
페루
305
60
리투아니아
275
61
크로아티아
242
62
대만
225
63
이라크
204
64
베넹
155
65
적도 기니
150
66
남아프리카
147
67
라이베리아
146
68
리비아
125
69
우루과이
120
70
우크라이나
117
71
알바니아
107
72
생피에르 미크론
93
73
니카라과
78
74
나미비아
75
75
루마니아
75
76
불가리아
70
77
사우디 아라비아
50
78
칠레
48
79
기니 비사우
45
80
지부티
19
81
슬로베니아
9
82
베네수엘라
8
83
핀란드
8
84
브루나이
7
85
팔레스타인
7
86
채널 제도
6
87
몬테네그로
6
88
바레인
5
89
토고
4
90
에리트리아
4
91
카타르
3
92
알제리
2
93
맨섬
1

순위
국명
단위: 톤
1
중국
122,853
2
대한민국
48,005
3
스페인
9,500
4
포르투갈
3,866
5
일본
1,700
6
노르웨이
1,622
7
아이슬란드
337
8
네덜란드
120
9
이탈리아
38
10
페루
10
11
그리스
2
12
알제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