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미역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미역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기준 전 세계의 미역생산량은 274만 6천여 톤으로 그 중 77.3%인 212만 여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우리나라가 58만 여 톤으로 21.1%를 차지하고 있고 3위인 일본이 43,500톤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99.9%를 세 나라가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미역이 침략적 외래종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질 않다. 뿐만 아니라 왜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미역은 부영양화 물질인 질소와 인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생산하므로 환경을 보호하는 지킴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데 왜 침략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미역을 먹는 나라가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역은 한국과 일본 및 북한이 주로 먹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소비량은 일본의 3배에 이를 정도지만 다른 외국에서는 거의 먹질 않으니 경제적 가치가 없다고 볼 수 있는데 가치가 없는 미역이 양식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으니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이다.

한 예를 들면 뉴질랜드의 바닷가재 양식장에 미역이 번식해 대량으로 폐사한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뉴질랜드에서는 미역을 발견하면 행정기관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는데 미역이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퍼지게 된 것은 선박의 평형수(Sailing ballast) 때문이라 한다.

1973년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선박의 평형수로 인해 박테리아가 이동하여 전염병이 창궐할 위험성이 대두하자 ‘선박의 평형수와 침전물의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는데 여기서 규정하고 있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수생생물 10종(Ten of the Most Unwanted)의 하나로 미역을 규정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IMO의 Ten of the Most Unwanted

미역은 굴이나 가리비, 홍합과 가재 등의 성장을 저해하여 수산업에 큰 피해를 입히는 바람에 비록 전 세계적으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고는 있으나 우리에겐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의 하나인 미역의 채집량과 양식으로 생산하는 양이 얼마나 되는지 그 통계를 알아보면 우선 미역의 채집은 FAO에 따르면 한국과 스페인이 유일하다고 하며 2021년에 우리나라는 5,000톤의 미역을 채집하였다고 한다.

반면에 양식으로 생산하는 미역은 574,585톤에 달해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달성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전갱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우리나라의 전갱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낚시인들에게 인기가 있는 어종이기도 한 전갱이의 전 세계 어획량은 2021년 기준으로 418만 여 톤에 이르고 우리나라는 1.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전갱이 어획량을 비교한 것으로 FAO의 분류에 따라 줄전갱이, 무명갈전갱이를 비롯한 트레발리(trevally)류는 포함하지 않는다.

연도
1985년
17,333
1986년
9,469
1987년
19,415
1988년
42,001
1989년
23,892
1990년
18,874
1991년
16,611
1992년
30,985
1993년
40,544
1994년
39,387
1995년
12,755
1996년
15,744
1997년
24,899
1998년
24,115
1999년
15,734
2000년
19,769
2001년
17,850
2002년
26,051
2003년
22,979
2004년
35,878
2005년
52,243
2006년
34,933
2007년
30,733
2008년
36,227
2009년
36,813
2010년
28,160
2011년
52,270
2012년
38,793
2013년
25,727
2014년
31,064
2015년
50,254
2016년
28,400
2017년
22,529
2018년
28,330
2019년
50,497
2020년
45,291
2021년
49,660
우리나라의 문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우리나라의 문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전세계의 문어 어획량 통계에서 알아보았던 모리타니아는 2021년 27,277톤의 어획고를 올려 4위를 차지하였으나 어획량의 거의 대부분을 중국업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전부가 수출되고 있는데 주된 수출국이 일본이다.

일본이 어업기술을 전수하여 모리타니아의 문어어업이 발전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일본은 안정적인 문어 수입량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이젠 중국업체들이 장악하기에 이르러 볼멘 소리와 함께 가격인상에 대한 우려 섞인 소리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아무튼 우리나라는 2021년에 19,098톤의 어회량을 기록하여 4위 모리타니아, 5위 일본, 6위 인도네시아에 이어서 7위를 차지하였다.

 

연도
1985년
20,410
1986년
16,395
1987년
12,571
1988년
10,368
1989년
13,326
1990년
11,786
1991년
10,963
1992년
11,533
1993년
7,899
1994년
8,465
1995년
22,142
1996년
21,707
1997년
23,084
1998년
27,174
1999년
22,674
2000년
19,605
2001년
19,965
2002년
21,703
2003년
17,786
2004년
18,581
2005년
19,765
2006년
19,873
2007년
27,494
2008년
23,812
2009년
27,402
2010년
20,759
2011년
19,468
2012년
19,510
2013년
16,689
2014년
17,726
2015년
18,535
2016년
18,090
2017년
19,612
2018년
19,241
2019년
19,554
2020년
19,366
2021년
19,049
우리나라의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시원한 홍합탕에 소주 한 잔을 곁들이며 추운 몸을 녹이는 것은 한겨울 직장인들의 작은 행복이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홍합 생산량 통계를 알아본다.

참고로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라 통계에는 진주담치와 초록담치를 비롯한 홍합과의 조개들이 포함된다.

연도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985년
9,775
48,239
58,014
1986년
8,452
34,557
43,009
1987년
6,541
26,064
32,605
1988년
11,663
15,693
27,356
1989년
12,325
7,925
20,250
1990년
21,057
9,759
30,816
1991년
14,837
9,495
24,332
1992년
11,826
9,689
21,515
1993년
5,605
55,183
60,788
1994년
5,893
39,764
45,657
1995년
6,627
75,353
81,980
1996년
3,028
70,058
73,086
1997년
7,309
63,573
70,882
1998년
7,925
17,785
25,710
1999년
8,185
15,042
23,227
2000년
6,928
11,713
18,641
2001년
4,913
13,653
18,566
2002년
4,446
13,201
17,647
2003년
3,260
15,785
19,045
2004년
3,059
20,409
23,468
2005년
4,177
43,953
48,130
2006년
6,593
81,617
88,210
2007년
9,517
98,121
107,638
2008년
7,937
67,442
75,379
2009년
10,767
55,035
65,802
2010년
13,495
54,440
67,935
2011년
9,747
70,416
80,163
2012년
8,292
61,310
69,602
2013년
7,027
34,429
41,456
2014년
6,467
51,463
57,930
2015년
6,076
53,536
59,612
2016년
9,334
54,642
63,976
2017년
6,748
76,161
82,909
2018년
6,863
49,500
56,363
2019년
8,099
51,560
59,659
2020년
5,603
61,968
67,571
2021년
6,523
63,672
70,195
우리나라의 삼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의 삼치 어획량 통계

삼치가 제철이면 수도권에서 가까운 시화방조제는 잠깐 짬을 내어 손맛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붐비곤 하는데 이번에는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삼치어획량통계를 알아본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13,633
1986년
22,615
1987년
27,104
1988년
28,722
1989년
17,627
1990년
17,950
1991년
26,745
1992년
9,669
1993년
16,603
1994년
9,862
1995년
18,682
1996년
8,249
1997년
14,285
1998년
25,744
1999년
20,744
2000년
27,250
2001년
27,610
2002년
27,293
2003년
23,524
2004년
27,270
2005년
35,119
2006년
37,349
2007년
46,514
2008년
46,637
2009년
45,210
2010년
39,546
2011년
33,886
2012년
38,744
2013년
31,309
2014년
31,258
2015년
39,670
2016년
36,110
2017년
38,369
2018년
32,089
2019년
37,861
2020년
32,988
2021년
30,951
우리나라의 꽁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의 꽁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평균 2.5만 톤 전후의 어획고를 올렸으나1980년대 후반부터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990년 초반부터 다시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2005년에는 4만 4천여 톤의 어획고를 올리기도 했으나 2000년대부터 다시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5,351톤의 어획량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393
1986년
8,924
1987년
6,779
1988년
4,495
1989년
3,367
1990년
23,103
1991년
29,034
1992년
34,153
1993년
40,889
1994년
35,082
1995년
37,865
1996년
28,368
1997년
68,853
1998년
18,531
1999년
29,538
2000년
44,340
2001년
26,205
2002년
27,187
2003년
32,643
2004년
25,585
2005년
44,828
2006년
12,706
2007년
21,716
2008년
34,500
2009년
25,551
2010년
23,924
2011년
20,759
2012년
16,392
2013년
23,355
2014년
23,751
2015년
11,777
2016년
17,831
2017년
757
2018년
708
2019년
8,647
2020년
6,637
2021년
5,351
우리나라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우리나라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FAO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87년 436,562톤의 대구를 어획한 것이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린 해이며 이루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46,323톤의 어획량을 올려 세계 23위를 기록하였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62,284
1986년
633,771
1987년
436,562
1988년
315,829
1989년
389,391
1990년
324,315
1991년
200,575
1992년
340,704
1993년
239,910
1994년
316,157
1995년
349,326
1996년
233,931
1997년
234,640
1998년
250,255
1999년
163,545
2000년
110,213
2001년
227,080
2002년
47,308
2003년
41,085
2004년
38,239
2005년
47,644
2006년
47,536
2007년
43,031
2008년
46,283
2009년
63,095
2010년
74,756
2011년
79,776
2012년
67,084
2013년
48,769
2014년
57,571
2015년
43,387
2016년
30,318
2017년
36,371
2018년
9,864
2019년
52,239
2020년
44,164
2021년
46,323

 

우리나라의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벌써 몇 년이란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지만 한때는 석문방조제로 광어를 잡기 위해 자주 다녔던 기억이 있다. 또한 광어는 누구나 쉽게 횟집에서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어종인데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넙치와 가자미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순위를 1985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해보았다.

※1985년과 1986년의 양식생산량은 조회되지 않아 통계에 빠져 있음

연도
어획량
양식생산량
합계
1985년
87,710
 -
87,710
1986년
70,367
 -
70,367
1987년
65,253
20
65,273
1988년
32,354
16
32,370
1989년
27,504
249
27,753
1990년
28,473
1,037
29,510
1991년
25,551
1,815
27,366
1992년
25,973
3,199
29,172
1993년
21,642
4,029
25,671
1994년
21,390
5,270
26,660
1995년
20,554
6,733
27,287
1996년
24,501
8,861
33,362
1997년
24,410
26,274
50,684
1998년
24,912
22,277
47,189
1999년
25,316
21,368
46,684
2000년
21,377
14,127
35,504
2001년
19,962
16,426
36,388
2002년
18,097
23,348
41,445
2003년
17,400
34,533
51,933
2004년
16,532
32,141
48,673
2005년
20,495
40,075
60,570
2006년
25,791
43,852
69,643
2007년
31,189
41,171
72,360
2008년
27,547
46,432
73,979
2009년
27,986
54,674
82,660
2010년
29,302
40,925
70,227
2011년
28,024
40,805
68,829
2012년
27,501
39,371
66,872
2013년
25,216
36,944
62,160
2014년
25,001
42,133
67,134
2015년
23,161
47,600
70,761
2016년
20,212
43,357
63,569
2017년
19,979
43,771
63,750
2018년
21,954
40,650
62,604
2019년
24,642
46,989
71,631
2020년
27,411
47,149
74,560
2021년
27,633
48,005
75,638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어획+양식)량 통계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어획+양식)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량은 대부분 어획에 의한 것으로 잡는 어종도 대서양참다랑어가 242톤, 남방참다랑어가 1,428톤, 날개다랑어가 1,721톤, 눈다랑어가 23,054톤, 황다랑어가 60.205톤 등으로 다양하나 여기서는 세분하지 않고 합산하여 알아본다.

한편 FAO의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따르면 참치의 분류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등 8종을 포함하고 있으나 돛새치류는 제외하고 있다.

1998년작 영화 고질라 속에 소품으로 등장한 동원참치가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참치원양어업은 국가경제에 이바지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도 10위권 이내를 유지하고 있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77,207
1986년
82,875
1987년
90,479
1988년
82,952
1989년
89,979
1990년
94,126
1991년
94,786
1992년
109,362
1993년
93,038
1994년
97,066
1995년
79,872
1996년
66,404
1997년
96,575
1998년
112,256
1999년
72,454
2000년
81,359
2001년
93,057
2002년
83,974
2003년
76,080
2004년
69,137
2005년
80,554
2006년
82,388
2007년
79,497
2008년
93,958
2009년
62,391
2010년
95,393
2011년
70,637
2012년
88,283
2013년
69,389
2014년
90,376
2015년
79,217
2016년
99,550
2017년
90,673
2018년
87,987
2019년
83,763
2020년
86,212
2021년
86,651

우리나라의 연어 및 송어류 양식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연어 및 송어류 양식생산량 통계

이 글은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어종의 분류는 FAO의 ISCCAAP에 따라 연어와 송어 및 산천어와 빙어 은어 등이 포함되며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30위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2021년 기준으로 노르웨이의 생산량인 1,660,694톤의 0.16%에 지나지 않는 2,765톤의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18
1986년
621
1987년
704
1988년
878
1989년
1,256
1990년
1,529
1991년
1,250
1992년
1,432
1993년
2,149
1994년
2,546
1995년
2,795
1996년
3,241
1997년
3,744
1998년
4,422
1999년
3,317
2000년
2,930
2001년
2,899
2002년
2,923
2003년
3,590
2004년
3,578
2005년
3,365
2006년
1,897
2007년
2,915
2008년
2,843
2009년
2,785
2010년
2,700
2011년
3,051
2012년
3,115
2013년
3,434
2014년
3,356
2015년
3,107
2016년
3,116
2017년
3,695
2018년
3,460
2019년
3,669
2020년
2,733
2021년
2,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