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우유 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우유 생산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197만 5,414톤의 우유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은 8만 3,330톤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도
생산량(톤)
1990년
1,751,758
1991년
1,740,995
1992년
1,816,120
1993년
1,857,873
1994년
1,917,398
1995년
1,998,445
1996년
2,033,738
1997년
1,984,023
1998년
2,027,000
1999년
2,243,941
2000년
2,252,804
2001년
2,338,860
2002년
2,537,000
2003년
2,366,000
2004년
2,255,000
2005년
2,228,821
2006년
2,184,000
2007년
2,188,000
2008년
2,200,000
2009년
2,222,000
2010년
2,073,000
2011년
1,889,000
2012년
2,111,000
2013년
2,093,000
2014년
2,214,039
2015년
2,168,157
2016년
2,069,581
2017년
2,058,230
2018년
2,040,751
2019년
2,049,434
2020년
2,088,786
2021년
2,034,384
2022년
1,975,414

 

우리나라의 양파 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양파 생산량 통계

2022년 전 세계의 양파 생산량은 1억 1,061만 6,270톤으로 3,168만 7천 톤을 생산한 인도가 1위를 차지하였고 119만 5,563톤을 생산한 우리나라는 21위를 기록하였다.

 

연도
1990년
407,353
1991년
529,975
1992년
809,788
1993년
556,032
1994년
541,179
1995년
974,619
1996년
578,574
1997년
740,187
1998년
872,143
1999년
935,828
2000년
877,514
2001년
1,073,708
2002년
933,095
2003년
745,203
2004년
947,797
2005년
1,023,331
2006년
889,619
2007년
1,213,375
2008년
1,035,076
2009년
1,372,291
2010년
1,411,646
2011년
1,520,016
2012년
1,195,737
2013년
1,294,009
2014년
1,589,957
2015년
1,093,932
2016년
1,298,749
2017년
1,144,493
2018년
1,520,969
2019년
1,594,450
2020년
1,168,227
2021년
1,576,752
2022년
1,195,563

 

우리나라의 오이 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오이 생산량 통계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27만 5,203톤의 오이를 생산하였으며 1위는 7,725만 8,256톤의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81.5%를 차지한 중국이 차지하였다.

 

연도
1990년
216,130
1991년
267,146
1992년
273,041
1993년
348,547
1994년
303,436
1995년
337,348
1996년
359,708
1997년
332,877
1998년
408,317
1999년
418,796
2000년
453,525
2001년
451,518
2002년
463,707
2003년
445,033
2004년
407,464
2005년
403,280
2006년
389,555
2007년
330,225
2008년
383,921
2009년
352,018
2010년
306,164
2011년
303,805
2012년
288,071
2013년
254,576
2014년
279,105
2015년
271,040
2016년
333,760
2017년
341,364
2018년
391,214
2019년
366,065
2020년
335,596
2021년
283,933
2022년
275,203

 

우리나라의 포도 생산량 통계

우리나라의 포도 생산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15만 5,084톤의 포도를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위는 1,260만 톤을 생산한 중국이었다고 한다.

 

연도
1990년
131,324
1991년
147,973
1992년
146,346
1993년
163,780
1994년
211,930
1995년
316,443
1996년
357,274
1997년
393,195
1998년
387,179
1999년
453,119
2000년
475,594
2001년
453,578
2002년
422,036
2003년
376,430
2004년
367,894
2005년
381,436
2006년
330,049
2007년
328,680
2008년
333,596
2009년
279,296
2010년
305,543
2011년
226,590
2012년
277,917
2013년
219,680
2014년
268,556
2015년
223,695
2016년
229,284
2017년
190,265
2018년
175,399
2019년
166,159
2020년
165,906
2021년
168,150
2022년
155,084

 

일본산 활멍게의 수입통계(2012년~2022년)

일본산 활멍게의 수입통계(2012년~2022년)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온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성과에 대하여 말들이 많다. 그러나 이곳 지니월드는 정치적인 얘기, 특히 한쪽으로 치우친 편향적인 시각의 포스팅은 하지 않으려 노력하기에 문제의 핵심에만 접근해보고자 한다.

오늘(3월 22일)자 연합뉴스는 “韓대통령실, 日멍게 수입 재개 요청 대화 영상촬영 제지”란 제목의 기사에서 “일한의원연맹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郎)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일본산 멍게의 수입 재개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한 것은 아니다. 지진과 해일이 있어서 피해가 컸지만 원전 자체가 붕괴된 것은 아니므로 방사능 유출은 기본적으로 안됐다”고 말한 바가 있다.

이로 인해 일본은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았으므로 우리나라가 후쿠시마를 비롯한 8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논리를 펴면서 앞으로 더 많은 공세를 취할 가능성이 있음은 불보듯 뻔하다.

수산물의 수입을 전면금지하고 있는 8개 현의 하나인 이바라키현에서 태어나고 이바라키현의 의회의원으로 정치역정을 시작한 누카가 후쿠시로라는 정치인이 멍게의 수입을 요청하고 나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럼 지금부터 일본에서 수입하는 멍게의 통계를 알아보기로 하자.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나기 이전까지 일본에서 멍게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은 단연코 미야기현이 1위였다.

2010년의 통계를 보면 일본의 멍게 총생산량은 10,272톤이었는데 그중 미야기현에서 생산한 것이 8,663톤으로 84.3%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이와테현이 1,093톤으로 2위를, 아오모리현이 479톤으로 3위를 차지하였고 4위를 차지한 홋카이도는 고작 36톤을 생산하는데 불과했다.

그러나 지진 직후부터 멍게양식에 본격적으로 나선 홋카이도가 생산량을 늘여 한국으로 수출하게 되면서 생산량은 100배 이상으로 늘어났고 2019년에는 미야기현을 누르고 생산량 1위에 반짝 등극하기도 했다.

2011년 이전까지 미야기현에서 생산된 멍게의 70%가량은 한국으로 수출되었고 나머지 30%를 인근 현과 미야기현 자체에서 소비하고 있었으나 2011년 3월 11일의 대지진과 해일로 양식시설이 완전히 파괴되어 생산기반이 상실되었던 것이 미야기현의 멍게 생산이 급감한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 후 국고보조로 다시 시설을 복구하여 2014년 이후 출하를 재개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수입금지로 인해 2016년과 2017년에 생산량의 절반 가까이를 폐기할 수밖에 없었고 폐기한 금액에 해당하는 배상금과 폐기비용을 도쿄전력에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일본은 한국에 대한 멍게의 수출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베트남, 홍콩, 미국 등지로의 수출을 모색하고는 있으나 여의치 않은 실정이며 일본의 2020년 멍게 생산량은 전년 대비 24.7%가 감소한 9,390톤을 기록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멍게 수출입동향을 살펴보면 2022년에는 모두 3,166.3톤의 활멍게를 수입하였는데 그중 95.5%가 일본에서 수입한 것이었다.

 

 

이럼에도 일본산 참돔을 수입해야만 할까?

이럼에도 일본산 참돔을 수입해야만 할까?

얼마 전 한국인 수험생 7명 모두의 면접점수를 0점으로 처리하여 불합격시킨 일본의 오카야마(岡山)이과대 수의학부와 관련한 언론의 보도가 있었는데 문제의 수의학부가 있는 곳은 일본 에히메현(愛媛県)의 이마바리시(今治市)다.

에히메현이 어떤 곳인지는 지난번 우리가 먹었던 일본산 방어는 어디서 얼마나 들어왔을까?”에서 살펴보았듯이 방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한국으로 가장 많은 양의 참돔을 수출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정치권의 문제만을 가지고 에히메현에서 수입되는 수산물의 구매를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많은 양의 방어를 비롯하여 가장 많은 참돔을 수입해오는 에히메현이 어떤 곳인지를 알아보고 곰곰이 생각해보자는 취지에서 이 글을 적는다.

에히메현은 한일관계를 냉각시킨 원인이 되었던, 식민지 지배를 미화하고 과거사를 왜곡한 후소샤 역사교과서를 채택한 곳이고, 이에 대한 우려를 담은 요청서를 전달하고자 했던 한국의 관계자들을 이마바리시 교육위원회 위원장은 문전박대했던 전력이 있기도 하다.

※ 관련기사: 프레시안 교과서 위험 지역 에히메현

대한민국을 강점하고 식민지배를 했던 역사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교과서를 채택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참돔을 수입해서 먹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란 것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여야 할까?

게다가 작년 12월 11일에는 극우신문인 산케이가 주최하는 정론간담회의 지역간담회로서 2005년에 발족한 에히메정론간담회(愛媛正論懇話会)에 참가한 토요타 아리츠네(豊田有恒)가 ‘귀찮은 이웃, 한국’이란 주제로 민족성을 운운하며 혐한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런 내용은 국내에 단 한 줄도 전해지지 않았고, 작년에도 우리는 에히메현에서 생산한 참돔과 방어를 회로 먹었던 것이며, 방송사들은 앞다투어 방어가 제철이라면서 국내 수산업자들을 고사시킬 수도 있는 프로그램을 무분별하게 제작하여 송출하기도 하였던 것을 떠올리면 씁쓸하기만 할 따름이다.

토요타 아리츠네(豊田有恒)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이었던 구로다 가쓰히로와도 친분이 깊으며 한국어를 할 줄 알고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혐한인사의 한 명이다.

2019년 기준, 일본에서 세 번째로 많은 양인 13,385톤의 양식 방어를 생산한 에히메현은 2017년 통계로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38,568톤의 양식 참돔을 생산하였고 그 중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양을 수출하고 있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조금 지난 통계이긴 하지만 2017년의 자료를 인용하면 에히메현은 총 1,903톤의 양식 참돔을 수출하였는데 그 중 72%인 1,365톤을 대한민국으로 수출하였으며 금액으로는 총 134억7천만 원을 수출하고 그 중 121억2천만 원을 우리나라에 수출하여 금액으로는 89.9%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에히메현의 수산·양식업계를 먹여 살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우리나라에 대하여 계속되는 에히메현의 혐한행동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그곳에서 수입되는 참돔을 아무렇지 않게 먹는 것이 당연한 일일까?

남북한 및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 통계(비교)

남북한 및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 통계(비교)

Image by 정동완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룬 우리나라는 어업에 있어서도 2020년 기준, 3,703,318톤의 수산물을 생산하여 1.73%의 점유율로 세계 12위를 기록하였다.

1961년부터 2020년까지 60년 동안의 수산업 통계를 살펴보면 일본의 6.27% 수준에 머물던 것이 2020년에는 총생산량은 88% 수준으로 근접하였으며 양식생산량은 2006년에 일본을 추월한 이래 2020년에는 2.3배나 많은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한편 1961년의 대한민국과 북한의 수산물 총생산량은 424,517톤과 347,387톤으로 북한이 대한민국의 82%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20년에는 24%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이를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으로 구분해보면 어획량은 1961년 남한이 407,113톤 북한이 341.100톤으로 북한이 남한의 84%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에는 14.6% 수준으로 떨어져 큰 격차를 보였다.

 

양식생산량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는 북한이 대한민국의 생산량을 추월하기고 하였으나 1993년에 재역전된 이후 2020년에는 북한이 남한의 29% 수준에 머물고 있다.

 

갈치의 수입통계와 전세계 생산량 통계

갈치의 수입통계와 전세계 생산량 통계

갈치 다들 좋아하시죠? 그런데 마트에서는 세네갈산 갈치를 자주 보게 됩니다.

2022년 냉장갈치는 237.6톤을 수입하였는데 일본으로부터 전체물량의 99.9%인 237.4톤을 수입하였습니다. 그리고 냉동갈치는 모두 12,858.1톤을 수입하였으며 이 가운데 세네갈에서는 33.8%인 4,342.2톤을 수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세네갈의 뒤를 이어 모로코에서 2,055.5톤(15.9%), 에쿠아도르에서 1,583.6톤(12.3%), 오만에서 1,267.8톤(9.85%)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순위
수입국가
수입량(톤)
수입금액(원)
1
세네갈
4342.2
14,846,667,000
2
모로코
2055.5
7,402,995,600
3
에쿠아도르
1583.6
3,646,030,800
4
오만
1267.8
6,868,047,200
5
남아프리카공화국
858.3
2,513,271,400
6
베네주엘라
715.8
3,405,673,800
7
중국
631.5
5,383,996,800
8
일본
225.4
2,270,449,200
9
브라질
183
804,887,800
10
나미비아
160.5
377,175,600
11
베트남
112.1
513,994,200
12
수리남
105.4
345,128,000
13
아랍에미리트
80.6
378,408,200
14
모리타니
72.4
110,934,000
15
대만
64.7
389,501,600
16
인도네시아
54.7
310,615,200
17
소말리아
46.2
99,840,600
18
예맨
45.7
235,426,600
19
인도
40.4
181,192,200
20
기니
35.4
77,653,800
21
기타
176.9
761,746,800
합 계
12858.1
50,923,636,400

■ 우리나라의 갈치 어획량(1985년~2020년)

우리나라는 2016년 가장 적은 32.359톤을 어획한 이래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중인데 우리나라의 어획량과 전세계 갈치어획량의 통계를 그래프와 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FAO의 통계는 검은 갈치와 은빛 갈치 꼬치의 어획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년도
어획량(톤)
1985
132,426
1986
113,297
1987
117,972
1988
113,499
1989
109,204
1990
112,427
1991
105,821
1992
94,066
1993
63,977
1994
110,690
1995
102,166
1996
82,853
1997
78,742
1998
84,436
1999
77,311
2000
93,185
2001
83,401
2002
64,029
2003
66,125
2004
69,093
2005
62,151
2006
65,788
2007
68,512
2008
75,092
2009
87,815
2010
59,852
2011
33,548
2012
34,326
2013
47,657
2014
47,118
2015
41,085
2016
32,359
2017
54,521
2018
49,450
2019
43,516
2020
65,724

 

■ 전세계 갈치어획량 통계(2021년)

우리나라는 2021년 65,724톤의 갈치 어획고를 올렸는데 이는 전세계 어획량의 4.65%에 해당하는 양이며 중국이 가장 많은 903,435톤으로 63.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중국
903,435
2
인도
146,000
3
인도네시아
70,638
4
대한민국
65,724
5
이란
53,270
6
오만
21,721
7
말레이시아
17,508
8
앙골라
15,033
9
태국
13,379
10
대만
13,189
11
파키스탄
12,538
12
모로코
11,810
13
필리핀
11,780
14
일본
6,800
15
나이지리아
5,323
16
베네수엘라
4,890
17
포르투갈
4,736
18
세네갈
3,914
19
남아프리카
3,492
20
이집트
2,627
21
가나
2,589
22
브라질
2,400
23
콩고 공화국
2,387
24
콩고 민주공화국
1,930
25
예멘
1,785
26
뉴질랜드
1,672
27
코트디부아르
1,410
28
기니 비사우
1,270
29
홍콩
1,175
30
멕시코
1,108
31
프랑스
853
32
시에라리온
825
33
에콰도르
779
34
벨리즈
625
35
이탈리아
583
36
페로 제도
479
37
몰타
301
38
스페인
262
39
미국
230
40
모리타니아
205
41
페루
181
42
러시아
178
43
감비아
136
44
아르헨티나
107
45
베넹
105
46
아이슬란드
102
47
리투아니아
68
48
라이베리아
63
49
튀니지
60
50
포클랜드 제도
50
51
가봉
32
52
적도 기니
25
53
싱가포르
24
54
영국
20
55
요르단
10
56
브루나이
9
57
지부티
8
58
콜롬비아
1
59
토고
1
합 계
1,411,854

 

우리나라의 배(pear) 생산량과 수출통계

우리나라의 배(pear) 생산량과 수출통계

FAO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25만 1,093톤의 배를 생산하여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배를 생산한 나라가 되었으며 그 중 10%에 상당하는 물량을 수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세계에서 제일 많이 생산하는 중국은 2022년에 1,926만 5,300톤의 배를 생산하여 2위를 기록한 미국의 58만 4,230톤보다 33배나 많은 양의 배를 생산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배 생산량 통계

연도
1990년
159,335
1991년
165,310
1992년
173,511
1993년
162,133
1994년
163,729
1995년
178,321
1996년
219,322
1997년
260,168
1998년
259,770
1999년
259,086
2000년
324,166
2001년
417,160
2002년
386,348
2003년
316,568
2004년
451,861
2005년
443,265
2006년
431,464
2007년
467,426
2008년
470,745
2009년
418,368
2010년
307,820
2011년
290,494
2012년
172,599
2013년
282,212
2014년
302,731
2015년
260,975
2016년
238,014
2017년
265,757
2018년
203,166
2019년
200,732
2020년
132,580
2021년
210,293
2022년
251,093

 

우리나라의 다시마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우리나라의 다시마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전 세계의 다시마 생산량은 1,313만 2,727톤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 북한, 일본이 전량을 생산하고 있다.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생산량에 맞먹는 양을 생산하는 북한은 채집은 없는 양식으로 전량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2021년에 모두 76,700톤의 다시마를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21년에 모두 67만 7,552톤의 다시마를 생산하였으나 채집량은 15톤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모두 양식으로 생산한 것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다시마를 채집한 것은 2009년의 354톤이다.

 

연도
생산량(톤)
1985년
11,796
1986년
9,445
1987년
9,980
1988년
11,612
1989년
2,617
1990년
8,084
1991년
8,938
1992년
9,560
1993년
17,180
1994년
30,421
1995년
27,295
1996년
35,640
1997년
33,466
1998년
7,931
1999년
25,447
2000년
14,160
2001년
17,506
2002년
24,873
2003년
25,296
2004년
22,510
2005년
108,336
2006년
201,931
2007년
250,077
2008년
285,223
2009년
306,537
2010년
241,502
2011년
246,791
2012년
308,640
2013년
373,267
2014년
372,325
2015년
442,647
2016년
397,863
2017년
542,305
2018년
572,614
2019년
662,572
2020년
675,089
2021년
677,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