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깅낚시-에기의 선택요령

에깅낚시-에기의 선택요령

에기를 고르는 데는 3가지 조건이 있는데, 기후, 바닷물의 탁도, 그리고 시간대가 그것이다. 이 조건에 의하여 에기의 크기나 색상의 선택이 달라진다.

에기를 선택하는 요령이 늘어날수록 조과도 같이 상승하는데 그러면 이제 에기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에기의 사이즈

에기의 사이즈는 2.5호~4.0호까지 있으며 표준 사이즈는 3.5호이고 사이즈는 0.5호씩 올라간다. 요즘은 2.0호 미만의 더 작은 크기도 판매되고 있지만 3.0호~4.0호의 에기만 있으면 충분하다.

에기의 크기는 낚는 오징어의 크기에 비례하여 선택해야 하는데 가을 시즌은 그 해에 태어나서 성장한 크기가 작은 오징어가 많으므로 3.0호 전후를 사용하며 봄에는 사이즈가 큰 완전히 성장한 오징어를 대상으로 하므로 4.0호 전후를 사용한다.

그러나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작은 오징어가 4.0호의 에기에 반응하기도 하고 큰 오징어가 3.0호의 에기에 반응하기도 한다.

에기의 사이즈는 1호당 약 3cm 정도란 것을 기억하고 오징어는 자신의 몸통 길이의 1.5배 정도까지도 먹이의 대상으로 삼으니, 낚시터에 도착하여 주변 낚시인들이 잡은 오징어의 크기를 확인하고 에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에기의 색상

에깅낚시에서 에기의 색깔, 크기, 종류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에기의 색상이다. 에기의 컬러는 낚시점에 가면 너무 다양하여 선택하기에 혼란을 겪을 수도 있는데 에기의 컬러는 바탕 색과 몸체의 컬러로 구성되어 있다.

바탕색은 기초색이라고 불리며 에기의 본체에 감겨진 테이프의 색깔을 말하고 보디컬러는 바탕 색 위에 덮여 있는 천의 색깔이다. 보디칼라는 섬유이기 때문에 천의 그물망 사이로 바탕색이 보이게 된다.

에기의 색상에는 오징어에게 어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어필도란 것이 있는데 이것이 높을수록 화려한 색상을 지니며 대표적인 칼라가 오렌지와 핑크 색상이다.

이에 반해 어필도가 낮은 다크계열의 칼라는 올리브와 다크레드가 있고 그 중간에 해당하는 청색 등의 칼라를 사용한 것을 자연계라고 부른다.

오징어의 활성도가 높을 때는 어필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고 활성도가 낮을 때는 다크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오징어가 먹이활동을 왕성하게 할 때 활성도가 높다고 하고 그렇지 않을 때를 활성도가 낮다고 한다는 것은 다들 알겠지만 혹시나 해서 적어본다^^

오징어의 활성도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주위에서 오징어를 낚고 있는 사람이 많은지를 보는 것이겠지만, 일반적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시간대이다. 낚시에 있어서는 새벽과 일몰 전후에 물고기들의 먹이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시간대를 노리는 것이 좋다.

이 시간대에는 어필도가 높은 오렌지나 분홍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반대로 한 마리도 낚이지 않는다는 상황이라면 활성도가 낮은 것이므로 다크계열의 올리브와 다크레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렇게 해도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자연계열의 푸른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기본 색상은 어필도가 높은 순서로 골드, 레인보우(대리석), 실버, 레드가 있는데 활성도가 높을 때는 금색을 사용하고 활성도가 낮을 때는 레드칼라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래도 잡히지 않을 때는 레인보우(대리석)와 실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날씨와 바다의 안개도 영향을 주는데 날씨가 쾌청할 때는 어필도가 낮은 색상(다크 계열), 흐리거나 비가 올 때는 어필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다에 안개가 없고 맑고 깨끗할 때는 어필도가 낮은 색상(다크 계열을 선택하고)을, 탁하고 바닥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어필도가 높은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본적인 색상의 선택기준은 아래의 표를 참조하기 바란다.

오렌지/골드
핑크/레인보우
블루/실버
올리브/레드
날씨: 맑음
날씨: 흐림
바다: 투명
바다: 안개
일출직전
일몰직전

 

그리고 예외적으로 형광색과 자외선을 발광하는 것이 있는데 형광색은 밤낚시에 사용하고 탁도가 심한 깊은 곳에서도 사용하기도 하지만 흔히 사용하지는 않는다.

자외선을 발광하는 에기는 밤에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낮에 다양한 색상의 에기를 사용해도 반응이 없을 경우 한 번씩 써보는 정도가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3. 에기의 종류를 결정

에기에는 스왤로우, 싱킹, 노멀타입의 3종류가 있고 제조회사에 따라서는 싱킹 타입의 경우 헤비 싱킹과 패스트 등으로 구분하여 생산하기도 한다. 이들의 종류는 에기가 가라앉는 속도를 나타내며 싱킹타입은 빨리 가라앉으며 스왤로우 타입은 천천히 가라앉는다.

각각의 용도는 깊은 곳(오징어가 유영하는 깊이가 깊은 곳)에서는 싱킹타입을 얕은 곳에선 스왤로우 유형을 사용하고 우리가 좋아하는(^^) 만능으로 쓸 수 있는 것이 노멀타입이다. 노멀 타입에 싱커를 달아서 빨리 가라앉히기도 한다.

이 습성을 이용하여 깊은 곳에서 스왤로우 유형을 사용하여 천천히 가라앉히는 테크닉을 쓰기도하고 이외에도 조수의 흐름이 빠른 곳에서는 에기가 흘러가 버리기 때문에 빨리 가라앉는 에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에깅낚시를 처음 시작하는 경우라면 우선 노멀 타입을 사용해보고, 경력이 붙고 개인적인 노하우가 쌓이면 바다의 깊이와 조수의 흐름을 확인하고 에기의 선택을 달리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금년에도 무늬오징어를 노리는 분들이 많으실 것이라 보는데, 모두들 만족스런 조과를 얻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에기와 에깅낚시란 무엇인가?

에기와 에깅낚시란 무엇인가?

에깅은 오징어를 낚는 낚시법의 일종으로, 루어낚시를 기본으로 원래는 그 미끼의 재질을 나무(에기)로 바꾼 낚시법을 가리킨다. 어원은 서양의 낚시법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나무로 된 미끼를 뜻하는 이목(餌木:えぎ(에기)인 egi에 영어의 진행형 ing를 붙인 것을 가타카나로 읽은 것(エギング)이다.

한국 검색사이트에는 에기(餌木 · egi)의 유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단정적으로 말하고 있으나 완벽하게 고증되지 않은 사실을 확실하다고 표현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에기(餌木)의 기원은 일본 남부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류큐왕국(琉球王國)의 아마미(奄美) 섬에 있다고 한다. 그 섬의 한 어부가 횃불로 쓰다 버린 나무 조각에 흰오징어가 달라붙는 것을 보고, 불에 그슬린 나무 조각에 바늘을 달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이것이 약 300년 전, 사쓰마(薩摩-현재의 일본 가고시마 지방)로 전해졌으며, 이후 에기를 사용하여 오징어를 낚는 형태가 일본의 전통 낚시 방법이 되었다.(출처:네이버)

이목(餌木:えぎ(에기))은 일본 고래로부터 전해지는 루어의 일종이라고 하는 여러 설이 있지만, 통설은 어부들이 횃불을 가지고 선상에서 작업을 하고 있을 때 횃불을 바다에 떨어뜨린 곳에 오징어가 달라 붙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되어있다.

가고시마현 역사자료센터 여명관의 큐레이터가 시마노(SHIMANO)의 취재에 밝힌 바에 따르면 명확한 문헌은 남아 있지 않지만, 에도시대 중기부터 말기까지 사이에 전해진 것은 아닐까 추측되고 있다 한다.

이 센터에는 당시의 이목(餌木:えぎ(에기)이 소장되어 있으며, 대형 물고기 형태였던 것이 점차 소형화 되어 현재의 새우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발전될 것을 알 수가 있다

현재는 많은 이목(餌木:えぎ(에기))이 개발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모양은 새우를 닮은 모양에 다양한 무늬를 첨가하고 있으며, 그 재질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금색이나 대리석 등의 컬러 테이프를 붙여 놓은 것이 많다. 아랫부분에는 오징어의 촉수를 걸기 위해 바늘이 직선으로 붙어 있는데 이것을 칸나(カンナ)로 부른다.

또한 이목(餌木:えぎ(에기))의 전방 하부에는 싱커가 설치되어 있지만 침하 자세나 침강속도에 따라 그 무게는 제조사 별로 다양한 형태를 띤다. 최근에는 기존의 지역적인 형태의 변화보다 생산자 별로 각각의 용도에 특화된 이목(餌木:えぎ(에기))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침하 속도가 빠른 것이라든지, 느린 것, 또는 점프 성능만 향상시킨 것과 같이 다양하며 조작 시에 딸랑거리는 소리를 발생시켜 오징어를 유인하는 형태의 이목(餌木:えぎ(에기))도 등장했다.

이목(餌木:えぎ(에기))의 색상에 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으나 정확한 것은 개인의 경험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며, 바다의 상태와 형세, 날씨, 안개 등에 따라 오징어의 반응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상황에서 잘 보이는 색깔이 다르기 때문에 현재는 많은 색상을 각 업체별로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이목(餌木:えぎ(에기))의 크기도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으며, 대상이 되는 오징어의 크기에 맞추어 현지 상황에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저가와 고가의 에기에 따른 조과의 차이는 없다고 하는 것에는 생산자나 학자들 사이의 이견이 없으니 이 점을 반드시 명심하도록 하자.

무늬오징어의 시력(視力)

무늬오징어의 시력(視力)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 ~ 0.7로 알려져 있는데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일본의 미에대학(三重大学) 연구소에서 2007년 발표한 논문을 보면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3이며 날개오징어는 무려 1.37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날개오징어는 안경을 착용한 저의 교정시력과 비슷할 정도의 아주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무늬오징어의 시력이므로 주제에 집중을 하면 이 0.6이라는 시력도 보통의 물고기 시력이 0.05 ~ 0.3으로 알려져 있으니 그보다 최대 10배 이상의 높은 시력을 가졌다고 하겠으며 우리가 흔히 접하는 참돔, 전갱이, 쏨뱅이, 벵에돔, 농어 등의 시력이 0.1~0.15 정도라고 하니 얼마나 뛰어난 시력을 가졌는지 짐작이 갑니다.

그리고 무늬오징어의 한쪽 눈이 볼 수 있는 각도는 약 180°라고 알려져 있는데 두 눈을 합하면 360°가 되지만, 실제로는 양 눈에는 간격이 있기 때문에 후방을 보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한편 시축(視軸)은 수평보다 약간 아래를 향하고 있어 위쪽의 물체보다 아래쪽에 있는 것을 더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먹이를 포식할 때 먹이의 후방 약간 위쪽에서 덮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샤크리 액션에는 반응은 하지만 입질은 하지 않고 폴과 스테이의 액션 중에만 입질을 한다는 것이 설득력이 있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조과를 높이기 위해 무늬오징어에게 에기의 존재를 깨닫게 하려면 무늬오징어의 유영층보다 깊은 곳으로 에기가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에깅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에기가 바닥을 찍는 것이 수심의 파악뿐만 아니라 유영층의 파악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기존에는 무늬오징어는 색상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무늬오징어의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에 관한 미에대학의 연구에서는 무늬오징어의 로돕신 최대 흡수 파장은 494nm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이것은 물체를 흑백으로만 구분하는 정도의 것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늬오징어의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은 좋지 않지만 빛과 색상의 명암 대비에 매우 민감하고 색상의 대비(contrast)를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에깅낚시를 할 때 에기와 주변의 색상의 차이를 인식하여 에기를 구분하고 입질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해서 에기에는 기본 색상과 바디 컬러의 다른 2가지 색상이 사용되어 콘트라스트가 잘 보이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무늬오징어의 실험에서 유리병 안에 미끼를 넣고 마개를 닫은 상태로 무늬오징어 앞에 놓으면 다리를 뻗어 포획하려고 하는 행동을 보이는데 미끼는 병 속에 들어있어 냄새를 맡을 수 없으므로 무늬오징어는 시각을 활용한 먹이활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적으로 시각에만 의존하지는 않으며 물에 녹은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후각도 좋아 미끼가 되는 물고기나 새우 등의 희미한 냄새를 감지하는 능력을 이용한 먹이활동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로 시각을 이용하여 먹이활동을 하므로 무늬오징어 낚시는 야간에는 적당한 빛이 있는 편이 좋습니다. 또한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이 발하는 미량의 빛도 인지한다고 하므로 이 습성을 살려 밤에는 발광 에기를 사용하는 것도 조과에 도움이 된다고 하겠습니다.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관한 논문(파일첨부)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관한 논문(파일첨부)

최근 들어 특히 일부 로드의 품귀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을 보니 무늬오징어 낚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난 것이 피부로 와닿는다.

블로그를 통해서 전달하는 정보에 있어서 데이타를 예시하는 경우에는 그 출처를 명기하여 객관성을 담보하려 노력하고 있는데 오늘은 이전에 “무늬오징어의 시력(視力)”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 ~ 0.7로 알려져 있는데 무늬오징어의 시력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일본의 미에대학(三重大学) 연구소에서 2007년 발표한 논문을 보면 무늬오징어의 시력은 0.63이며 날개오징어는 무려 1.37이라고 합니다.”라는 내용의 근거가 되었던 논문을 설명드릴까 한다.

해당논문의 제목은 일어로는 ‘イカの視覚に関する基礎的研究“이며 번역하면 ‘오징어의 시각에 관한 기초적연구’이며 사본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받으면 볼 수 있다.

https://mie-u.repo.nii.ac.jp/record/10325/files/2006B044.pdf

 

이 논문은 일본 미에대학(三重大学)에서 생물자원학을 전공했던 마키노 아키히토(牧野朗彦)라는 사람이 석사과정을 마칠 때 작성한 것이며 논문에서도 인용하고 있는 것처럼 1958년 미국의 Hubbard and George가 발표한 아메리카창꼴뚜기의 흡수파장에 관한 연구논문(Pigment Migration and Adaptation in the Eye of the Squid, Loligo pealei)에서 발표한 것처럼 무늬오징어를 포함한 오징어의 흡수파장은 490나노미터(nm)정도이며 오징어가 빛에 대해 반응하는 능력이 있으며 특히 편광을 식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은 1960년에 논문으로 발표되었다는 것을 이 논문의 인용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논문의 대부분은 실험의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잘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고 이해하기도 어려워 낚시인들에게는 그리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55페이지에 수록된 표 3. 6종류의 오징어의 시세포핵수와 시정도등의 비교는 낚시인들에게 필요한 정보로 판단되며 특히 그림에서 표시된 무늬오징어의 시축(視軸)이 아래를 향하고 있다는 것은 에깅낚시에서 폴 동작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특별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겠으나 한글로 번역한 표를 아래에 게기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란다.

구분
무늬오징어
창골뚜기
살오징어
스지이카
날개오징어
귀오징어
최대시세포
핵수(cells/㎟)
32,080
데이타없음
48,840
79,600
44,800
28,640
최소시세포
핵수(cells/㎟)
11,920
데이타없음
18,320
42,080
23,600
17,840
렌즈직경(㎜)
9.57
7.43
8.52
8.63
17.28
5.07
시정도
(초점거리2.55)
0.63
데이타없음
0.64
0.90
1.37
0.32
시정도
(초점거리2.27)
0.57
데이타없음
0.57
0.80
1.21
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