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닝 릴의 핸들길이와 기어비의 관계

스피닝 릴의 핸들길이와 기어비의 관계

낚시에 사용하는 스피닝 릴의 핸들 길이는 긴 것이 좋다거나 짧은 것이 좋다고 하는 것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다고 하는 낚시인들도 있지만 릴의 핸들 길이는 취향에 맞추어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요인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길이를 산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전에 “릴의 스트로크와 라인트러블 및 비거리의 관계”에서 알아보았던 것처럼 릴의 핸들길이에도 제작업체의 특성이 묻어나고 있는데 현재까지도 릴이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스풀의 모양에 관하여는 이견이 없으나 “스풀의 지름이 큰 것이 좋다.” “아니다. 스트로크의 길이가 긴 것이 좋다.”는 견해가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데 스풀의 지름 쪽을 택하고 있는 것이 시마노라고 한다면 스트로크의 길이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다이와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핸들의 길이는 어떤 부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인지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스피닝 릴의 핸들에는 우선 지렛대의 원리가 숨어있는데 핸들을 돌리는 힘의 크기인 모멘트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돌리기 시작할 때 소요되는 순간적인 힘의 크기인 토크가 바로 그것이다.

즉 릴의 핸들 길이가 길수록 작은 힘으로 편하게 핸들을 돌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핸들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축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커지면서 정밀한 제어는 어려워지게 되어서 주로 원투낚시에 사용되는 대형 릴들이 순간적인 힘을 쉽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의 길이가 길게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원투낚시용 스피닝 릴들은 낮은 기어비와 롱 핸들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원투낚시용 릴의 핸들이 긴 것은 기어비보다는 스풀의 크기와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스풀의 중심인 메인샤프트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라인롤러의 바깥까지의 길이가 긴 릴일수록 핸들의 길이는 길게 제작되는데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기어비와 회전의 저항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스풀의 중심에서 라인롤러 바깥까지의 길이가 절반인 릴은 핸들의 길이를 절반 크기로 만들어도 릴을 감을 때의 감도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릴의 핸들 길이를 결정하는 요소인 기어비와 스풀의 중심에서부터 라인롤러 바깥까지의 길이가 길수록 핸들이 긴가를 실제로 한 번 알아보기로 하자.

사용된 릴은 일본 시마노의 후리겐과 서프리더의 한 기종으로 핸들의 길이는 후리겐과 서프리더 모두가 80㎜이다.

그러나 스풀중심으로부터 라인롤러 바깥까지의 거리는 후리겐이 61㎜, 서프리더가 57㎜이고 기어비는 후리겐이 3.4, 서프리더가 4.3이다.

이상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서프리더가 후리겐보다는 기어비가 높기 때문에 릴을 감을 때의 부드러움을 위해서는 핸들의 길이가 긴 것이 당연하지만 후리겐도 길이가 같은 80㎜인 것은 스풀의 중심으로부터 라인롤러 바깥까지의 거리가 더 길기 때문에 두 릴의 핸들길이는 같도록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스피닝 릴의 핸들길이에는 제작업체의 특성이 그대로 묻어있다고 볼 수 있다.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은 왜 만들었을까?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은 왜 만들었을까?

스피닝릴의 기능 중에서 많은 낚시인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역회전 방지 레버란 것이 있다. 역회전 방지 레버 또는 역회전 방지 스토퍼라고도 부르는 것은 무슨 이유로 만들었을까?

오늘은, 많은 낚시인들이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무슨 이유로 만든 것인지 그 이유를 잘 모르는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스피닝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은 오래전부터 사용했었다는 것은 예전에 세계의 스피닝릴 시리즈 7편 “알체도와 미첼의 한 판 승부”에서 알아본 적이 있었다.

스피닝릴의 역회전 방지기능은 스피닝릴의 발전과 그 궤를 같이 하면서 변화해왔는데 현대의 스피닝릴들은 로터의 외부에 스풀이 있는 아웃 스풀의 방식인 반면, 초기의 스피닝릴들은 로터의 내부에 스풀이 들어있는 인 스풀의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드랙의 성능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물고기를 걸었을 때 로터의 바깥쪽을 손으로 눌러 라인의 방출을 제어함으로써 현재의 역회전 방지 레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곤 했었다.

그러다가 반스탈에 의해서 롤러 베어링을 사용한 역회전 방지기능을 스피닝릴에 탑재하게 되면서부터 업체마다 이것을 부르는 명칭이 제각각이 되어 원웨이 클러치를 영어권에서는 인스턴트 안티 리버스(Instant Anti-Revers), 일본의 다이와에서는 인피니트 스토퍼, 시마노에서는 롤러 클러치라고 부르게 되었다.

특히 갯바위에서 하는 찌낚시의 경우 물고기가 강한 힘으로 차고 나갈 때 드랙의 성능이 따라가지 못해 로드를 세울 수 없거나, 나쁜 발판으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스풀을 역회전시켜 라인을 방출하는 기능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단지 역회전시키기만 하는 것은 라인트러블이 일어날 수 있어서 역회전 레버를 작동시킨 상태에서도 손가락으로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면서 낚시를 하는 것은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에게는 익숙한 기술의 하나였고 이런 테크닉은 베이트릴을 사용할 때 시현하는 분들도 많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에 비해 로드와 라인 및 무엇보다 스피닝릴의 드랙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이젠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되었기에 업체마다 역회전 방지 레버를 탑재하는 않은 모델들을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은 대물과의 싸움에서 쉽게 라인을 제어할 수 있는 LB릴이 출시되고 있어서 앞으로 갈수록 역회전 방지 레버를 탑재하지 않은 모델들이 더 많이 시판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와 릴은 어떤 소재로 만들고 있을까?

다이와 릴은 어떤 소재로 만들고 있을까?

일본불매운동은 낚시인들 사이에서도 자정의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되어 국내 낚시용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은 특히 스피닝 릴의 분야에 있어서 만큼은 국내제품들이 질적, 양적인 면에 있어서 모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또한 국내업체들이 제공하는 제품정보도 크게 부족함을 보이고 있는데 공개하고 있는 정보라고는 기어비, 권사량 등이 모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며 모 업체에서는 자세한 제품정보도 공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제와 비교하여 ○○○ 하는 등의 홍보를 하고 있는 것을 보면 씁쓸함을 금할 수가 없을 지경이다.

이전에 비싼 릴일수록 좋은 것일까?”란 글을 통해 릴의 가격과 무게는 반드시 반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릴의 심장이라고도 할 수 있는 기어의 소재와 강성은 내구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와 함께 바디와 로터의 소재도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국내에서 스피닝 릴을 생산하는 업체의 제품이 과연 일본제품과 어떻게 다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소재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은데 오늘은 첫 번째 순서로 다이와 릴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소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릴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홍보를 목적으로 포장된 표현들이 많다는 점과 릴을 만드는 제작기술을 과대하게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정작 중요한 소재는 가려서 보이지 않는 현상이 있다는 점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시마노에서는 독자적인 기술로 만들어 낸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카본 소재를 CI4+라고 하고 있고, 다이와에서는 탄소장섬유를 강화소재로 사용한 특수 플라스틱으로 만든 소재를 자이온(ZAION)으로 부르는 것을 대표적인 것으로 꼽을 수 있는데 다이와의 자이온(ZAION)은 쉽게 말하면 특수한 플라스틱이라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다.

그러면 지금부터 다이와의 대표적인 릴들을 보면서 바디와 로터 및 기어는 어떤 소재로 만들어졌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 바디와 로터의 소재

▶ 수지계 소재

바디의 소재는 다이와와 시마노 제품을 구분하는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마노가 강성을 위하여 금속소재의 바디를 채택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다이와는 수지(樹脂)를 소재로 하는 바디의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그 결과 탄생한 것들이 바로 DS4, DS5 및 자이온(ZAION)이다.

◎ DS4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하여 만든 특수플라스틱 수지로써 강도는 떨어지지만 부식에 대한 저항력인 내식성이 좋고 아무래도 가장 큰 장점은 가격이 저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DS5

DS4가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한 것과는 달리 DS5는 탄소단섬유를 강화재로 사용하여 만든 특수플라스틱 수지이며 가볍고 내식성도 뛰어나지만 강도는 자이온(ZAION)에 미치지 못한다.

◎ 자이온(ZAION)

탄소장섬유를 강화재로 만든 특수플라스틱 수지로써 일반적인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에 비해 카본섬유의 함유량이 3배나 되어 경량이면서도 고강도와 뛰어난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인 마그네슘과 거의 비슷한 강도를 지닌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참고로 시마노의 플래그십 모델인 스텔라는 바디와 로터의 소재로 모두 마그네슘을 사용하고 있다.

 

▶ 금속 소재

◎ 에어메탈(마그네슘)

다이와에서 생산하는 릴 바디의 소재 중에서 에어메탈이고 하는 것은 쉽게 말하면 마그네슘을 소재로 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다이와의 플래그십 모델인 이그지스트는 2005년에 3가지 모델이 처음으로 출시된 것을 필두로 2012년, 2015년, 2018년에 새로운 모델들이 출시되었는데 2012년 모델부터 마그네슘 대신에 자이온을 바디소재로 채택하였으나 2018년 모델에서는 다시 마그네슘 소재의 에어로터로 돌아왔다.

◎ 슈퍼메탈(알루미늄)

알루미늄에 어떤 기술을 첨가하였다고 하면 될 것을 굳이 슈퍼메탈이라 이름 붙인 것은 소비자들의 정확한 판단을 흐리게 만드는 것이어서 개인적으로는 이런 것을 좋게 보지는 않는다.

릴을 만드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튼튼함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 형상을 잡는 용이함과 뛰어난 내식성에 더하여 가격적인 측면의 이점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델명
바디 소재
로터 소재
18 이그지스트
마그네슘
자이온
19 세르테이트
알루미늄
자이온
15 루비아스
자이온
DS5
17 세오리
자이온
자이온
18 칼디아
자이온
DS5
19 렉사(스피닝)
알루미늄
DS4
18 프림스
DS5
DS4
17 엑셀러
알루미늄
DS4
18 레가리스
DS5
DS4

 

■ 드라이브 기어의 소재

릴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기어의 소재와 제작방법을 일컫는 표현도 소비자들이 정확한 판단을 함에 있어서 불편을 겪는 한 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 다이와에서는 두랄루민, 초초두랄루민, 아연을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세 가지 소재 중에서 초초두랄루민 소재는 고가의 모델에 채택하고 있으며 일부 모델에서는 초초두랄루민 이상의 경도를 가진 알루미늄청동인 C6191을 소재로 만든 하이퍼 디지기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다이와 릴의 기어에 대한 소재와 제작방법을 혼돈하게 만드는 주범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이와에서는 2018년에 새롭게 선보인 LT개념의 릴에서 터프 디지기어(Touch Digigear)를 채택하였다고 했는데 이것은 냉간단조기술로 가공을 한 다음 표면을 절삭(머신 컷) 가공하는 방식의 머신 컷 디지기어Ⅱ를 개량한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처럼 기어의 소재와 제작방법에 따라 어느 것이 더 우수한 것인지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보니 일본의 낚시인들이 다이와에 공개적으로 “아연으로 만든 터프 디지기어가 두랄루민으로 만든 머신 컷 디지기어보다 좋은 것인가?”하는 질문을 한 적이 있었는데 이에 대한 다이와의 답변은 “드라이브 기어 자체의 강도와 내구성은 아연으로 만든 터프 디지기어가 낫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다이와의 기어 강도와 내구성은 다이와의 공식적인 답변을 근거로 하면 초초두랄루민으로 만든 터프디지기어→아연으로 만든 터프디지기어→두랄루민으로 만든 디지기어Ⅱ→아연으로 만든 디지기어Ⅱ의 순서라고 보면 틀리지 않을 것이다.

모델명
기어 소재
제작방법
18 이그지스트
초초두랄루민
터프 디지기어
19 세르테이트
초초두랄루민
터프 디지기어
16 세르테이트
초초두랄루민
머신컷 디지기어 Ⅱ
15 루비아스
두랄루민
머신컷 디지기어 Ⅱ
17 세오리
두랄루민
머신컷 디지기어 Ⅱ
18 칼디아
아연
터프 디지기어
19 렉사(스피닝)
아연
터프 디지기어
18 프림스
아연
터프 디지기어
17 엑셀러
아연
머신컷 디지기어 Ⅱ
18 레가리스
아연
터프 디지기어

 

즉 기어의 소재와 제작방법에 따라서 강도와 내구성은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는데 이 점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가벼움을 추구하지 않지만 내구성을 중요시 하는 사람과 강성과 가벼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 등 저마다의 기호에 따른 정확한 제품의 선택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런 소재들로 만들어진 다이와 릴을 선택하는 기준은 튼튼함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 가벼움을 우선으로 선택할 것인지 하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고를 수 있도록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제품의 세부적인 제원의 차이를 떠나 고가의 릴에는 어떤 소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비싼지, 그리고 그 가격에 맞는 품질이 따라주는지를 이해하는 것도 올바른 소비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릴의 크기와 라인의 올바른 선택

릴의 크기와 라인의 올바른 선택

사용하는 로드와 릴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않는 불균형한 상태의 태클을 운용하는 사람들의 경우를 보면 “고기만 잡으면 돼!”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물론 좋은 조과를 위해서는 미끼의 선택과 포인트의 선정 등 다른 중요한 요소도 있겠지만 자신이 사용할 라인의 선택이 장비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해도 틀리지 않음에 대해서 오늘은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대개 초보자들의 경우를 보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낚시(원투, 찌낚, 루어 등)를 선택하고 주변의 도움을 얻어 로드를 제일 먼저 구매한 다음, 릴을 구입하고 마지막으로 주변에서 사용하는 라인의 크기보다 조금 굵은 것을 선택하여 라인을 구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부터 단추를 잘못 끼우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닙니다. 로드의 선택은 장르의 선택이고 그 장르 내에서 세부적으로 구분된다고 해도 그것은 경도와 전장의 차이일 뿐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태클의 균형은 사용할 릴이 좌우하게 된다고 봐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릴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한 선택의 기준은 첫째, 무슨 어종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 둘째는 라인의 강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라인의 강도를 결정함으로써 셋째로 라인의 용량(스풀에 감는 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릴의 스풀 사이즈가 정해지는 것이며 위에서 언급한 로드의 세부적인 선택도 라인의 강도를 초과하는 로드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 원래는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즉, 이렇듯이 전체적인 장비의 결정은 라인의 선택이 모두를 좌우한다고 봐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제일 마지막으로 라인을 선택하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바람직한 순서와는 반대로 로드와 릴을 먼저 결정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라인은 한정적이 될 수밖에 없고 특히 루어낚시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있는 채비의 범위가 좁아지게 됩니다.

이런 라인의 선택에 있어서 라인의 파운드 표기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본 바가 있는데 일본식으로 제작 판매되는 라인의 경우에는 최대로 표시된 강도의 70~80% 정도만 견딜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좋으며 이것은 파운드 테스트 라인의 기준으로 보면 50% 정도의 강도에 해당합니다.

자신이 사용할 라인의 파운드(lb)로 표기된 강도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되었다면 다음으로는 사용할 릴의 드랙력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드랙의 설정은 통상 사용하는 라인 강도의 1/3~1/4을 기준으로 하며 대체적인 라인의 강도 별 드랙의 설정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따라서 구입할 릴의 드랙력은 라인강도의 3~4배의 것이어야 좋다는 말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파운드(4.5kg) 이하에서는 드랙이 풀리지 않기를 원한다면 10lb×4=44lb(18kg)나 10lb×3=30lb(13kg)의 드랙력을 가진 릴을 구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드랙력을 초과한다고 해서 반드시 라인이 터진다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은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할 라인을 결정하였다면 그 다음은 자신이 사용할 라인의 양(권사량)이며, 이것이 사용할 릴을 결정하는 첫째 요건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자신의 비거리를 추정해서 (예를 들어) 원투낚시의 경우에 비거리가 100m 정도라면 캐스팅 후에도 라인이 스풀에 일정량은 감겨 있어야 하고 밑걸림 등에 의한 손실을 감안하여 200m 이상은 감아야만 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사용할 라인이 200m 이상이 감기는 스풀을 가진 릴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라인에 맞는 권사량을 가진 것의 선택이 처음이고 기어비라든가 하는 것들은 다음 문제란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드랙력에 대하여 조금 더 살펴보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시마노의 13 스텔라5000 PG 모델의 경우, 최대드랙력은 13kg, 실용드랙력은 10kg입니다. 이때 합사(PE) 4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라인을 생산하는 업체 별로 53lb~63lb까지 차이는 나지만 대략 60파운드라고 보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합사(PE) 4호는 60파운드(27kg)의 최대강도를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서두에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대략 70~80% 정도에서 터진다고 보는 것이 현명하고, 라인의 열화나 매듭부위의 손상 등에 의해서 60% 정도(16kg) 이상은 라인에 부하를 주고 싶지 않다고 해도 릴의 실용드랙력은 10kg이기 때문에 13스텔라 5000PG는 합사(PE) 4호를 사용하기에는 작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13스텔라5000PG를 구매하였다고 가정하면 합사(PE) 4호보다는 사용할 라인의 호수(號數)를 줄이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사용할 라인의 호수를 줄이면 비거리가 증가하고 이것은 다시 말해서 공략할 수 있는 포인트의 범위가 넓어진다는 것이므로 조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오늘은 전체적인 태클의 균형에 있어서 초보자들이 알아야 하는 것이 로드의 선택이 우선이 아니라 라인의 선택이 더욱 우선되어야 한다는 내용에 대하여 짚어보았습니다.

스풀을 분리하지 않고 베이트 릴에 라인을 감는 방법

스풀을 분리하지 않고 베이트 릴에 라인을 감는 방법

베이트 릴에 낚싯줄을 감을 때 많은 사람들이 스풀을 분리하여 매듭을 한 다음 다시 스풀을 장착하고 라인을 감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초보자들은 매듭도 어려운데 스풀을 분리해야 해서 쉽지 않게 느끼는 것 같아 오늘은 스풀을 분리하지 않고 베이트 릴에 라인(낚싯줄)을 감는 방법을 알아볼까 한다.

그 전에 먼저 한 가지만 짚고 넘어갔으면 하는 것이 있는데 베이트 릴에 라인을 감을 때 반드시 라인을 통과시켜야만 하는 ‘레벨 와인드’라고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레벨 와인드를 소개하는 글을 보면 일부 언론에서까지도 한글로는 ‘레벨 와인더’라고 표기하고 영어로는 ‘Level winder’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안타깝지만 이것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옮겨 사용함으로써 생긴 오류이고 제대로 된 영문표현은 ‘Level winder’가 아니라 ‘Level wind’이다. 따라서 한글표기도 ‘레벨 와인더’가 아닌 ‘레벨 와인드’로 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레벨 와인드’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라인을 통과시키는 구멍 부분을 ‘라인 가이드(Line Guid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라인 가이드(Line Guide)’와 ‘레벨 와인드(Level wind)’는 동일한 의미라고 봐도 무방하다.

요지와는 벗어난 얘기가 길어졌는데 지금부터 스풀을 분리하지 않고 라인을 감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 준비물로는 마스킹테이프가 있으면 좋고, 없다면 일반 스카치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① 라인(낚싯줄)을 레벨 와인드(라인 가이드)의 밖에서 안으로 통과시킨다.

 

② 통과한 라인(낚싯줄)의 끝에 테이프를 붙인 다음 가볍게 핸들을 회전시켜 손으로 잡을 수 있으면 테이프를 떼어낸다.

③ 유니노트로 매듭을 한다.

 

④ 매듭의 끝을 자른 다음 매듭부위에 테이프를 붙인다.

 

⑤ 라인을 감는다.(완성된 모습)

펜(Penn) 릴의 슬래머 드랙 시스템

펜(Penn) 릴의 슬래머 드랙 시스템

펜(Penn)의 스피닝 릴, 슬래머 3는 국내 낚시인들 중에서도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기종인데 제품의 정보를 보면 정작 중요한 부분은 제공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펜(Penn)의 스피닝 릴 슬래머 3가 타사 제품과 차별화 되는 가장 특장점은 슬래머 드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핀 피셔에도 적용된 기술이다.

일반적인 스피닝 릴의 드랙은 드랙 노브를 분리하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디스크를 분리하면 되지만 펜의 슬래머 드랙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분해를 따로 해주어야 한다는 것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에게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펜 릴을 사용하는 낚시인들은 본인이 사용하는 모델이 아래와 같은 듀라 드랙과 슬래머 드랙이란 서로 다른 드랙 시스템을 가진 릴이라는 오해를 하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펜 릴을 판매하는 어떤 곳에서도 드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보질 못했는데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여러 잘못된 정보들이 확대·재생산되고 있어서 오늘은 펜 릴의 드랙 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볼까 한다.

먼저 펜릴의 드랙 노브 부분을 보면 HT-100 또는 듀라 드랙(Dura-Drag)이라고 인쇄가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드랙 시스템에 사용되는 와셔를 어떤 것을 사용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보면 된다.

HT-100에서 HT는 하이테크(High Tech)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고 100의 의미는 100마일(160㎞) 길이의 낚싯줄을 사용하는 동안 와셔의 품질에 큰 변화가 없이 작동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1985년부터 사용된 HT-100 와셔는 탄소섬유 소재의 드랙 와셔를 최초로 사용한 것이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듀라 드랙(Dura-Drag)도 드랙 와셔의 일종이라고 보면 되는데 HT-100과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고 업그레이드된 것이라고 보면 틀리지 않다.

듀라 드랙(Dura-Drag) 와셔는 HT-100에 특수 페놀성 접착제를 함유하여 방수기능과 부드러움을 향상시킨 것으로 드랙 그리스를 바르는 것은 듀라 드랙(Dura-Drag) 와셔의 성능을 저하시킴으로 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있다.

이것이 펜 릴에 사용되는 와셔에 대한 것이고 그 다음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슬래머 드랙(Slammer Drag)이란 것이 있다.

그러면 슬래머 드랙과 슬래머 드랙 시스템은 어떻게 다를까? 이 부분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보니 두 가지는 해석하는 사람에 의해 같은 것으로도 다른 것으로도 해석되기도 하는 것이다.

제일 중요한 부분은 펜 릴의 슬래머 드랙 시스템은 더블 디스크 방식이란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쉽게 설명하면 드랙의 헤드 부분과 스풀 스커트 안에 있는 하단 부분이 분리·장착되어 안정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칭은 상단 헤드 부분을 슬래머 드랙이라고 부르고 하단 부분, 즉 스풀 스커트 부분에 있는 것을 듀라

드랙으로 부르며 이 두 가지를 합하여 슬래머 드랙 시스템이라고 부른다는 것이 퓨어피싱의 공식적인 답변이었다.(여기서 사용자들의 혼란이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드랙 노브를 분리하면 씰드 슬래머 드랙 시스템(Sealed Slammer Drag System)이란 문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스풀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면 상단 부분에도 브레이크 디스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제동력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제동력은 대부분 하단 부분에서 담당하고 있다.

상단(헤드) 부분

하단(스풀 스커트) 부분

이상으로 펜 릴의 드랙 시스템과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알아본 글을 마친다.

역테이퍼로 감긴 라인을 릴에 다시 감기

역테이퍼로 감긴 라인을 릴에 다시 감기

지난번 포스팅한 릴의 와셔에 관한 글을 보고 스풀에 감긴 라인이 정테이퍼 형태의 스풀에서 흔히 일어나는 역테이퍼 형태로 감긴 경우 “단순히 와셔만 끼워주면 되는지?” 질문을 해오신 분이 있는데, 답변은 안타깝게도 “안됩니다”이다.

물론, 와셔만 추가하고 빼주는 것만으로 스풀의 형태를 조정할 수만 있다면 정말 편리하겠지만 지금까지 출시된 릴은 모두 라인을 모두 풀고 스풀을 분리해 와셔를 증감해준 후 다시 라인을 감아야만 한다.

출조가 잦지 않은 분들은 이런 현상이 발생해도 무시하고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출조 횟수가 많거나 라인트러블을 줄이고 비거리의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조절해주는 것이 좋다.

그러면 정테이퍼의 형태를 가진 릴의 스풀에 라인이 역테이퍼의 모양으로 감긴 경우 어떻게 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방법은 간단하다.

① 라인을 릴에서 빈 보빈으로 감는다.

② 스풀을 분리한다.

③ 와셔를 추가하고 스풀을 결합한다.

④ 라인을 다시 감는다.

상기의 순서로 역테이퍼의 형태로 감긴 라인을 정확하게 다시 감는 방법을 사진으로 알아보기로 하자.

① 라인을 릴에서 빈 보빈으로 감는다.

※ 이 때 라인을 전부 되감아도 되고 정상으로 감긴 부분 전까지만 풀어서 되감아도 된다.

② 스풀을 분리한다.

※ 기존의 와셔를 면봉 등으로 깨끗이 닦아 이물질을 제거한다.

③ 와셔를 추가하고 스풀을 결합한다.

④ 라인을 다시 감는다.

※ 역 테이퍼의 형태로 감긴 라인이 정테이퍼 형태로 정확히 감겼다.

※ 순테이퍼의 형태로 감긴 경우에는 와셔를 빼주거나 얇은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쇌로우(shallow) 스풀을 쓰는 이유는?

쇌로우(shallow) 스풀을 쓰는 이유는?

낚시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은 분들로부터 가끔 받게 되는 질문 중에 무슨 이유로 쇌로우(shallow) 스풀을 사용하는가 하는 것이 있는데, 우선 일반적으로 라인을 많이 감을 수 있도록 제작된 노멀 스풀과 쇌로우(shallow) 스풀의 차이점은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스풀의 깊이에 차이가 남으로써 같은 크기의 릴이라고 하더라도 라인을 감는 양에서 차이가 난다.

그렇다면 왜 이런 쇌로우(shallow) 스풀이 필요한지, 그리고 쇌로우(shallow) 스풀이 없을 경우에는 동일한 효과를 주기 위해 왜 밑줄을 감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예를 들어 본인이 가진 릴의 스풀이 1. 노멀 스풀인 경우와 2. 쇌로우 스풀인 두 개의 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먼저 노멀 스풀에는 합사 3호를 200m 감을 수 있다고 할 경우, 이보다 얇은 0.8호를 감는다고 하면, 감아야 하는 0.8호 합사는 750m나 된다. 그런데 이처럼 많은 양을 모두 합사로만 감는다고 하면 비용이 아주 많이 들면서 실제 사용되지 않는 라인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이번에는 합사 0.8호를 200m 감을 수 있는 쇌로우 스풀에 합사 3호를 감는다고 하면 감을 수 있는 양은 53m 밖에 되지 않아 낚시를 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 밖에도 스풀에 라인을 많이 감게 되면 스풀의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비거리가 다소 감소하게 되는데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도 쇌로우 스풀을 사용하는 것이다.

쉽게 생각해서 얇은 라인을 감아야 한다면 릴의 번수가 낮은 것을 추가로 구입하거나 별도로 쇌로우 스풀을 구매하면 되지만 그러려면 또 다시 지출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릴로 두 가지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깊은 스풀인 노멀 스풀을 가진 릴에 밑줄을 감아서 쇌로우 스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전에 알아보았던 “스피닝 릴의 이코노마이저(Economizer)”란 것도 밑줄을 감지 않고 쇌로우 스풀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도구인데 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거나 밑줄을 감는 이유는 불필요한 라인의 소비를 방지하면서 보다 경제적으로 낚시를 즐기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하겠다.

초보자들이 릴을 구입할 때는 무엇을 보고 쇌로우(shallow) 스풀인지 판단하는가는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내는가?”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모델명 뒤에 영문으로 S가 붙어 있으면 노멀 스풀이 아닌 쇌로우(shallow) 스풀을 장착한 기종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그리고 이런 쇌로우(shallow) 스풀은 당연히 베이트 릴에도 있다.

릴의 스풀에 있는 선(홈)은 왜 있는 것일까?

릴의 스풀에 있는 선(홈)은 왜 있는 것일까?

스피닝 릴을 보면 스풀의 하단에 1개 또는 2개의 선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많은 분들이 모르고 지나치는 이 선의 용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풀 하단에 그려져 있는 선(線)의 이름은 정식명칭으로 ‘밑줄 기준선’이라고 부르는데 이름만 듣고도 벌써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 것인지 짐작하신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아시는 것과 같이 크게 라인(낚싯줄)을 많이 감을 수 있는 노멀 스풀과 적게 감기는 스웰로우 스풀이 있습니다. 그런데 노멀 스풀에 감는 밑줄은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라인(낚싯줄)을 감는 경우가 많지만 낚싯줄을 사용하지 않을 때 더러는 비닐을 감기도 하고 대부분은 테이프를 이용합니다.

“밑줄을 얼마나 감아야 할까?”란 포스팅에서 알아본 것처럼 낚싯줄을 이용하여 밑줄을 감을 경우에는 계산을 하면 정확한 양을 산출할 수가 있지만 테이프를 감는 경우에는 정확히 얼마나 감아야 하는지를 알 수가 없는데 이럴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밑줄 기준선’이라고 하는 스풀에 그려진 1개 혹은 2개의 선입니다.

이처럼 스풀에 선을 그려 넣어서 릴을 만든 일본의 업체에서 붙인 이름은 ‘시타마키 메야스 라인(下巻き目安ライン)’이며 이것을 제가 번역하여 붙여본 이름이 ‘밑줄 기준선’이라는 점을 밝혀둡니다.

그렇기 때문에 업체에 따라서는 ‘밑줄 기준선’을 그리지 않고 생산하기도 하며 제품에 따라서 2개가 아닌 1개를 그려넣거나 스웰로우 스풀처럼 밑줄을 감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밑줄 기준선’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 전에 한 가지 알고 넘어가야 하는 점은 스풀에 그려진 선이 2개 있는 경우 그 지점이 라인을 감는 양이 정확하게 1/3이 되지는 않으며 1개만 그려진 경우에는 정확하게 1/2 지점은 아니란 사실입니다.

스풀에 라인을 감으면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밖에 있는 ‘밑줄 기준선’의 면적은 당연히 그 폭이 좁아지는 것이 맞지만 편의를 위하여 그려진 선이기 때문에 스풀의 바닥면을 균등하게 나눈 것일 뿐이며 제일 바깥쪽의 폭이 넓은 것은 끝까지 라인을 감을 수는 없기 때문에 폭이 넓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제 다이와 릴에 테이프로 밑줄을 감으면서 실제 활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하는 릴은 합사(PE) 2호가 300m 감기는 권사량을 가진 것인데 보유한 합사 1.2호 200m를 감을 때에는 어디까지 테이프를 감아야 할까요?

 

우선 지난 번 포스팅 “시마노 홈페이지의 편리한 기능 한 가지”에서 알아보았던 ‘권사량 계산기’를 활용하면 합사 1.2호 200m는 2호 합사 120m 정도의 양에 해당하기 때문에 밑줄을 2/3가 조금 못되게 감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밑줄로 사용할 테이프를 안쪽에서부터 2번째에 있는 ‘밑줄 기준선’에 조금 못 미치게 감아주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 가지고 있는 합사(PE) 1.2호 200m를 감아주면 아래와 같이 만족스럽지는 못해도 사용하기에는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감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밑줄 기준선’을 이용하여 테이프로 밑줄을 감을 때는 사용할 라인이 일본식의 표기법이 아닌 미국식의 표기법(파운드 테스트 라인: PTL, TEST(lb), lbT 등으로 표기)을 따르고 있는 것이라면 조금 적게 감는 것이 좋는데 왜 그런지 하는 이유는 “낚싯줄(라인)의 파운드(lb) 표기 제대로 이해하고 계십니까?”란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라며 일본에서 제정한 합사의 표준규격에 맞지 않는 소위 염가의 제품들을 밑줄로 감을 때도 테이프를 조금 적게 감는 것이 좋다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 참고: 합사(PE)의 표준직경

호수
강 도
표준치
표준직경
lb
kg
데니어(d)
mm
0.1
4
1.81
20
0.054
0.15
4.5
2.04
30
0.066
0.2
5
2.27
40
0.076
0.25
5.5
2.49
50
0.085
0.3
6
2.72
60
0.094
0.35
7
3.18
70
0.101
0.4
8
3.63
80
0.108
0.45
9
4.08
90
0.115
0.5
10
4.54
100
0.121
0.6
12
5.44
120
0.132
0.7
14
6.35
140
0.143
0.8
16
7.26
160
0.153
1
20
9.07
200
0.171
1.2
24
10.89
240
0.191
1.5
30
13.61
300
0.209
1.7
34
15.42
340
0.219
2
40
18.14
400
0.242
2.5
50
22.68
500
0.270
3
55
24.95
600
0.296
4
60
27.22
800
0.342
5
80
36.29
1,000
0.382
6
90
40.82
1,200
0.418
8
100
45.36
1,600
0.483
10
130
58.96
2,000
0.540

저렴한 낚시용 만능 릴 추천해주세요

저렴한 낚시용 만능 릴 추천해주세요

주변에서 낚시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받는 질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만능릴 추천 좀 해주세요”란 것입니다.

값싸고 좋은 릴, 흔히 우리가 말하는 가성비가 좋은 릴도 스풀의 구경이 커지면 가격이 금방 올라가기 때문에 낚시를 그리 자주 가지 못하는 분이거나, 가족들을 위한 1회용 장비를 구매할 경우에는 금액이 선택의 제일 중요한 요건이 될 때가 많습니다.

특정 제품에 대해서는 글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지만 초보자들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릴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다 저만의 룰을 어기게 되었지만, 오늘은 스피닝릴과 관련하여 가성비가 좋은 저렴한 릴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족이나 지인들과의 출조를 위하여 릴을 구매하여야 하는 분들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낚시에 대하여 지식이 있겠지만, 본인이 낚시를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사전 지식이 없기 때문에 릴(스피닝릴)을 구매하기 전에 릴에 대한 아래의 글들을 우선 읽어보실 것을 권유합니다.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비싼 릴일수록 좋은 것일까?

스피닝 릴의 부위 별 명칭과 기능

원줄이 베일(라인롤러)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의 대처법

위의 글들을 읽어보셨다면 낚시에 사용하는 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이해가 되셨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무슨 낚시를 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하는데 바다낚시에서는 릴을 사용한 장르가 찌낚시, 루어낚시, 원투낚시로 크게 구분되고 찌낚시와 루어낚시는 로드(낚싯대)를 들고 하기 때문에 릴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좋고, 이에 반해 삼각대를 사용하여 낚싯대를 거치시키고 하는 원투낚시의 경우에는 이름 그대로 멀리 던지는(遠投) 것이기 때문에 릴에 감는 라인(낚싯줄)의 양이 많아야 하므로 사용하는 스풀의 크기(번수라고도 부름)가 크고 무겁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하고자 하는 장르에 적합한 릴의 사용이지만, 오늘의 주제가 하나의 릴로 다양한 종류의 낚시를 즐기기 위하여 적당한 만능 릴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기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저렴한 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렴한 릴의 경우를 보면 대부분이 라인을 감아서 판매하는 것이 많은데 이렇게 릴에 라인을 감아 매장에 구비된 매대에 쌓아두고 제품을 판매한다고 해서 일본에서는 특히 이런 릴을 “왜건 릴”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낚시에 사용하는 릴의 대부분은 안타깝게도 일본의 시마노와 다이와 릴이 가장 많으며 국내의 바낙스가 뒤를 잇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국내에는 40여 년 동안 릴을 생산한 경험과 기술을 가진 (주)서울조구란 회사도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시마노의 릴을 생산한 경력도 있고, 지금은 다이와에만 25년째 릴을 공급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인 바이킹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기도 하지만 아직은 미약하여 개인적으로는 많은 낚시인들이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하는 업체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viking.co.kr/)를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국내에서 시판 중인 릴 중에서 저렴하고 가성비가 그나마 좋은 릴의 가격대는 대략 3만 원 선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마노의 경우에는 알비오(아리비오), 다이와의 경우에는 조이너스를 들 수가 있습니다.

물론 시마노의 에어노스 시리즈와 다이와의 FX 등도 저렴한 편에 속하지만 스풀의 구경이 커질수록 가격의 증가 폭이 크고 다양한 스풀의 크기가 없기 때문에 제외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름이 없는 업체의 제품들이 2만 원 이하의 가격대에서 판매되고 있기는 하지만 결코 추천하고 싶지는 않은 것들이라 제외를 하였습니다.

한 가지 예로써 아래의 사진을 보면 왼쪽은 시마노의 에어노스XT이고 오른쪽은 바낙스의 비스타 릴입니다.

물론 가격은 바낙스의 릴이 시마노의 릴에 비해서 절반 정도의 가격이지만 릴의 겉면 도장 부분이 쉽게 벗겨지고 재질이(쩝쩝) 거시기 하여 추천하기 곤란한 제품이란 것을 육안으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1년에 1~2번 정도의 낚시에 사용한다면 비스타 릴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오늘 제가 추천하고 싶은 릴은 오쿠마(OKUMA)라는 업체의 사피나(SAFINA) 릴입니다. 이름만 보면 일본회사 같지만 이 업체는 대만의 회사입니다.

대만의 오쿠마는 무엇 때문에 회사 이름에 일본어를 사용했을까?

세계의 스피닝 릴⑬ 번외편-대만의 오쿠마

제품이 생산되는 곳은 중국이지만 세계유수의 기업과 일본의 시마노와 다이와 뿐만 아니라 국내의 많은 조구사들도 중국에서 생산하는 Made in China 제품을 판매하고 있기에 그 품질에 대해서는 신뢰할만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오쿠마란 회사에 대하여는 디스커버리 채널( Discovery Channel )에서 방영한 오쿠마 특집 프로그램 영상이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라며 영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투낚시에 상당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피나 릴을 직접 사용해본 분들의 의견에 의하면 시마노의 나스키 정도의 급이라고 평가를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물론 국내에서 판매되는 양이 많지 않아 애프터서비스는 어떤가를 알 수는 없지만 제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를 보면 평생보증이라고 홍보하고 있고 사용한 분들도 큰 문제가 없다고들 합니다.

사피나 릴의 경우에 채용하고 있는 베어링의 개수는 3개와 4개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3볼 베어링을 채택한 기종만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이 눈이 띄고 가격도 외국에 비해서 조금 비싸다는 느낌입니다.

사피나 릴을 구매하고 처음 사용하면 핸들의 움직임이 무겁다는 것과 라인롤러도 조금 딱딱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것은 출시될 때 그리스가 과도하게 발라져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분해가 가능한 분들은 조금 닦아주거나 분해를 하지 못한다 해도 2~3회의 출조 후에는 부드럽게 움직이게 되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또한 이런 저렴한 릴에 사용하는 라인롤러의 베어링이 컬러라고 하는 부품이라는 것에는 살짝 놀란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피나 릴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스풀의 크기가 1,000번부터 10,000번까지 제품라인의 폭이 넓다는 것과 스풀의 구경이 커질수록 가격이 상승하는 다른 업체와는 달리 가격이 거의 같다는 것입니다.(아쉽게도 국내에서는 5,000번까지만 판매되고 있습니다.)

 

흔히 국내에서 원투낚시를 처음 시작하는 경우에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시마노의 액티브캐스트와 다이와의 크로스캐스트에 비하여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고 가격은 저렴하기 때문에 입문용이나 출조 기회가 그리 많진 않은 분들께는 권유할 만한 제품이라는 판단입니다.

하나의 릴로 찌낚시와 루어낚시 및 원투낚시를 경험해 보고자 할 경우에는 물론 낚싯대도 그에 맞는 만능이라야 하겠지만 사피나 릴의 경우에는 3,000~4,000번 정도라면 무난하다는 생각이며 원투낚시에만 사용한다고 하면 5,000번 이상의 모델이면 적당하다는 생각입니다.

단지 오쿠마의 사피나 일을 선택할 때 주의할 점은 1,000번이 2,500번 모델보다 더 무겁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실로 수수께끼에 가까운 일인데 아마도 스풀의 홈이 얕아서 알루미늄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인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끝으로 사피나 릴의 단점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그리 흔하게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라인을 릴에 걸어두는 라인 홀더에 캐스팅 시 라인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극히 드물게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크게 우려할 것은 아닙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저렴하면서도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 가성비가 좋은 릴로 생각되는 대만의 오쿠마란 업체의 사피나 릴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