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의 기어비란 무엇일까?

릴의 기어비란 무엇일까?

낚시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로서는 릴의 종류도 다양한데다 그 사양이 제각각이어서 선택을 하는데 크게 곤란을 겪습니다.

지난번에는 스피닝릴의 부위별 명칭과 기능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기어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조금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릴의 스펙에는 반드시 기어비가 표기되어 있는데 스피닝 릴과 베이트 릴 공히 톱니바퀴 모양의 부품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릴의 기어비라는 것은 핸들을 1회전 시킬 때 스풀이 회전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많이들 사용하는 다이와의 레브로스를 보면 모델별로 아래와 같이 라인이 감기는 양과 기어비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습니다.

기어비의 차이에 따라 낚시하는 대상과 방법이 달라지는데 그 부분은 다음으로 미루고 통상적으로 스피닝 릴은 기어비가 5.5를 넘으면 하이기어, 베이트 릴은 7.1이상이면 하이기어 모델이라고 합니다.

스피닝 릴과 베이트 릴은 모두 메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피니언(pinion) 기어란 말 그대로 맞물리는 크고 작은 2개의 기어 중에서 작은 기어를 말하는데 이것이 큰 기어인 메인 기어와 이루는 비율이 몇 대 몇인가 하는 것이 기어비라는 것입니다.

스피닝 릴

베이트 릴

그러면 지금부터 스피닝 릴에 비해서 동력의 전달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운 베이트 릴을 이용하여 기어비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된 모델은 시마노의 메타늄XT로 기어비는 6.2:1입니다.

먼저 분해를 하면 메인기어와 피니언기어가 보입니다.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는 메인기어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가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는 메인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연결된 클러치에 의해서 스풀은 피니언기어와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기어의 톱니 수를 보면 메인기어는 74개, 피니언기어는 12개인데 이것을 계산하면 74÷12=6.166 즉, 핸들의 1회전으로 스풀이 약 6.2회전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요약하면 기어비가 6.2:1라는 것은 핸들 1회전 당 스풀이 6.2회전을 한다는 것이며 이런 기어비와 스풀의 지름을 알면 핸들을 한 바퀴 감을 때 라인이 얼마나 감기는지를 알 수 있는데 시마노의 메타늄XT 스풀의 직경은 34mm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기어비×스풀지름×원주율의 값을 구하면 6.2×34×3.14=661.91mm가 나옵니다.

시마노의 메타늄XT를 판매하는 곳의 스펙을 보면 최대권상장이 66cm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권상장(卷上長)이라고 하는 것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우리말로는 1회전 당 감기는 양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스피닝 릴의 부위 별 명칭과 기능

스피닝 릴의 부위 별 명칭과 기능

지난번에는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릴의 부위별 명칭과 그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① 스풀

○ 노멀 스풀과 쇌로우(shallow) 스풀

노멀 스풀은 흔히 사용하는 스풀로써 홈이 깊어서 다양한 굵기와 길이의 라인을 감을 수 있으나 얇은 라인을 감으려면 밑줄을 감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밑줄은 사용하지 않는 라인을 감기도 하고 테이프를 감기도 하는 등 저마다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시마노의 릴 중에는 이런 밑줄의 기능을 하는 이코노마이저 (economizer)라는 부품이 포함된 기종도 있다.

쇌로우 스풀은 항간에서는 천구 스풀이라고도 부르는데 천구(浅溝)는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이다. 위의 그림에서 본 것과 같이 얇고 가는 라인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루어를 하는 분들이 즐겨 사용하는 형태의 스풀이다.

시마노의 제품은 “1000S”, “2500S” 등과 같이 모델명 뒤에 “S”가 붙어있는 것이 쇌로우 스풀을 장착한 기종을 뜻하고 다이와의 경우에는 “2506”, “2004” 등과 같이 뒤의 두 자리 숫자가 0이 아닌 모델이 쇌로우 스풀을 채택하고 있는 기종을 나타낸다.

② 핸들

○ 싱글 핸들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타입으로서 핸들 노브의 모양은 T형과 I형이 있다. 싱글핸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가볍다는 장점은 있지만 무게중심이 핸들에 있기 때문에 핸들을 고정 할 때 마음대로 돌아가는 단점이 있다.

○ 더블 핸들

핸들 손잡이가 2 개있는 타입으로 에깅 라이트 게임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싱글 핸들에 비해 무게 중심이 균형을 이루고 있어 부드럽게 감기며 감기를 멈출 때 핸들이 마음대로 돌지 않는 점 등이 장점이다. 그러나 싱글에 비해 무게가 무겁다는 것과 더블 핸들 사양의 기종은 가격이 높다는 것이 단점이랄까?

시마노의 경우에는 “C3000SDH”, “C3000HGSDH” 등과 같이 뒤에 “DH”가 붙어 있고 다이와의 경우에도 “2506H-DH”, “2508PE-H-DH” 등. 뒤에 “DH”가 붙어있다.

○ 파워 핸들

핸들 노브가 둥글고 큰 모양을 하고 있는 유형으로 단단히 핸들을 잡고 힘을 주어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저항이 큰 대형 어종을 대상으로 할 때 적합하다.

③ 기어 비

○ 하이 기어

보통의 기어 비에 비해 핸들 1회전 당 권사량이 많다. 루어의 액션을 빠르게 하거나 샤크리 액션 후에 빨리 라인을 감아야 하는 낚시에 적합한데 에깅이나 쇼어 지깅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시마노의 경우에는 “C3000HG” “4000XG“ 등처럼 모델명의 뒤에 “HG” “XG”가 붙어 있고 다이와의 경우에는 ”2506H“. ”3012H“ 등과 같이 뒤에 “H”가 붙어있다.

○ 파워 기어

보통의 기어 비에 비해 핸들 1회전 당 권사량이 적다. 루어의 액션을 천천히 주는 낚시에 적합하고 감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거물을 대상으로 하거나 지깅 등에 적합하다. 시마노의 경우에는 모델명 뒤에 “PG”가 붙어있다.

④ 드랙

드랙은 일정한 힘 이상으로 라인을 당기면 스풀이 회전하고 라인이 풀려나가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큰 고기가 걸렸을 때 강렬한 저항에 의해 차고나갈 경우 라인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 논 드랙

원투낚시 전용의 모델들 중에는 드랙이 없는 기종도 있다.

그리고 릴에 라인을 감은 후나 낚시를 마친 후에는

조금 번거롭더라도 반드시 라인을 홈에 끼워 라인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스피닝 릴의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는 원리

스피닝 릴의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는 원리

흔히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지만 아주 드물게 스피닝 릴의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분해조립에 익숙하지 않거나 지식이 충분하지 않다면 직접 수리하려고 하기보다는 업체에 수리를 의뢰하는 편이 낫다.

이처럼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현상은 다이와 보다는 시마노의 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격이 비싼 모델에서 더 자주 일어난다. 그러나 극히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기에 크게 염려할 바는 아니라고 본다.

이런 현상은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지를 이해하려면 먼저 스피닝 릴의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는 원리와 스풀에 라인(낚싯줄)이 고루 감기는 원리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스피닝 릴의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는 작동방식은 시마노와 다이와가 약간 차이를 보이는데 시마노의 비교적 저렴한 기종들은 다이와의 작동방식과 동일한 원리로 움직이며 상위기종들은 조금 다른 구조로 작동한다.

 

■ 다이와 릴의 스풀 작동방식

핸들→메인 기어→피니언 기어→오실레이트 기어→메인 샤프트

■ 시마노 릴의 스풀 작동방식

핸들→메인 기어→피니언 기어→웜 샤프트 기어→웜 샤프트→접동 가이드→메인 샤프트

 

스피닝 릴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스풀이 돌아가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다이와의 오실레이트 기어와 시마노의 웜 샤프트 기어는 동일한 것을 이름만 달리 부르고 있다고 이해하면 되며 이것이 스풀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만들어주는 핵심부품들이다.

다이와 오실레이트 기어

 

 

시마노의 웜 샤프트와 웜 샤프트 기어

 

또한 시마노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동자(摺動子) 가이드라는 표현은 미끄러진다는 뜻의 슬라이딩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이와는 이것을 오실레이팅 포스트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는데 모양이나 기능은 동일하다.

기어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스풀을 회전하도록 만들면서 그것을 다시 상하로 반복해서 움직이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다이와에서는 메인 샤프트에 연결된 ‘S자 캠’이란 것이 담당하고 시마노의 릴에서는 ‘웜 샤프트’가 담당하고 있는데 이들 두 부품은 보면 모두 S자의 형태를 지니고 있고 시마노에서는 보다 우수하다는 X자 형태를 하고 있는 것들도 있으며 이렇게 S자를 이루고 있는 구조 때문에 스풀이 등속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인데 이들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먼저 다이와의 경우를 보면 스풀이 아예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S자 캠의 마모로 인해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반해 시마노의 릴에서는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때에는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대부분 동반하는데 그 원인은 바로 웜 샤프트에 연결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부품인 ‘웜 샤프트 핀’이 마모 또는 손상된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분해조립에 익숙하지 않다면 수리를 맡기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분해조립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간 몇 번에 걸쳐서 스피닝 릴의 분해조립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핵심부분인 기어의 점검에 대해서는 글을 작성하지 않은 이유는 자칫하면 릴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쉬운 예를 하나 들면 초보자들의 경우에도 인터넷이나 유튜브의 동영상을 보면서 분해를 할 수는 있으나 막상 해보면 메인 기어조차 분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즉, 다이와의 저렴한 모델도 메인 기어를 분리하려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몇 개의 링을 먼저 분해해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을뿐더러 조립은 더욱 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자가수리보다는 업체에 맡길 것을 권유하는 이유인 것이다.

그러나 자신이 사용하는 릴이 어떤 문제로 인해서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는지를 알고서 수리를 의뢰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기에 스풀의 작동원리를 이해해두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초보자를 위한 릴의 세척방법

초보자를 위한 릴의 세척방법

 

바다낚시를 다녀온 후에는 라인에 묻어 있던 바닷물이 릴의 표면에 묻기도 하고 라인이 머금고 있는 염분을 그대로 방치하면 릴에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가격의 높고 낮음을 떠나서 본인이 사용하는 장비를 오래도록 최상의 컨디션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지보수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낚시를 시작한 지가 오래 되지 않았거나 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적은 초심자분들로서는 릴을 분해하여 정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게다가 유지보수에는 필요한 장비나 소모품(릴오일, 릴그리스)이 있어야 하기에 여기서는 낚시 후 간단한 릴의 세척과 정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조행 후의 릴의 세척은 반드시 찬물로 아래의 순서로 한다.

 

① 드랙 노브를 최대한 조인다.

② 라인에 물을 뿌려 염분을 제거한다.

③ 모래나 이물질이 있는 부분을 깨끗이 세척한다.

④ 핸들 부분도 깨끗이 세척한다.

⑤ 세척 후에는 핸들을 돌려 물기를 날려준다.

⑥ 주방용 휴지나 수건 등 수분을 잘 흡수하는 천으로 닦아준 후 그늘에서 말린다.

상기와 같은 세척만으로도 릴의 사용기간을 늘일 수가 있으나 조금 더 관리를 한다면 릴의 메인 샤프트와 핸들, 그리고 라인롤러 부분은 분해하여 오일과 그리스를 도포해주는 것이 좋다그러나 릴을 분해해본 경험이 없는 분들께는 라인롤러의 분해는 권하고 싶지가 않다.(대개 분해 후 조립을 하기가 어렵다고들 하신다.)

따라서 분해와 조립이 어려운 라인롤러를 제외하고 비교적 분해와 조립이 쉬운 메인 샤프트와 핸들 부위만이라도 분해하여 청소를 하는 정도의 관리만 해주어도 릴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고 오랜 기간 사용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로 릴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오일과 그리스는 점성과 휘발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는 부위도 다른데 핸들 주변 등과 같이 윤활성이 필요한 부위에는 오일을, 그 외에는 그리스를 바른다고 보면 무방하다.

우선 드랙노브를 반대로 돌려 릴에서 스풀을 분리하면 중간 부분에 긴 막대 모양의 부품이 보인다. 이것이 바로 메인 샤프트인데 릴이 회전하면 이 샤프트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라인이 릴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해준다. 이 샤프트에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부드럽게 해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릴 핸들의 반대쪽에 있는 나사를 풀어 핸들을 분리한 후 녹이나 이물질 등이 있으면 닦아주고 그리스를 발라주면 된다.

 

핸들의 유지관리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핸들노브 부분인데 바닷물에 침식되기도 싶고 염분이 묻은 채로 오래토록 방치하면 녹이 슬어 회전이 어려워지는데 깨끗하게 닦아준 후 그리스를 도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라인롤러를 분해하여 정비를 하는 것이 좋지만 아래와 같이 라인롤러의 부품은 종류도 제법 되고 분해 후 조립이 쉽지가 않으므로 충분한 지식을 쌓기까지는 권하고 싶지가 않다.

 

마지막으로 릴의 나사가 있는 부분에 그리스를 발라주는 정도의 관리만으로도 보급형 릴의 유지보수로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낼까?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낼까?

로드의 규격에 적당한 릴의 크기

릴 번호 찌낚시 1 호 찌낚시 2 호 찌낚시 3 호 찌/원투 겸용 3 호 찌/원투 겸용 4 호 찌/원투 겸용 5 호 원투로드 10 호 원투로드 15 호 원투로드 20 호 원투로드 25호 원투로드 30 호 농어로드 에깅로드 라이트 게임로드 쇼어 지깅로드
시마노 1000
시마노 2000
시마노 2500
시마노 3000
시마노 4000
시마노 5000
시마노 6000
시마노 8000
다이와 1500
다이와 2000
다이와 2500
다이와 3000
다이와 3500
다이와 4000
다이와 4500

 

아부 가르시아 릴의 기본

특                징 해             설
4 자리 숫자 릴의 크기(이하 번수라 부름)
번수 뒤의 “S” 쇌로우 스풀
번수 뒤의 “MS” 미들 쇌로우 스풀
번수 뒤의 “H” 하이 기어
번수 뒤의 “D” 더블 핸들

분           석 의            미
2000SH [2000] [S] [H] 크기가 2000/ 쇌로우 스풀/ 하이 기어
2500MSH [2500] [MS] [H] 크기가 2500/ 미들 쇌로우 스풀/ 하이 기어
2500SD [2500] [S] [D] 크기가 2500/ 쇌로우 스풀/ 더블 핸들

시마노 릴의 기본

특             징 해                    설
3 ~ 5자리 숫자 릴의 크기(이하 번수라 부름)
번수 앞의 “C” 컴팩트 바디. 바디는 한 사이즈가 작고 스풀의 크기는 번수와 같다
번수 뒤의 “S” 쇌로우 스풀
번수 뒤의 “SS” 슈퍼 쇌로우 스풀
번수 뒤의 “M” 미디엄 딥 스풀/ 일반적인 스풀과 쇌로우 스풀의 중간
번수 뒤의 “DH” 더블 핸들
번수 뒤의 ‘HG’ 하이 기어. 보통의 기어비보다 핸들 1회전 당 권사량이 많다
번수 뒤에 “XG” 엑스트라 하이 기어.  HG보다 더 권사량이 많다.
번수 뒤에 “PG” 파워 기어. 감아 올리는 힘이 강하다. 슬로우 리트리브가 쉽다.

분           석 의               미
C3000 [C] [3000] 바디 사이즈가 2500/ 스풀 크기가 3000
2500S [2500] [S] 크기가 2500/ 쇌로우 스풀
C3000SDH [C] [3000] [S] [DH] 바디 사이즈가 2500/ 스풀 크기가 3000/ 쇌로우 스풀/ 더블 핸들
C2000HGS [C] [2000] [HG] [S] 바디 사이즈가 1000/ 스풀 크기가 2000/ 하이 기어/ 쇌로우 스풀
4000XGM [4000] [XG] [M] 바디 사이즈가 4000/ 엑스트라 하이 기어/ 미들 딥 스풀
C3000HGSDH [C] [3000] [HG] [S] [DH] 바디 사이즈가 2500/ 스풀 크기가 3000/ 하이 기어/ 쇌로우 스풀/ 더블 핸들
C2000PGSS [C] [2000] [PG] [SS] 바디 사이즈가 1000/ 스풀 크기가 2000/ 파워 기어/ 슈퍼 쇌로우 스풀

다이와 릴의 기본

특              징 해              설
4자리 숫자 릴의 크기 (이하 번수라 부른다)
0이 아닌 2자리 숫자 몇 파운드의 나일론 라인을 100m 감을 수 있는지를 표시
2자리 숫자가 0이 아니고 번수 뒤에 “PE” 몇 호의 PE 라인을 얼마나 감을 수 있는지 표시
번수 뒤에 ‘C’ 컴팩트 바디. 한 사이즈 작으며 스풀은 원래의 크기
번수 뒤에 “R” 한 사이즈 크다
번수 뒤에 “H” 하이 기어. 보통의 기어비보다 핸들 1회전 당 권사량이 많다.
번수 뒤에 “SH” 슈퍼 하이 기어. H보다 더 권사량이 많다.
번수 뒤에 “DH” 더블 핸들
번수 뒤에 ‘F’ 플루오르 라인에 맞는 모델

분        석 의         미
2004 [20 [04] 크기가 2000/ 4lb 나일론 라인(또는 PE0.6호)를 100m 감을 수 있다
3012H [30 [12] [H] 크기가 3000/ 하이 기어/ 12lb 나일론 라인을 150m 감을 수 있다 (또는 PE1.5호 200m)
2506H-DH [25 [06] [H] – [DH] 크기가 2500/ 6lb 나일론 라인 (또는 PE1호)가 100m(※ 길이는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음)/ 하이 기어/ 더블 핸들
3000C [3000] [C] 바디 사이즈가 2500/ 스풀 크기가 3000
2500R [2500] [R] 바디 사이즈가 3000/ 스풀 크기가 2500
1025 [10 [25] 크기가 1000/ 2.5lb 나일론 라인 100m ※ 25lb가 아닌 점에 주의
2004CH [20 [04] [C] [H] 바디 사이즈가 1000/ 스풀 크기가 2000/ 4lb 나일론 라인(또는 PE0.6호) 100m/ 하이 기어
2510RPE-H [25 [10] [R] [PE] – [H] 바디 사이즈가 3000/ 스풀 크기가 2500/ PE1.0호 200m/ 하이 기어
2508PE-H-DH [25 [08] [PE] – [H] – [DH] 크기가 2500/ PE0.8호 150m/ 하이 기어/ 더블 핸들
3515PE-SH [35 [15] [PE] – [SH] 크기가 3500/ PE1.5 호 200m/ 슈퍼 하이 기어

이상과 같이 각 사별로 스피닝 릴의 모델명이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았으며 다음에는 기회가 된다면 각 생산자 별로 나타내는 라인의 호수에 적합한 릴의 크기는 어떻게 표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