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 릴

세계의 스피닝 릴① 미국의 반 스탈(Van Staal)

특정 업체의 특정 제품에 대해서는 가급적이면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이 글을 쓸 때면 언제나 지키려 노력하는 원칙 중의 하나지만 일본의 수출규제로…

4개월 ago

다이와 베이트 릴 모어댄 PE 유저들이 알아야 할 사항

국내 낚시인들 중에서 다이와의 베이트 릴 모어댄 시리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은데,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2018년 12월에 출시된…

4개월 ago

시마노 릴의 이코노마이저(Economizer)

“스피닝 릴의 부위 별 명칭과 기능”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시마노의 릴 중에는 바이오 마스터 등과 같은 모델에는 밑줄의 기능을 하는 이코노마이저(Economizer)라는…

4개월 ago

릴의 권사량은 실제와는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릴의 기어비란 무엇일까?”라는 글에서 릴의 기어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 바가 있었습니다. 그 글에서도 언급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스피닝릴은 기어비가 5.5를…

4개월 ago

경쟁하면서 발전해온 시마노와 다이와

많은 낚시인들에게 국내최초의 낚시용 릴은 언제 어디서 만든 것인지를 물어보면 아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과 함께 전해졌다거나 일본으로부터…

4개월 ago

스피닝 릴의 베일 록(Bail Lock) 기능

낚시터에서 로드를 힘껏 캐스팅 하고 나서 소위 딱총이라 부르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초릿대가 부러지거나 라인이 터졌던 일을 경험한 적은 아마도 한두…

4개월 ago

스피닝 릴의 번수란 무엇일까?

오늘은 스피닝 릴의 크기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번수란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 예전에 “스피닝릴의 모델명은 무엇을 나타내는가?”와 “스피닝 릴의…

4개월 ago

다이와 스피닝 릴의 크기와 스풀의 호환성

지난 번 “시마노 스피닝 릴의 크기와 스풀의 호환성”에 이어서 오늘은 “다이와 스피닝 릴의 크기와 스풀의 호환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이와 릴의…

4개월 ago

스피닝 릴 베일의 자동반환(오토 리턴) 기능

스피닝 릴의 라인롤러가 고착되어 소음이 심해지면 분해하여 수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분해조립의 경험이 없는 분들이 함께 분해해서 곤혹을 치루는…

4개월 ago

다이와 LT릴의 컨셉트와 차이점

많은 낚시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본 다이와는 2018년에 새로운 컨셉트로 LT를 내세우면서 릴을 출시하였는데 최근에 이그지스트 LT 릴과 관련하여 스풀 내부의…

4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