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에서는 2020년 각국의 시민들 1,000명을 상대로 자국의 경찰에 대하여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조사하였는데 1위는 92%의 신뢰도를 보인 아이슬란드가 차지했으며 평균은 78%였는데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도는 64%로 평균 이하의 평가를 받았다.
순위
국가명
%
1
아이슬란드
92
2
스위스
92
3
핀란드
90
4
노르웨이
90
5
룩셈부르크
90
6
오스트리아
89
7
독일
89
8
포르투갈
88
9
네덜란드
86
10
슬로베니아
86
11
인도네시아
85
12
에스토니아
84
13
스웨덴
84
14
캐나다
83
15
미국
82
16
덴마크
82
17
스페인
81
18
뉴질랜드
81
19
체코
81
20
벨기에
81
21
프랑스
81
22
호주
80
23
이탈리아
78
24
헝가리
77
25
아일랜드
77
26
일본
76
27
리투아니아
75
28
인도
74
29
튀르키예
73
30
이스라엘
73
31
영국
73
32
슬로바키아
68
33
남아프리카
67
34
대한민국
64
34
폴란드
64
36
그리스
61
37
루마니아
58
38
코스타리카
56
39
러시아
56
40
콜롬비아
55
41
브라질
54
42
칠레
52
43
멕시코
38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세계-여러-나라의-경찰에-대한-시민들의-신뢰도-평가-순위.jpg39960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20 00:41:562024-12-20 00:41:56세계 여러 나라의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도 평가 순위
일본정부관광국(JNTO)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일본을 찾은 외국인의 숫자는 모두 2,506만 6,100명이라고 하며 그 중 695만 8,500명이 한국인이었다고 한다. 정확히는 27.8%를 한국인들이 차지하고 있으니 3명 중 1명이 한국인이라는 보도는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국가명
2022년
2023년
성장률
한국
1,012,751
6,958,500
587.1%
대만
331,097
4,202,400
1169.2%
중국
189,125
2,425,000
1182.2%
홍콩
269,285
2,114,400
685.2%
미국
323,513
2,045,900
532.4%
기타
314,536
1,026,600
226.4%
태국
198,037
995,500
402.7%
필리핀
126,842
622,300
390.6%
호주
88,648
613,100
591.6%
싱가폴
131,969
591,300
348.1%
베트남
284,113
573,900
102.0%
인도네시아
119,723
429,400
258.7%
캐나다
55,877
425,900
662.2%
말레이시아
74,095
415,700
461.0%
영국
57,496
321,500
459.2%
프랑스
52,782
277,400
425.6%
독일
45,748
233,400
410.2%
인도
54,314
166,300
206.2%
이탈리아
23,683
152,400
543.5%
스페인
15,926
115,900
627.7%
북구지역
21,647
113,000
422.0%
중동지역
21,427
109,600
411.5%
멕시코
9,152
94,700
934.7%
러시아
10,324
42,000
306.8%
합계
3,832,110
25,066,100
554.1%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2023년-방일訪日-관광객이-가장-많은-나라는.1.jpg389695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20 00:34:132024-12-20 00:34:132023년 방일(訪日) 관광객이 가장 많은 나라는?
FAO는 2021년 전 세계에서 모두 400만 1,854톤의 고등어 어획고를 올렸다고 발표하였는데 중국이 49만 964톤으로 1위, 43만 4,400톤으로 2위를 차지하였고 3위 러시아에 이어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고등어를 수입하고 있는 노르웨이는 4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는 12만 2,001톤으로 전년인 2020년의 7만 7,650톤에 비해 큰 폭의 증가를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1985년부터 FAO의 자료가 확인되는 2021년까지 우리나라의 고등어 어획량을 알아보자.
연도
어획량(톤)
1985년
68,479
1986년
103,887
1987년
101,722
1988년
162,834
1989년
163,667
1990년
97,232
1991년
91,557
1992년
116,425
1993년
174,797
1994년
211,233
1995년
200,490
1996년
415,004
1997년
160,479
1998년
172,930
1999년
177,609
2000년
145,945
2001년
203,743
2002년
142,068
2003년
122,066
2004년
185,775
2005년
136,187
2006년
103,071
2007년
145,317
2008년
188,409
2009년
119,206
2010년
94,750
2011년
138,915
2012년
129,014
2013년
115,279
2014년
132,828
2015년
140,978
2016년
156,224
2017년
104,524
2018년
141,780
2019년
101,372
2020년
77,650
2021년
122,001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우리나라의-고등어-어획량-통계.jpg459966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9 23:44:392024-12-19 23:44:39우리나라의 고등어 어획량 통계
전세계의 장어 생산량(어획+양식) 통계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FAO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의 장어 어획량은 보고된 것이 없고 전량 양식에 의해서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는데 2021년 중국은 모두 25만 740톤의 장어를 생산하였으며 2022년에는 4,571톤이 증가한 25만 5,311톤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21년보다 61.7%인 5,987톤을 더 생산하여 모두 1만 5.678톤의 양식 장어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장어 양식은 일본으로 수출할 목적으로 유럽장어의 양식이 시작되면서부터 급성장하였으며 2021년 일본에서 수입한 장어의 99%를 중국산 장어가 차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의 유럽장어 양식의 이면에는 실뱀장어의 밀수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깔려있다는 점은 우리가 먹는 장어는 어디서 왔을까?란 글에서 알아본 바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연도
생산량(톤)
1990년
67,672
1991년
80,582
1992년
91,655
1993년
100,000
1994년
110,000
1995년
120,000
1996년
147,316
1997년
155,739
1998년
146,317
1999년
144,740
2000년
140,067
2001년
135,078
2002년
141,721
2003년
139,344
2004년
153,828
2005년
154,703
2006년
189,754
2007년
207,332
2008년
205,325
2009년
211,212
2010년
206,258
2011년
196,832
2012년
193,501
2013년
187,298
2014년
198,210
2015년
211,129
2016년
210,995
2017년
217,263
2018년
233,222
2019년
234,223
2020년
250,740
2021년
255,311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전세계-장어-생산량어획양식-통계.jpg507966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9 21:33:042024-12-19 21:33:04중국의 양식 장어 생산량 통계
서해안에서 원투낚시로 잡히는 대표어종의 하나인 붕장어는 뼈째 썰어 회를 뜨면 느낄 수 있는 고소한 맛이 일품으로 어린 시절 부산에서는 고급 횟감을 주문하면 서비스로 줬을 정도로 홀대받던 물고기였다.
붕장어는 전부가 자연산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리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며 타의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그러나 점차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잡은 물량의 10% 이상을 거의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다.
특히 IMF 관리체제를 벗어났던 2001년에 가장 저조한 7,754톤의 어획고를 올렸음에도 전체 어획량의 37%에 달하는 2,863톤을 일본으로 수출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달러의 확보가 아직도 절실했던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2022년도의 대일본 붕장어 수출은 중량으로는 1395.4톤, 금액으로는 FOB기준으로 199억8,847만 원이었는데 이는 톤당 1,432만 원 정도로써 국내가격과 비교해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2020년의 통계에 따르면 1톤 이상의 붕장어 어획고를 올린 나라는 모두 31개국으로 통계에는 붕장어는 물론 먹붕장어와 유럽붕장어 및 미국붕장어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의 예상과는 우리나라의 뒤를 이어 2위를 기록한 나라는 프랑스인데 특히 유럽에서 붕장어 요리를 즐겨 먹는 프랑스가 잡는 것이 바로 유럽붕장어로 평균 체장은 1.5m, 최대 3m, 72kg에 달한다고 하는데 아래의 영상은 영국 데번주의 연안에서 잡은 44kg짜리다.(사진은 동영상의 것이 아님)
아직 붕장어에 대해서는 장어와 마찬가지로 알려진 것들이 적어서 무슨 이유로 붕장어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지 못하고 있으나 산란장소에서 회유하는 치어의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연안에 도착한 뒤 성장속도가 느리고 해류의 변화로 치어가 도착하는 장소에 변동이 생겼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붕장어 어획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가장 극심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곳은 일본으로 1995년도 대비 2020년의 어획량은 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런 사실에 미루어보더라도 붕장어는 물론 다른 수산물의 금어기와 금지체장을 반드시 준수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끝으로 전 세계의 붕장어 어획량을 알아보면서 포스팅을 마친다.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대한민국
13,229
2
프랑스
4,590
3
필리핀
3,049
4
일본
2,700
5
세네갈
2,092
6
스페인
1,956
7
모로코
1,237
8
포르투갈
975
9
이탈리아
308
10
콩고
293
11
콩고민주공화국
240
12
영국
173
13
뉴질랜드
148
14
브라질
115
15
터키
75
16
아일랜드
53
17
나이지리아
43
18
알제리
38
19
크로아티아
35
20
벨기에
33
21
미국
24
22
코트디부아르
20
23
아르헨티나
14
24
우루과이
10
24
튀니지
10
24
알바니아
10
27
네덜란드
9
28
몰타
4
29
몬테네그로
2
30
세인트 헬레나
2
31
채널 제도
2
합 계
31,490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우리나라의-붕장어-어획량-및-수출-통계.1.jpg507966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5:37:372024-12-18 05:37:37우리나라의 붕장어 어획량 및 수출 통계
서해안 원투낚시의 대표어종이라 할 수 있는 붕장어의 어획량은 우리나라가 단연 1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는 있으나 어획량은 계속해서 감소하여 FAO의 통계에 따르면 1985년에 우리나라가 올린 어획고는 24,010톤이었으나 2021년에는 12,692톤으로 절반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순위
국명
톤
1
대한민국
12,692
2
프랑스
4,585
3
필리핀
2,959
4
일본
2,500
5
스페인
2,018
6
모로코
1,173
7
포르투갈
982
8
이탈리아
309
9
콩고공화국
299
10
콩고민주공화국
255
11
영국
183
12
브라질
115
13
세네갈
65
14
아일랜드
52
15
튀르키예
49
16
나이지리아
44
17
크로아티아
36
18
튀니지
30
18
우루과이
30
20
벨기에
29
21
코트디부아르
20
22
미국
17
23
뉴질랜드
9
24
알제리
9
25
알바니아
9
26
네덜란드
6
27
채널 제도
6
28
몰타
5
29
아르헨티나
4
30
몬테네그로
3
31
세인트 헬레나
2
어린시절 부모님을 따라 횟집에 가서 고급어종을 주문하면 서비스로 주던 것이 붕장어였는데 이젠 주변에 횟집은 많아도 붕장어를 판매하는 횟집을 찾기가 어려워진 것만 보더라도 어획량의 감소를 실감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붕장어 어획량이 감소한 주요 원인으로는 치어 자체의 숫자가 감소하였거나 치어의 숫자는 감소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류의 변화 등으로 치어의 이동경로가 변했거나 또는 한반도 근해에 도착하여서는 잘 자라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도
톤
1985년
24,010
1986년
23,208
1987년
20,143
1988년
19,680
1989년
23,368
1990년
22,121
1991년
22,669
1992년
24,373
1993년
29,919
1994년
22,228
1995년
19,985
1996년
17,383
1997년
19,199
1998년
12,000
1999년
10,319
2000년
8,426
2001년
7,754
2002년
17,216
2003년
17,466
2004년
16,586
2005년
14,814
2006년
15,383
2007년
19,433
2008년
18,463
2009년
13,589
2010년
13,808
2011년
15,973
2012년
16,387
2013년
13,409
2014년
13,592
2015년
12,641
2016년
12,631
2017년
10,977
2018년
11,766
2019년
12,447
2020년
13,229
2021년
12,692
붕장어는 현재 총허용어획량 제도(TAC: Total Allowable Catch)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고 있으나 수산자원의 관리를 위해서 정부는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 밝히고 있으며 고도화할 것이라고 하는바 미국처럼 낚시로 잡는 것도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을까 예상된다.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전-세계-붕장어-어획량-통계.1.jpg51480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5:29:132024-12-18 05:29:13전 세계 붕장어 어획량 통계
일본의 장어 공급량은 일본 내에서 어획하는 양과 양식을 통하여 생산하는 양 및 수입량을 합한 것으로 가장 정점을 이루었던 2000년의 158,000여 톤에 비해 2023년에는 그 37%에 불과한 57,795톤에 그치고 말았다.
일본은 장어의 어획량이 감소하자 중국으로부터 장어를 수입하기 시작했으나 중국에서 일본으로 수출할 목적으로 유럽장어의 양식이 급성장함으로써 유럽장어의 자원이 급속히 감소하게 되었고 더불어 우럽장어 치어의 밀수출이 급증하자 2009년에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를 규제하는 워싱턴조약(CITES)에 등재되어 사실상 유럽장어의 무역금지조치가 취해지게 되었다.
오늘은 일본 수산청의 자료를 바탕으로 장어하면 떠오르는 나라인 일본의 장어생산량 통계를 알아본다.
연도
어획량
양식생산량
생산량합계
수입량
총계
1956년
2,438
4,902
7,340
7,340
1957년
2,743
5,688
8,431
8,431
1958년
2,801
6,276
9,077
9,077
1959년
2,694
5,663
8,357
8,357
1960년
2,871
6,136
9,007
9,007
1961년
3,387
8,105
11,492
11,492
1962년
3,084
7,572
10,656
10,656
1963년
2,690
9,918
12,608
12,608
1964년
2,776
13,418
16,194
16,194
1965년
2,803
16,017
18,820
18,820
1966년
2,826
17,015
19,841
19,841
1967년
3,162
19,605
22,767
22,767
1968년
3,124
23,640
26,764
26,764
1969년
3,194
23,276
26,470
26,470
1970년
2,726
16,730
19,456
19,456
1971년
2,624
14,233
16,857
16,857
1972년
2,418
13,355
15,773
15,773
1973년
2,107
15,247
17,354
6,934
24,288
1974년
2,083
17,077
19,160
7,740
26,900
1975년
2,202
20,749
22,951
10,927
33,878
1976년
2,040
26,251
28,291
14,207
42,498
1977년
2,102
27,630
29,732
15,428
45,160
1978년
2,068
32,106
34,174
12,102
46,276
1979년
1,923
36,781
38,704
13,268
51,972
1980년
1,936
36,618
38,554
15,356
53,910
1981년
1,920
33,984
35,904
17,800
53,704
1982년
1,927
36,642
38,569
10,971
49,540
1983년
1,818
34,489
36,307
17,328
53,635
1984년
1,573
38,030
39,603
16,854
56,457
1985년
1,526
39,568
41,094
41,148
82,242
1986년
1,505
36,520
38,025
40,184
78,209
1987년
1,413
36,994
38,407
40,212
78,619
1988년
1,334
39,558
40,892
55,668
96,560
1989년
1,273
39,704
40,977
57,837
98,814
1990년
1,128
38,855
39,983
68,174
108,157
1991년
1,080
39,013
40,093
74,115
114,208
1992년
1,092
36,299
37,391
77,365
114,756
1993년
970
33,860
34,830
79,038
113,868
1994년
949
29,431
30,380
80,852
111,232
1995년
899
29,131
30,030
72,234
102,264
1996년
901
28,595
29,496
87,279
116,775
1997년
880
24,171
25,051
105,762
130,813
1998년
860
21,971
22,831
99,703
122,534
1999년
817
23,211
24,028
106,156
130,184
2000년
765
24,118
24,883
133,211
158,094
2001년
677
23,123
23,800
133,017
156,817
2002년
612
21,207
21,819
120,472
142,291
2003년
600
22,000
22,600
94,573
117,173
2004년
618
21,791
22,409
107,864
130,273
2005년
483
19,744
20,227
77,590
97,817
2006년
302
20,733
21,035
79,387
100,422
2007년
289
22,644
22,933
80,353
103,286
2008년
270
20,952
21,222
43,923
65,145
2009년
263
22,406
22,669
46,179
68,848
2010년
245
20,533
20,778
53,065
73,843
2011년
229
22,006
22,235
34,061
56,296
2012년
165
17,377
17,542
19,660
37,202
2013년
135
14,204
14,339
18,258
32,597
2014년
112
17,627
17,739
20,197
37,936
2015년
70
20,119
20,189
31,156
51,345
2016년
71
18,907
18,978
31,470
50,448
2017년
71
20,979
21,050
32,274
53,324
2018년
69
15,111
15,180
33,236
48,416
2019년
66
17,071
17,137
31,383
48,520
2020년
66
16,806
16,872
34,189
51,061
2021년
63
20,673
20,736
42,367
63,103
2022년
59
19,155
19,214
38,581
57,795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일본의-장어-생산량어획양식수입-통계.1.jpg45080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5:21:232024-12-18 05:21:23일본의 장어 생산량(어획+양식+수입) 통계
FAO에 따르면 북한의 쌀 생산량은 1993년 479만 여 톤에 달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206만 톤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북한의 식량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연도
톤
1990년
1,800,000
1991년
4,120,000
1992년
4,500,000
1993년
4,787,000
1994년
3,177,000
1995년
2,016,000
1996년
1,426,000
1997년
1,527,000
1998년
2,307,000
1999년
2,343,000
2000년
1,690,000
2001년
2,060,200
2002년
2,186,000
2003년
2,244,000
2004년
2,370,000
2005년
2,583,400
2006년
2,478,500
2007년
1,869,500
2008년
2,862,000
2009년
2,336,000
2010년
2,426,000
2011년
2,479,000
2012년
2,861,000
2013년
2,901,000
2014년
2,626,000
2015년
1,946,000
2016년
2,536,419
2017년
2,383,277
2018년
2,087,623
2019년
2,803,713
2020년
2,113,019
2021년
2,100,000
2022년
2,061,443
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우리나라의-쌀-생산량-통계.1.jpg6881030낚만 지월https://worldofjin.com/wp-content/uploads/2024/12/cropped-channels4_profile.jpg낚만 지월2024-12-18 05:18:532024-12-18 05:18:53북한의 쌀 생산량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