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소프트루어(웜) 채비(각종 리그)의 종류

루어낚시에서 “00리그”라고 하는 것은 영어 단어 rig가 뜻하는 그대로 장비 또는 채비를 말합니다. ​ 생미끼나 가짜미끼(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상어종이 있는 곳까지 바늘이 닿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물고기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루어이기 때문에 장비를 조작하여 루어가 살아있는 생미끼와 유사하게 움직이도록 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뿐만 아니라 조과의 확률도 높이기 위해서는 […]

아이작 월턴의 유언장

성경과 셰익스피어의 책 다음으로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영어로 씌어진 책이 바로 아이작 월튼(Izaak Walton)이 쓴 조어대전(The Compleat Angler)이다. ​ 그러나 아이작 월튼(Izaak Walton)과 그가 쓴 조어대전에 관한 정보들은 틀린 것들이 너무나 많이 확대되고 재생산되고 있는 것 같다. ​ 한 가지만 예를 들면 네이버에서 조어대전을 검색하면 런던에서 “철물상을 하다가 은퇴 후 낚시를 즐기며 문필생활에 몰두했다”는 글을 […]

아이작 월튼이 전하는 말-Study to be quiet

원제는 The Compleat Angler, 한국판은 조어대전이란 제목으로 번역된 책을 쓴 아이작 월튼(Izaak Walton)이 책의 제일 마지막에 쓴 표현이 바로 오늘 포스팅의 제목인 “Study to be quiet”다. ​ 낚시를 통해 고요함을 배운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이 표현은 종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아이작 월튼(Izaak Walton)의 창작물이 아니라 성경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조어대전에 나오는 물고기 종류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te Angler(일명 조어대전)’의 제1부는 모두 2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오는 물고기의 종류는 모두 14가지이다. ​ 이 중에서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거나 인터넷에서 관련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송어, 연어, 잉어, 장어를 제외한 10종류의 물고기는 우리에겐 생소한 어종(魚種)으로 ‘조어대전(The Complete Angler)에 숨어있는 신분제도’에서 설명한 콜스 피시(coarse fish)에 해당한다. ​ 그런데 일본인이 번역하면서 […]

조어대전 제1장 낚시꾼과 매사냥꾼 그리고 사냥꾼의 이야기

낚시꾼: 안녕하십니까? 이제야 두 분을 따라잡았습니다. 아마도 하트퍼드셔의 웨어로 가시는 것 같아서 함께 가려고 토트넘 언덕을 넘어 뒤쫓아왔습니다. 정말 상쾌한 5월의 아침이군요.   사냥꾼: 네, 말씀하신 대로입니다. 저는 호즈덴의 초가집에서 아침 해장술을 마실 생각입니다. 그리고 친구 한두 명을 만날 예정이라 쉬지 않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분은 동행하고부터 어디까지 가시는지 물어보지도 못했을 정도입니다.   […]

스피닝 릴의 줄꼬임 현상을 줄이는 방법

스피닝 릴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라인의 퍼머 현상과 줄꼬임 현상은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퍼머 현상과 줄꼬임 현상을 줄임으로써 라인트러블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한다. ​ 그래서 오늘은 특히 초보 낚시인들이 줄꼬임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에 주의하여야 하고, 줄꼬임 현상이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조치를 하여야 하는지를 알아볼까 한다. ​ 먼저 라인의 퍼머 현상과 줄꼬임 현상은 […]

낚싯줄의 역사-인조실의 사용

천연섬유와 말총 등을 사용하던 낚싯줄이 천잠사(天蠶絲)를 거쳐 나일론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은 단연코 천잠사(天蠶絲)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천잠사(天蠶絲)는 가격이 비싸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인조천잠사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나일론을 이용한 낚싯줄의 개발로도 이어지는데 나일론 낚싯줄이 개발되어 출시될 때의 이름이 천잠사를 합성한 것이라고 하는 […]

낚싯줄(라인)의 두께와 강도 및 목줄에 대하여

낚싯줄의 올바른 사용은 조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낚시에 맞는 적절한 라인을 선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지식은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 이번에는 낚시줄(라인)의 무게와 두께 그리고 강도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낚시줄(라인)의 호수와 두께 및 무게의 관계 ​ 라인의 굵기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예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호수를 현재에도 계속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도 또한 알고 보면 불편한 진실을 […]

낚싯줄의 호수(號數)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낚싯줄의 규격, 즉 호수(號數)는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일본에서 만든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더러는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어서 오늘은 낚싯줄의 호수가 만들어진 경위를 알아볼까 합니다. ​ 인터넷을 보면 낚싯줄의 호수를 처음으로 만든 곳이 일본의 쿠레하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잘못 알고 […]

낚싯줄의 역사-천잠사(天蠶絲)

낚시도구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에서 특히 낚싯줄에 대한 자료가 많이 없는 것은 주된 낚싯줄의 재료로 천연섬유를 이용하였기 때문인데 특히 한국의 낚싯줄에 대한 자료는 찾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옛 문헌들을 계속해서 찾아보고 있는 중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한 가지를 예로 들면 그나마 낚시에 관한 얘기가 많이 나온다는 남구만(南九萬)의 약천집(藥泉集) 제5권에 있는 조설(釣說)을 보면 낚싯바늘에 관한 얘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