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전세계 수산물 양식 생산량 통계(2020년 기준)

2020년 기준 전세계 양식수산물의 총생산량은 1억2천2백58만(122,580,187)톤으로 우리나라는 2,327,903톤의 어획고를 올려 1.89%의 점유율로 6위를 차지하였으며 57.5%를 차지한 중국이 1위를 기록하였다. ​ 그리고 북한이 680,300톤을 생산하여 15위를 차지하였는데 이것은 북한이 가장 많은 양식수산물을 생산한 1989년의 생산량인 120만톤에 비해 절반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2000년대 초반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서서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주) 통계는 FAO의 […]

일본은 얼마나 많은 가리비를 수출하고 있을까?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오염수를 방류하자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특히 가리비의 대중국 수출물량을 EU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등지로 다각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일본이 2022년에 수출한 가리비는 냉동과 살아있는 것을 합하여 2021년보다 42.4%나 증가한 910억 엔을 수출하였으며 가장 많은 양을 수입한 나라는 중국이지만 중국이 수입하는 것은 대부분이 냉동가리비이다. […]

전 세계의 밀 생산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에서는 모두 8억 844만 1,568톤의 밀을 생산하였다고 하는데 가장 많은 밀을 생산한 나라는 중국으로 총 1억 3,772만 톤을 생산하였고 그 뒤를 이어 인도가 1억 774만 2,070톤으로 2위, 1억 423만 3,944톤을 생산한 러시아가 3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2년 러시아의 침공을 당한 우크라이나는 2021년 모두 3,218만 3,300톤의 밀을 생산하였으나 2022년에는 전년대비 35.6%나 […]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 이는 전 세계 해양생태계의 안전과 인류의 생존권을 침해하는 심각한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의 대응을 보면 일본의 대변인인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일본의 입장에 대해 우호적이란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    일본산 수입수산물에 대해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우려와 […]

우리나라의 치과의사 수와 인구 1천명 당 숫자(OECD)

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치과의사 수는 모두 2만 7,491명으로 전 세계에서 10위를 기록하였으나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를 비교해보면 0.53명으로 슬로바키아와 같이 29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 인원(명) 1990년 7,751 1991년 8,223 1992년 8,962 1993년 9,693 1994년 10,343 1995년 11,082 1996년 11,535 1997년 12,318 1998년 12,875 1999년 14,058 2000년 14,410 2001년 14,729 2002년 […]

우리나라의 옥돔 어획량과 수입량 통계

FAO에 의하면 2021년 우리나라의 옥돔 어획량은 2020년보다 21.7%나 더 많았다고 하지만 전체 중량으로는 1.144톤에 불과하다. 그리고 어획량에 맞먹는 1,018.7톤을 2021년에 수입하였는데 옥돔의 수입처는 전부가 중국이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옥돔 어획량과 외국로부터 수입하는 물량과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자. ​ 연도 중량(톤) 1999년 1,651 2000년 1,664 2001년 1,049 2002년 1,341 2003년 1,303 2004년 1,405 2005년 […]

우리나라의 딸기 생산량 통계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19만 2,889톤의 딸기를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전해인 2021년보다는 8.7% 증가한 것이지만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했던 2019년 보다는 4만 1,336톤이 적은 것이다. ​ 연도 생산량(톤) 1990년 108,438 1991년 100,518 1992년 107,990 1993년 137,351 1994년 151,263 1995년 168,528 1996년 170,089 1997년 151,199 1998년 155,521 1999년 152,481 2000년 180,501 2001년 202,966 2002년 209,938 2003년 […]

해수부의 ‘수산혁신 2030계획’에 한 마디

어제인 2월 13일자 해양수산부에서 발표한 보도자료 ‘수산혁신 2030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생산지원형에서 자원관리형으로 어업구조를 전면 개편한다고 합니다. ​ 어촌의 소득을 증대하고 어촌을 재생하며 수산물 유통의 혁신으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는 것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는 ‘수산혁신 2030 계획’이 낚시인들에게 크게 부각된 이유는 아마도 계획의 일환으로 실시하려는 연근해어업 부문의 TAC에 기반한 자원관리형 어업구조의 정착방안의 하나로써 급증하고 있는 […]

해수부의 해명보도를 신뢰할 수 없는 이유

낚시인에 대한 부담금 부과와 낚시어선에 대한 규제가 주요 골자인 금번의 사태로 낚시인들을 비롯한 이해당사자들의 여론이 들끓자 해양수산부에서는 2월 6일자 해명자료(바로가기)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해명하였습니다. ​ “해양수산부는 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낚시문화 성숙을 위해 낚시 이용권 제도 등 제도개선 방안을 검토 중에 있음”이라는 것을 포함하여 “위의 제도들은 아직 도입이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낚시인 및 낚시어선업계의 의견을 […]

바낙스의 매출액 변화(2002년~2022년)

한국을 대표하는 낚시용품업체라 할 수 있는 바낙스의 매출액은 일본 시마노와 다이와의 낚시용품 매출액의 5%가 채 되지 않는다. 게다가 연결재무제표가 아닌 개별기업의 재무제표로는 매출액 500억 원을 돌파한 해가 단 한 번도 없었다.   연도 억 원 2002년 278.5 2003년 291.6 2004년 352.2 2005년 308.2 2006년 235.8 2007년 281.0 2008년 345.0 2009년 317.8 2010년 345.8 2011년 36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