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일본산 활멍게의 수입통계(2012년~2022년)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온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성과에 대하여 말들이 많다. 그러나 이곳 지니월드는 정치적인 얘기, 특히 한쪽으로 치우친 편향적인 시각의 포스팅은 하지 않으려 노력하기에 문제의 핵심에만 접근해보고자 한다. ​ 오늘(3월 22일)자 연합뉴스는 “韓대통령실, 日멍게 수입 재개 요청 대화 영상촬영 제지”란 제목의 기사에서 “일한의원연맹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郎)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일본산 멍게의 수입 재개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 윤 […]

이럼에도 일본산 참돔을 수입해야만 할까?

얼마 전 한국인 수험생 7명 모두의 면접점수를 0점으로 처리하여 불합격시킨 일본의 오카야마(岡山)이과대 수의학부와 관련한 언론의 보도가 있었는데 문제의 수의학부가 있는 곳은 일본 에히메현(愛媛県)의 이마바리시(今治市)다. ​ 에히메현이 어떤 곳인지는 지난번 “우리가 먹었던 일본산 방어는 어디서 얼마나 들어왔을까?”에서 살펴보았듯이 방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한국으로 가장 많은 양의 참돔을 수출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정치권의 문제만을 가지고 에히메현에서 수입되는 수산물의 구매를 […]

남북한 및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 통계(비교)

Image by 정동완   한국전쟁의 폐허 속에서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룬 우리나라는 어업에 있어서도 2020년 기준, 3,703,318톤의 수산물을 생산하여 1.73%의 점유율로 세계 12위를 기록하였다. ​ 1961년부터 2020년까지 60년 동안의 수산업 통계를 살펴보면 일본의 6.27% 수준에 머물던 것이 2020년에는 총생산량은 88% 수준으로 근접하였으며 양식생산량은 2006년에 일본을 추월한 이래 2020년에는 2.3배나 많은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      한편 […]

갈치의 수입통계와 전세계 생산량 통계

갈치 다들 좋아하시죠? 그런데 마트에서는 세네갈산 갈치를 자주 보게 됩니다. ​ 2022년 냉장갈치는 237.6톤을 수입하였는데 일본으로부터 전체물량의 99.9%인 237.4톤을 수입하였습니다. 그리고 냉동갈치는 모두 12,858.1톤을 수입하였으며 이 가운데 세네갈에서는 33.8%인 4,342.2톤을 수입하였습니다. ​ 그리고 세네갈의 뒤를 이어 모로코에서 2,055.5톤(15.9%), 에쿠아도르에서 1,583.6톤(12.3%), 오만에서 1,267.8톤(9.85%)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   순위 수입국가 수입량(톤) 수입금액(원) 1 세네갈 4342.2 14,846,667,000 2 […]

우리나라의 배(pear) 생산량과 수출통계

FAO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모두 25만 1,093톤의 배를 생산하여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배를 생산한 나라가 되었으며 그 중 10%에 상당하는 물량을 수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전 세계에서 제일 많이 생산하는 중국은 2022년에 1,926만 5,300톤의 배를 생산하여 2위를 기록한 미국의 58만 4,230톤보다 33배나 많은 양의 배를 생산하였다고 한다. ​      ​ 우리나라의 배 생산량 통계 […]

우리나라의 다시마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전 세계의 다시마 생산량은 1,313만 2,727톤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 북한, 일본이 전량을 생산하고 있다. ​ 전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생산량에 맞먹는 양을 생산하는 북한은 채집은 없는 양식으로 전량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은 2021년에 모두 76,700톤의 다시마를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우리나라는 2021년에 모두 67만 7,552톤의 다시마를 생산하였으나 채집량은 15톤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

중국산 활미꾸라지(생미꾸라지) 수입량 통계

나는 산초를 넣은 추어탕을 즐겨 먹는다. 그러나 우리가 먹는 장어의 90% 가까운 양은 모두 중국산으로 2023년에만 모두 8,620.7톤의 미꾸라지를 수입하였는데 전량이 중국에서 수입되었다. ​    연도 수입량(톤) 수입액(억 원) 2001년 7,858.2 71.5 2002년 8,920.5 152.8 2003년 8,739.9 137.2 2004년 9,857.9 181.6 2005년 7,106.8 145.7 2006년 10,592.5 245.6 2007년 9,394.5 317.7 2008년 10,463.8 386.3 2009년 9,237.3 […]

흰살생선과 붉은살생선 외에 파란살생선도 있다는 걸 아시나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해역에 많이 서식하며 알래스카의 슈마진 제도에서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는 링코드(lingcod 또는 ling cod)는 한국어로는 범노래미로 불리는 물고기로 20%의 비율로 파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무슨 이유로 파란색을 띠게 되는 것인지를 두고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아직까지는 연구가 부족하여 과학적으로 규명되지는 못하고 단지 녹색의 쓸개즙 색소인 빌리베르딘 때문일 것이라는 시각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

우리나라의 임연수어 어획량 통계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 군생활을 할 때 자주 나오던 임연수어 튀김을 보고 놀랐던 적이 있다. ​ 그보다 어린 시절 부산에서 “임연수어는 지나가던 개도 안 쳐다본다”는 말을 들으며 자랐을 정도로 홀대받던 생선이었는데 군에서 먹어본 맛은 홀대받을 생선이 결코 아니었다. ​ FAO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의 임연수어 어획량은 모두 141,983톤이며 이 중 44.1%인 62,261톤의 어획고를 올린 미국이 1위를 […]

중국산 활낙지(산낙지) 수입 통계

2023년 우리나라의 활낙지 수입량은 총 6,838.5톤이며 이 중 98.9%인 6.766.7톤을 중국에서 수입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에 따르면 2019년도 우리나라의 산낙지(활낙지) 생산량은 총 5,918톤이었다고 한다. ​ 같은 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활낙지의 양은 7,486.5톤으로 국내생산량보다 1,568.5톤이나 많았는 바 이것은 우리가 먹는 산낙지의 절반 이상이 중국산이란 말과 같다.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환율은 1: 1,300을 적용하였다. 연도 수입량(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