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전 세계 명목GDP(UN통계)

UN의 통계에 의한 각국의 명목GDP를 비교한 것으로 달러에 대한 환율은 1: 1300원이며 국명을 클릭하면 개별국가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   순위 국명 금액(천억 원) 1 미국 334,673.3 2 중국 233,521.2 3 일본 55,018.3 4 독일 53,000.0 5 인도 45,052.0 6 영국 40,157.9 7 프랑스 36,079.1 8 러시아 29,125.5 9 캐나다 27,793.2 10 이탈리아 26,610.4 […]

전 세계의 농업부문 명목GDP(UN통계)

유엔의 통계를 바탕으로 각국의 농업부문의 명목GDP를 비교한 것이며 UN에서는 농업부문을 ISIC Rev.3.1의 A·B로 분류하고 있으며 농림수산업을 포함한다. ​ ​ 순위 국가명 금액(조 원) 1 중국 1786.5 2 인도 753.8 3 미국 352.1 4 인도네시아 212.6 5 브라질 170.1 6 나이지리아 146.3 7 러시아 113.6 8 파키스탄 94.5 9 튀르키예 76.4 10 멕시코 74.3 11 프랑스 […]

우리나라의 농업부문 명목GDP 변동추이(UN통계)

농업분야는 UN의 ISIC Rev.3.1의 A·B로 농림수산업을 포함하며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명목GDP는 1995년과 1996년에 9위를 기록한 이래 계속해서 하락하여 2022년에는 세계에서 28번째를 기록하였다. ​   연도 금액(천억 원) 1990년 280.2 1991년 293.3 1992년 305.4 1993년 301.9 1994년 341.0 1995년 392.5 1996년 393.5 1997년 331.5 1998년 210.6 1999년 274.9 2000년 289.0 2001년 253.9 2002년 261.5 2003년 270.8 2004년 […]

전 세계의 원유 수입액 통계

유엔 무역개발회의(UNCATD)의 자료를 바탕으로 2022년 전 세계 여러 나라들의 원유수입액을 알아보자. 분류는 국제표준무역분류(SITC: 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Rev.3의 333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정제품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화폐단위는 억 원(원화)이고 환율은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1: 1,300원을 적용하였다. ​   순위 국가명 억 원 1 중국 4,751,656 2 미국 2,661,308 3 인도 2,159,989 4 대한민국 1,377,532 […]

전 세계의 보리 생산량 통계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 의하면 2022년 전 세계의 보리 생산량은 모두 1억 5,487만 7,140톤이며 러시아가 15.1%인 2,339만 3,510톤을 생산하여 1위를 기록하였고 중국은 196만 톤을 생산하여 17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가 생산량(톤) 1 러시아 23,393,510 2 호주 14,377,284 3 프랑스 11,285,440 4 독일 11,207,100 5 캐나다 9,986,681 6 튀르키예 8,500,000 7 영국 7,385,000 8 […]

정정당당(正正堂堂)의 어원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팔렘방에서 열리는 제18회 아시안게임이 오는 8월 18일에 개막되고 그보다 먼저 광복절인 오늘 바레인과의 축구 예선전이 열리게 됩니다. ​ 스포츠경기에 언제나 따라붙는 단어 중에는 “정정당당(正正堂堂)”이란 것이 있는데 이 말이 작금의 한국사회와는 결코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을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종종 우리는 방송매체의 탐사보도를 통해 대기업에 의해서 자행되는 중소기업의 기술탈취에 관한 […]

펩시콜라는 어떻게 세계 6위의 해군을 보유할 수 있었나?

미국의 대통령선거가 끝나면서 퇴임하게 될 트럼프가 맞게 될 각종 민·형사 소송과 관련하여 워터게이트사건(Watergate Case)으로 미국 역사상 최초로 사임한 대통령이란 기록을 남긴 제37대 대통령 리차드 닉슨이 언론에 소환되고 있다. 오늘은 정치적인 이슈보다는 닉슨 대통령 덕분에 펩시콜라가 한때는 세계 제6위의 해군력을 보유할 수 있었던 얘기를 해볼까 한다. 1950년대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치열했던 시기였는데 양국은 긴장완화를 위해 문화를 […]

냉동 생선의 올바른 해동 방법

이사를 하며 냉장고를 바꾸는 과정에서 아내로부터 귀가 따갑도록 잔소리를 들었는데 그 이유는 아내 몰래 반찬을 가장하여 은닉하고 있던 낚시용 미끼들이 냉장고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었다. ​ 미끼를 사용할 나는 괜찮지만 주부인 아내의 입장에서는 냉동실에 얼린 지렁이가 가득 들어있다는 것은 그리 반가운 일도 아닐뿐더러 그것이 지렁이에만 그치지 않고 꽁치를 비롯한 다양한 염장미끼들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에 적잖이 놀라기도 한 […]

잉어도 지자기(地磁氣)를 느낄까?

잉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에 대한 지적은 ‘배스는 나쁘고 잉어는 착하다?’란 글에서 1948년 UN의 지원으로 설립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이 지정한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에는 잉어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본 바가 있다. ​ 잉어는 저서생물과 수생식물을 마구 먹어치우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저온에 대한 […]

일본산 방어는 임진왜란 당시의 전투식량이었다.

오래전 “우리는 일본산 방어회를 얼마나 먹었을까?”란 포스팅을 통해 해마다 증가하는 일본으로부터의 방어 수입에 대하여 알아본 바가 있었는데 일본불매운동이 한창이던 2019에도 일본산 방어의 수입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작년, 2020년에도 전년 대비 물량은 8.5%, 금액은 9.4%가 증가한 2,247톤의 방어를 248억 원어치나 수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리고 인터넷을 달구었던 한 장의 사진에 대하여 “등이 구부러진 일본산 방어는 안전할까?”란 제목으로 안정성에 대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