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가리비 껍질에 붙어있는 흰색 물체는 무엇일까?

가리비에 대하여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이 바로 가리비의 껍질에 붙어있는 하얀색의 물체에 관한 것인데 오늘은 이것이 무엇인지 알아볼까 한다. 홋카이도 가리비 양식의 발상지라는 사로마 호(サロマ湖)에서 양식하는 가리비의 껍질에 하얀색 물체가 붙어있는 것이 발견되면서 알려지게 된 이 흰색의 물체는 인터넷에 나오는 것처럼 지렁이(석회관지렁이)의 일종이다.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서 국내산 가리비에 붙어있는 것들이 어떤 […]

빵 클립(Bread clip)은 누가 만들었을까?

빵을 담은 봉투를 보면 플라스틱으로 밀봉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흔히 빵 클립이라고 부르는 이 작은 플라스틱 제품은 누가 만들었을까? 빵 클립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회사로는 미국의 퀵록(Kwik Lok Corporation)과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유럽의 슈테(Schutte bagclosures BV)가 대표적인데 두 회사 모두 제품명으로 백 클로저(Bag Closures)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빵클립으로 불리고 있는데 빵 포장뿐만 아니라 […]

미국에 대한 일본의 뿌리 깊은 열등감

우리는 얼마 전 언론을 통해 일본의 아베총리가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한 것에 이어서 일본의 대기업 7개를 미국으로 보낼 것이라는 얘기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이기는 해도 내가 보기엔 아베 정권이 미국을 대하는 태도는 그야말로 해바라기와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어서 나는 종종 “미국바라기 아베정권”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두 번에 걸친 일본의 […]

자연산과 양식 물고기의 성분 비교

낚시로 잡은 물고기를 즉석에서 회를 떠서 먹는 것은 물고기 본연의 맛에 더하여 자연에 취하는 때문에 더 맛있게 느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맛을 떠나서 자연산과 양식 물고기의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는데 일본의 야마구치현 위생연구소에서 자연산과 양식 물고기의 성분을 비교한 자료를 보면 성분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맛의 차이가 성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고 조직을 […]

낚싯대(로드)의 가이드에 대하여

현재 낚싯대(로드)의 가이드는 시장의 점유율에서 일본의 후지(Fuji)가 가장 높은데, 로드의 가이드에는 티타늄, 스테인레스, K가이드, SIC가이드, 토르자이트 등 사용되는 용어가 많아 초심자들의 경우에는 구별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가이드에 대해서 살펴볼까 한다. 우선 우리가 낚시를 할 때 입질이 오거나 아니면 챔질을 하여 낚싯대를 들어올릴 때의 감도는 우선 라인을 통해 전해지고, 그 진동은 가이드 프레임을 거쳐 […]

낚싯대의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

낚싯대의 가격과 능을 좌우하는 요소 중의 하나가 가이드인데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링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살펴보기로 하자.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는 “프레임”과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중에서 프레임만 보면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프레임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 ① 스테인레스 프레임 가격이 저렴하여 많은 낚싯대에 장착되어 […]

SiC링이란 무엇인가?

흔히들 가이드라고 부르는 낚싯대의 부품은 프레임과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기간산업과 일본의 후지공업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이드에 사용되고 있는 링 중에서 “SiC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는 합사(PE라인)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캐스팅을 할 때나 고기를 잡아 릴을 감을 때 합사와 가이드 링의 마찰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라인이 손상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

알코나이트(Alconite) 가이드란 어떤 것일까?

낚싯대의 가이드 링 소재로 사용되는 알코나이트(Alconite)는 미주지역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하여 모래에 의해 가이드 링이 깎이는 손상이 오는 것은 아닌지 하는 문의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알코나이트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의 후지에서 만드는 가이드 링의 소재를 가격순으로 정리해보면, 토르자이트(TORZITE), SiC(탄화규소), SiN(질화규소), 알코나이트(Alconite), 파즈라이트(FazLite), 그리고 가장 저렴한 O링의 순입니다. ​ SiC는 […]

낚싯대의 가이드 시스템(후지를 중심으로)

낚싯대(로드)는 베이트와 스피닝을 막론하고 모두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이드를 어떻게 배치하는가 하는 것을 일컬어 가이드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낚싯대의 가이드 중에서 낚시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일본 후지사의 제품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생소한 제품들도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이드와 롤러 가이드가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가이드 ​ ※ 마이크로 웨이브 가이드 시스템을 설명하는 두 번째 사진에서 COF는 Corn […]

아무리 좋은 낚싯대라도 릴과 궁합이 맞아야 한다.

“스피닝 릴의 광고, 어디까지 믿어도 될까?”라는 글에서 원투낚시 등에서 사용하는 대형 스피닝 릴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스피닝 릴들은 릴풋과 수평선을 긋고, 메인샤프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그으면 아래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이 각도는 보통 2°~4.5°를 이루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각도와 길이의 차이는 가이드와 로드를 생산하는 업체에도 아주 중요한 사항으로써 각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