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조어대전 제3장: 차벤더라고도 부르는 처브를 잡는 방법과 요리법

처브(Chub) :황어아과의 민물고기로 흐름이 완만한 강과 운하에 서식하며 자갈이 많은 곳을 선호한하며 5월부터 9월까지가 산란기로 성어의 평균적인 체중과 크기는 1.4~2.3㎏, 30㎝정도이다. ​ 낚시꾼: 처브는 요리를 잘하면 맛있게 먹을 수 있지만 이렇게 요리하지 않고는 먹을 수가 없습니다. 처브는 잔뼈가 많으며, 살은 수분이 많아 찰지지 않고 물렁거립니다. 게다가 각별한 맛도 없어서 많이들 꺼리는 물고기죠. 프랑스인들은 이 물고기를 […]

아이작 월턴이 쓴 ‘The Complete Angler’의 번역을 마치고

마침내,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te Angler’의 번역을 마치고 책에 수록할 역자 서문(譯者 序文)을 작성하였습니다. 책은 아마도 이르면 5월 말, 늦어도 6월 초순이면 서점의 한구석에 진열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낚시의 바이블이란 수식어가 붙어있는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te Angler’는 국내에서 두 차례가 번역되었습니다. 제일 먼저 출판된 것은 2014년에 작고하신 우당(愚堂) 안동림 교수께서 번역하신 것으로 […]

표절은 예나 지금이나, 영국이나 한국이나

담백한 문체의 원서를 읽거나 신문을 보는 것과는 달리 외국어로 된 시(詩)를 읽는다는 것은 많은 차이가 납니다. 하물며 외국어로 된 시를 번역한다는 것은 힘든 작업임엔 틀림없습니다. 아이작 월턴의 ‘The Compleat Angler’를 번역하면서 그 안에 있는 많은 시들 중에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초고를 올려봅니다. 탈고(脫稿)하면 윤문(潤文)의 과정을 거치면서 표현을 가다듬어야 하지만 지금 그대로도 공감할 수 […]

아이작 월턴이 쓴 조어대전 옥의 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낚시계의 바이블이란 수식어가 붙은 것은 조금 과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의 조어대전(The Compleat Angler)에는 잘못된 부분들이 더러 눈에 보이는데 오징어가 다리를 뻗는 것을 두고 목에서 창자를 꺼낸다고 적고 있는 것처럼 당시의 과학이나 기술력으로는 알기가 어려웠던 부분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조금만 철저하게 교열(校閱)이 이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과 그가 죽고 난 […]

영국해군의 잠수함은 왜 해적기를 게양했을까?

이미지 출처: 플리커 죽음을 상징하는 해골과 대퇴골 아래, 용맹을 상징하는 칼을 그려 넣은 해적기 졸리 로저(Jolly Roger)를 군에서 사용한 것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 시절 프로이센의 제10(마그데부르크)검기병연대의 폰 루쉬(Von Ruesch) 대령이 지휘하는 병사들이 착용했던 모자에는 독일어로 해골을 뜻하는 토텐코프(Totenkopf)를 그려 넣었고, 나치 독일군이 사용한 것으로는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의 휘장이 대표적이다. ​ 이뿐만 아니라 […]

조어대전 제2장: 수달과 처브 이야기

사냥꾼: 딱 맞춰서 오셨군요. 저도 방금 도착했습니다. 마침 해도 뜨는군요. 지금 개들이 수달 한 마리를 잡았는데 저 언덕 아래에 있습니다. 수련과 꽃냉이가 무성하죠. 보세요. 개도 사람들도 정신이 없어요. ​ 낚시꾼: 다시 만나 반갑습니다. 오늘 사냥은 출발이 좋군요. 인사는 그만두고 우리도 빨리 가봅시다. 도저히 가만있을 수가 없습니다. 울타리건 도랑이건 넘어서 갑시다. ​ 사냥꾼: 어디서 수달을 잡았습니까? […]

조어대전 원작자 서문 번역

이 글은 아이작 월턴이 그의 저서 ‘The Compleat Angler’의 제5판에 실은 ‘To the reader of this discourse’를 번역한 것입니다. ​ 독자에게-특히 열정적인 낚시인들에게 저 혼자의 만족을 위해 이 책을 썼다고는 생각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이 책은 세상에 낚시의 기법을 널리 알려 더 많은 사람들이 낚시를 즐길 수 있기를 바라며 썼다는 점을 말씀 드립니다. 이 책을 펴냄으로써 […]

조어대전의 진실과 거짓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쓴 The Compleat Angler(조어대전)를 번역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동기 중에는 아이작 월턴과 조어대전에 대한 잘못된 정보들이 확대·재생산되어 전파되고 있다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그중에서 가장 잘못된 정보는 네이버의 지식백과에도 나와 있는 “1653년 처음 출판되었을 때는 13장으로 구성되었다가 25년에 걸쳐 다섯 번의 수정판이 나와 1676년에는 21장으로 늘어났다.”고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는 역시 네이버의 지식백과에도 나오는 […]

아이작 월턴과 조어대전-현실을 도피했던 것일까?

‘The Compleat Angler’를 쓴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청교도혁명 당시, 투쟁 대신 일신의 안위를 택하였다는 비판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러나 그런 평가와는 달리 아이작 월턴(Izaak Walton)이 왕당파를 위해 목숨을 걸었다는 일화가 있음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가 부족한 그에 대한 평가는 아직은 유보함이 옳다고 생각한다. 물론 아이작이 왕당파를 위해 목숨을 […]

셰익스피어도 낚시를 즐겨 했을까?

조어대전(The Compleat Angler)을 쓴 아이작 월턴(Izaak Walton)과 동시대에 살았던 문호(文豪) 셰익스피어도 낚시를 즐겨 했을까? 하는 것은 영국인들 사이에서는 오래된 궁금증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셰익스피어가 1564년 4월 26일에 태어나 1616년 4월 23일에 사망하였고, 아이작 월턴이 1593년 8월 9일에 태어나 1683년 12월 15일에 세상을 떠났으니 셰익스피어가 아이작 월턴보다 대략 30살이 더 많습니다. 셰익스피어가 살아있을 때는 아이작 월턴이 낚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