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전 세계 꽁치 어획량 통계

2021년도 전 세계의 꽁치 어획량은 99,283톤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0개국이 전체 어획고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5,351톤의 어회고를 올려 19,500톤을 기록한 일본에 이어서 4위를 기록하였다. ​ ​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대만 34,043 2 중국 33,511 3 일본 19,500 4 대한민국 5,351 5 스페인 3,183 6 바누아투 2,700 7 러시아 616 8 칠레 374 […]

우리나라의 꽁치 어획량 통계

우리나라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평균 2.5만 톤 전후의 어획고를 올렸으나1980년대 후반부터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990년 초반부터 다시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2005년에는 4만 4천여 톤의 어획고를 올리기도 했으나 2000년대부터 다시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5,351톤의 어획량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 연도 단위: 톤 1985년 4,393 1986년 8,924 1987년 6,779 1988년 4,495 1989년 3,367 1990년 23,103 1991년 29,034 […]

우리나라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FAO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87년 436,562톤의 대구를 어획한 것이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린 해이며 이루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46,323톤의 어획량을 올려 세계 23위를 기록하였다. ​ 연도 단위: 톤 1985년 462,284 1986년 633,771 1987년 436,562 1988년 315,829 1989년 389,391 1990년 324,315 1991년 200,575 1992년 340,704 1993년 239,910 1994년 316,157 1995년 349,326 1996년 233,931 1997년 234,640 […]

전 세계의 대구(大口)류 어획량 및 양식생산량 통계

FAO의 통계에 따른 2021년도 전 세계의 대구 생산량은 직접 어획한 것과 양식으로 생산한 것을 합하여 모두 8,642,679톤을 기록하였다. 한편 FAO가 개발한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의하면 당연한 얘기지만 대구류에는 대구과인 명태가 포함된다. ​ ​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러시아 2,634,500 2 미국 1,853,690 […]

전 세계의 바지락 생산량(채집+양식) 통계(2021년)

전 세계에서 자연산 바지락을 가장 많이 채취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이고 양식 바지락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으로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8%를 차지하는 실정이다 보니 다른 나라들의 그래프는 잘 보이지 않을 정도다. ​ ​ 순위 국가명  채집량 양식생산량 합계 1 중국 4,289,768 4,289,768 2 대한민국 21,997 23,818 45,815 3 이탈리아 23,082 23,082 4 포르투갈 43 5,109 […]

전세계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넙치와 가자미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순위를 비교한 것으로 어획량 1위는 미국이 양식생산량 1위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순위 국명 단위: 톤 1 미국 198,692 2 중국 122,853 3 러시아 113,597 4 대한민국 75,638 5 그린란드 45,404 6 일본 44,059 7 캐나다 43,972 8 인도네시아 33,241 9 […]

우리나라의 넙치 및 가자미류의 생산량(어획 및 양식) 통계

벌써 몇 년이란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지만 한때는 석문방조제로 광어를 잡기 위해 자주 다녔던 기억이 있다. 또한 광어는 누구나 쉽게 횟집에서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어종인데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른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넙치와 가자미류의 어획량과 양식생산량의 순위를 1985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해보았다. ※1985년과 1986년의 양식생산량은 조회되지 않아 통계에 빠져 있음 ​ 연도 어획량 양식생산량 합계 1985년 87,710 […]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어획+양식)량 통계

FAO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참치 생산량은 대부분 어획에 의한 것으로 잡는 어종도 대서양참다랑어가 242톤, 남방참다랑어가 1,428톤, 날개다랑어가 1,721톤, 눈다랑어가 23,054톤, 황다랑어가 60.205톤 등으로 다양하나 여기서는 세분하지 않고 합산하여 알아본다. 한편 FAO의 수생 동식물의 국제 표준 통계 분류인 ISSCAAP(International standar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aquatic animals and plants)에 따르면 참치의 분류는 참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등 8종을 포함하고 […]

우리나라의 연어 및 송어류 양식생산량 통계

이 글은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어종의 분류는 FAO의 ISCCAAP에 따라 연어와 송어 및 산천어와 빙어 은어 등이 포함되며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30위권을 유지하고 있는데 2021년 기준으로 노르웨이의 생산량인 1,660,694톤의 0.16%에 지나지 않는 2,765톤의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연도 단위: 톤 1985년 418 1986년 621 1987년 704 1988년 878 1989년 1,256 1990년 1,529 1991년 1,250 1992년 1,432 […]

우리나라의 갈치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FAO의 통계에 의하면 2021년 전 세계에서는 모두 1,371,895톤의 갈치 어획고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2020년보다는 1계단 상승한 3위를 기록했으나 어획량은 전년대비 2,668톤이 감소한 63,056톤을 올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도 단위: 톤 1985년 132,426 1986년 113,297 1987년 117,972 1988년 113,499 1989년 109,204 1990년 112,427 1991년 105,821 1992년 94,066 1993년 63,977 1994년 110,690 1995년 102,166 1996년 82,8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