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우리나라의 미역 생산량(채집+양식) 통계

2021년 기준 전 세계의 미역생산량은 274만 6천여 톤으로 그 중 77.3%인 212만 여 톤을 중국이 생산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우리나라가 58만 여 톤으로 21.1%를 차지하고 있고 3위인 일본이 43,500톤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99.9%를 세 나라가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미역이 침략적 외래종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질 않다. 뿐만 아니라 왜 침략적 외래종으로 지정된 것인지 […]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 중에서 어획량은 1990년대부터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요인도 있지만 패전 이후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어업이 아닌 닥치는대로 치어까지 잡은 것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FAO의 자료에 따르면 정확히 전성기의 1/3로 줄어든 일본의 수산물 생산량 통계를 알아본다. ​     연도 어획량(ton) 양식생산량(ton) 합계(ton) 1985년 10,950,837 1,184,219 12,135,056 1986년 […]

전 세계의 전갱이 어획량 통계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전갱이 어획량을 비교한 것으로 FAO의 분류에 따라 줄전갱이, 무명갈전갱이를 비롯한 트레발리(trevally)류는 포함하지 않는다. ​ 순위 국명 톤 1 인도네시아 796,563 2 중국 709,716 3 칠레 632,963 4 필리핀 309,336 5 나미비아 250,000 6 말레이시아 134,206 7 앙골라 128,387 8 페루 118,096 9 일본 107,500 10 태국 95,979 11 벨리즈 76,400 […]

우리나라의 전갱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낚시인들에게 인기가 있는 어종이기도 한 전갱이의 전 세계 어획량은 2021년 기준으로 418만 여 톤에 이르고 우리나라는 1.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전갱이 어획량을 비교한 것으로 FAO의 분류에 따라 줄전갱이, 무명갈전갱이를 비롯한 트레발리(trevally)류는 포함하지 않는다. ​ 연도 톤 1985년 17,333 1986년 9,469 1987년 19,415 1988년 42,001 1989년 23,892 1990년 18,874 1991년 […]

전 세계 문어의 어획량 통계

현재 전 세계에서 문어를 가장 많이 어획하는 나라는 중국이지만 중국은 2002년 이전까지만 해도 매년 1천 톤 이하의 어획고를 올리는데 그쳤다. 그러나 2003년부터 원양어업에 적극 나서면서부터는 매년 10만 톤 이상을 어획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특히 모리타니아의 문어어업은 완전히 중국이 장악할 정도에 이르렀지만 노동력 착취로 인한 폐해가 끈이질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 FAO에 보고하는 양이 축소된 […]

우리나라의 문어 어획량 통계(1985년~2021년)

전세계의 문어 어획량 통계에서 알아보았던 모리타니아는 2021년 27,277톤의 어획고를 올려 4위를 차지하였으나 어획량의 거의 대부분을 중국업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전부가 수출되고 있는데 주된 수출국이 일본이다. 일본이 어업기술을 전수하여 모리타니아의 문어어업이 발전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일본은 안정적인 문어 수입량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이젠 중국업체들이 장악하기에 이르러 볼멘 소리와 함께 가격인상에 대한 우려 섞인 소리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아무튼 우리나라는 […]

전세계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2021년)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라 통계에는 진주담치와 초록담치를 비롯한 홍합과의 조개들이 포함되며 생산량의 대부분은 양식에 의한 것으로 중국이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순위 국명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 중국 ​ 829,481 829,481 2 칠레 8,725 425,849 434,574 3 스페인 32 203,225 203,257 4 뉴질랜드 136 98,016 98,152 5 대한민국 6,523 63,672 70,195 6 이탈리아 629 […]

우리나라의 홍합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시원한 홍합탕에 소주 한 잔을 곁들이며 추운 몸을 녹이는 것은 한겨울 직장인들의 작은 행복이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홍합 생산량 통계를 알아본다. 참고로 FAO의 ISCCAAP 분류에 따라 통계에는 진주담치와 초록담치를 비롯한 홍합과의 조개들이 포함된다. ​ 연도 어획량(톤) 양식생산량(톤) 합계(톤) 1985년 9,775 48,239 58,014 1986년 8,452 34,557 43,009 1987년 6,541 26,064 32,605 1988년 11,663 15,693 27,356 […]

전 세계의 삼치 어획량 통계(2021년)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삼치어획량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중국 365,495 2 인도네시아 226,788 3 인도 37,655 4 이란 36,969 5 대한민국 30,951 6 멕시코 25,116 7 방글라데시 22,130 8 필리핀 18,134 9 말레이시아 16,008 10 일본 14,300 11 파키스탄 12,157 12 브라질 9,672 13 미얀마 8,899 14 […]

우리나라의 삼치 어획량 통계

삼치가 제철이면 수도권에서 가까운 시화방조제는 잠깐 짬을 내어 손맛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붐비곤 하는데 이번에는 FAO의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삼치어획량통계를 알아본다. ​ ​ 연도 단위 :톤 1985년 13,633 1986년 22,615 1987년 27,104 1988년 28,722 1989년 17,627 1990년 17,950 1991년 26,745 1992년 9,669 1993년 16,603 1994년 9,862 1995년 18,682 1996년 8,249 1997년 14,285 1998년 25,744 1999년 20,7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