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낚만 지월

부산 영도 갯바위 낚시 포인트(13개소)

영도의 주요 어종은 감성돔, 벵에돔, 볼락, 숭어, 참돔 등이다. 루어낚시, 지깅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목줄낚시, 민장대낚시, 부력찌낚시(고부력찌 반유동,저부력찌 전유동), 원투낚시, 잠수찌낚시, 카드채비, 훌치기낚시는 크릴, 깐새우, 민물새우,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게, 홍갯지렁이, 파래새우, 사백어, 생선살 등을 사용한다. 중리 일대에 배낚시를 이용하여 볼락을 주로 잡는다. 4~6월이 가장 많이 올라오며, 물때 상관없이 낚시가 가능하다. […]

부산 가덕도 갯바위 낚시 포인트(16개소)

동선새바지 쪽 포인트들은 마을에서 진입로가 상당히 좁아 차로 진입하기 어려우므로 도보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덕도는 섬이 병풍역할을 하여 한쪽에 바람이 심할 때는 반대쪽은 고요하다. 풍속이 13m/s 이상으로 바람이 강한 날은 파도까지 크게 밀고오므로 안전을 위하여 미리 기상조건을 확인하고 서풍이 부는 겨울철에는 동부쪽 포인트를, 동풍이 부는 봄과 가을철에는 서부쪽 포인트를 공략하는 것이 좋다.     조류 평균 고조간격은 8시간 18분 정도이며 대조평균 […]

이작도/승봉도 지역 갯바위 포인트(18개소)

  이 부근의 주요 어종은 넙치, 노래미, 농어, 숭어, 우럭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원투낚시, 훌치기는 곤쟁이, 생선살, 오징어살, 전갱이,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미꾸라지, 크릴, 홍갯지렁이 등을 사용한다. 이작도 부근의 선상 낚시는 음력 6~12일, 21~27일이 최적기다.   조류 창조류는 이작도에서 북서측 소야도 사이의 좁은 수도를 북류하며 최강류가 일어나고 동백도 부근에서 심한 와류가 일어난다. 승봉도 동측 해역의 창조류는 북류하여 영흥도 서측 해안으로 흐른다. 낙조류는 이와 반대현상으로 흐른다.   계절별 주요 대상어종 및 평균수온 […]

경남 진주만 부근 갯바위 낚시포인트(28개소)

진주만 부근의 주요 어종은 감성돔, 노래미, 볼락, 농어, 도다리, 갑오징어 등이다. 루어낚시, 에깅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에기, 지그헤드 등을 사용하며, 릴찌낚시, 민장대낚시, 원투낚시는 크릴, 깐새우, 민물새우, 참갯지렁이, 청갯지렁이, 게, 홍갯지렁이, 사백어, 민물새우 등을 사용한다. 연안지역보다는 비토도와 남일대에서 조황이 좋고 가족단위 및 전문 낚시꾼 등 많은 사람들이 찾는 장소이다.     조류 저도섬 앞 진주만에서는 […]

우리나라의 붕장어 어획량 및 수출 통계

서해안에서 원투낚시로 잡히는 대표어종의 하나인 붕장어는 뼈째 썰어 회를 뜨면 느낄 수 있는 고소한 맛이 일품으로 어린 시절 부산에서는 고급 횟감을 주문하면 서비스로 줬을 정도로 홀대받던 물고기였다. ​ 붕장어는 전부가 자연산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리는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며 타의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그러나 점차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잡은 물량의 10% 이상을 거의 일본으로 수출하고 […]

전 세계 붕장어 어획량 통계

서해안 원투낚시의 대표어종이라 할 수 있는 붕장어의 어획량은 우리나라가 단연 1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는 있으나 어획량은 계속해서 감소하여 FAO의 통계에 따르면 1985년에 우리나라가 올린 어획고는 24,010톤이었으나 2021년에는 12,692톤으로 절반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 순위 국명 톤 1 대한민국 12,692 2 프랑스 4,585 3 필리핀 2,959 4 일본 2,500 5 스페인 2,018 6 모로코 1,173 7 포르투갈 982 […]

일본의 장어 생산량(어획+양식+수입) 통계

일본의 장어 공급량은 일본 내에서 어획하는 양과 양식을 통하여 생산하는 양 및 수입량을 합한 것으로 가장 정점을 이루었던 2000년의 158,000여 톤에 비해 2023년에는 그 37%에 불과한 57,795톤에 그치고 말았다. ​ 일본은 장어의 어획량이 감소하자 중국으로부터 장어를 수입하기 시작했으나 중국에서 일본으로 수출할 목적으로 유럽장어의 양식이 급성장함으로써 유럽장어의 자원이 급속히 감소하게 되었고 더불어 우럽장어 치어의 밀수출이 급증하자 […]

북한의 쌀 생산량 통계

FAO에 따르면 북한의 쌀 생산량은 1993년 479만 여 톤에 달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206만 톤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북한의 식량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 연도 톤 1990년 1,800,000 1991년 4,120,000 1992년 4,500,000 1993년 4,787,000 1994년 3,177,000 1995년 2,016,000 1996년 1,426,000 1997년 1,527,000 1998년 2,307,000 1999년 2,343,000 2000년 1,690,000 2001년 2,060,200 2002년 2,186,000 2003년 2,244,000 […]

전 세계의 쌀 생산량 통계

2022년 기준 전 세계에서 쌀을 가장 많이 생산한 나라는 중국으로 2억 849만 톤을 생산하였고 그 뒤를 1억 9,624만 톤을 생산한 인도가 이었다. ​ ​ 순위 국명 톤 1 중국 208,494,800 2 인도 196,245,700 3 방글라데시 57,189,193 4 인도네시아 54,748,977 5 베트남 42,672,339 6 태국 34,317,028 7 미얀마 24,680,200 8 필리핀 19,756,392 9 캄보디아 11,624,000 10 […]

우리나라의 쌀 생산량 통계

FAO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에 우리나라가 생산한 쌀은 모두 499만 8,223톤이라고 하는데 1990년과 비교하면 35%가 감소한 것이다. ​ 연도 톤 1990년 7,721,968 1991년 7,292,534 1992년 7,256,894 1993년 6,403,875 1994년 6,826,167 1995년 6,388,773 1996년 7,122,866 1997년 7,314,885 1998년 6,790,125 1999년 7,065,900 2000년 7,196,582 2001년 7,406,517 2002년 6,687,225 2003년 6,151,202 2004년 6,736,925 2005년 6,434,972 2006년 6,305,492 2007년 5,961,4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