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품과 산업

2022년 세계 낚시용품 매출액 1위는 계속해서 일본의 다이와가 차지!

드디어 일본 다이와의 결산서가 공개되었는데 예상했던 바와 같이 총매출액은 전년대비 11.5%가 상승한 1조3,328억8,311만5,400원(5월 12일자 매매기준율)을 기록하였다.

전 세계 낚시용품 회사의 매출액 순위를 포스팅하면서 이미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시마노는 낚시용품 부문의 매출액을 별도로 구분하고 있지만 다이와는 전체매출액에서 얼마나 차지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시마노는 12월 결산법인이고, 다이와는 3월 결산법인이라는 차이가 있으므로 매년 연말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은 아니란 점을 밝혀둔다.

일본 증권사의 분석자료를 보면 다이와의 전체매출액에서 낚시용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85%~88% 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2017년부터 최근 5개년 동안 다이와의 낚시용품 매출액이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4.9%, 87.5%, 88.4%, 90.9%, 89.7%였는데 아직 2022년의 통계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서 5년 동안의 평균인 88.3%를 차지하였다고 가정하면 다이와의 2022년도 낚시용품 매출액은 1조1,769억3,579만898원을 기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시마노의 매출액에 대해서는 2022년 시마노의 낚시용품 매출은 8.4% 성장이란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았으나 작성할 당시의 환율과 차이가 있어 동일하게 5월 12일자 매매기준율을 적용해보면 시마노의 2022년도 낚시용품 매출액은 원화로 1조 140억3,027만4,400원을 올려 다이와가 1,629억551만6,498원의 매출을 더 올린 것으로 보인다.

적용된 환율은 2023년 2월3일자 매매기준율이다.

한편 다이와가 밝히고 있는 바에 의하면 아웃도어·스포츠·레저 부문에서 특히 중국과 한국에서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고 하는데 한국다이와정공의 2022년도 매출액은 565억6백만원(56,506,268,293원)으로 2021년의 매출액 468억6천5백만원(46,865,647,569원)보다 20.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여실히 입증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국내 업체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바낙스의 경우 2021년 대비 23억4천717만원이 감소한 432억7천만원(43,271,805,423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여 5%의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국내 낚시인구의 증가를 가져왔던 낚시를 주제로 한 방송으로 인한 낚시용품 업체의 매출상승 효과도 일본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듯이 코로나로 인한 효과도 일본 업체들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보여 뒷맛이 씁쓸하기만 하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1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1주 ago

직결매듭법-FG노트

FG노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아무리 쉬운 방법이라고 해도 숙달되기까지에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흰…

1주 ago

스윔베이트의 관절 수는 몇 개가 가장 좋을까?

배스낚시에서 사용하는 루어의 움직임이 얼마나 진짜 미끼와 닮았는지 하는 것은 루어를 만드는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이를…

1주 ago

알을 밴 포란상태의 무늬오징어를 확인하는 방법

대물 무늬오징어를 노릴 수 있는 봄철은 많은 에깅낚시인들의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