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

홋카이도에는 가리비 껍질로 만든 하얀 길이 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따끈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찜을 비롯하여 꼬막에 굴요리까지 맛있는 안주들이 술을 부르는 날이 잦아지곤 한다.

그러나 맛있게 먹는 대신 남는 조개껍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우리에게 숙제로 남겨준다.

한 해 동안 버려지는 굴껍데기의 양만 대략 30만 톤을 상회한다고 하는데 다행히 근래 와서는 재활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아직은 여전히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굴껍데기를 비롯한 패각류의 껍질은 난연성이라 소각처리가 쉽지 않고 분해가 어려운 탄산칼슘으로 인해 자연상태에서 생분해되는 것도 쉽지 않을뿐더러 껍질에 부착된 염분으로 인해 그대로 매립할 수도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료나 사료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껍질에 묻어 있는 염분을 제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길게는 야적한 상태로 1년간 방치한 채로 비를 맞게 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그다음에 지상에 설치한 아래의 사진과 같은 수조에 넣어서 한번 더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뒤에 비료나 사료의 원료가 되는 분말을 제조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일본도 마찬가지로 특히 가리비의 생산으로 유명한 홋카이도에서는 버려지는 가리비 껍질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대신에 도로에 깔아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명소로 부상한 곳이 있다.

 

홋카이도 북부의 왓카나이(稚内)에 있는 소야구릉(宗谷丘陵)은 왓카나이 풋패스의 소야구릉코스가 있는데 그 중 숏코스의 후반부 3㎞에 2011년부터 가리비껍질을 분쇄해서 깐 것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는데 일본어로는 시로이 미치(白い道)라 부르며 우리말로는 ‘하얀 길’ 또는 ‘백조개의 길’로 불린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가리비를 먹고 있을까?”란 포스팅을 통해서 2019년까지 증가일로에 있던 일본산 가리비의 수입실태를 알아본 바가 있었는데 이 글을 쓰면서 찾아보니 2022년에는 11,745톤을 수입하였고 그 금액은 오늘자 매매기준율로 환산하면 650여 억 원에 이르러 금액과 중량으로 모두 2019년도 대비 2배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많은 양을 수입한 일본산 가리비를 비롯하여 우리가 음식점에서 먹는 패각류의 껍질은 절차와 규정에 따라 일반쓰레기로 잘 처리가 되고 있을까?

앞으론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조사해보아야겠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꽂기식 로드의 연결 방법: 병계식, 역병계식, 인롱계식의 차이

먼저 병계(並継), 역병계(逆並継), 인롱계(印籠継)를 하나씩 알아보면 동양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아우르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기에…

4일 ago

조어대전 제21장: 낚시도구를 만드는 방법(번역 완)

낚시꾼: 벌레와 작은 물고기, 강과 연못에 대해서 너무 오래 얘길 한 것 같습니다. 저도 많이…

4일 ago

여름철 무늬오징어 낚시

무늬오징어 낚시는 봄과 가을이 베스트 시즌이라고들 합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늦여름까지 어린 무늬오징어가 출생하고 가을에는 경계심이…

1주 ago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의 종류와 특징

농어루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어종을 공략하기 위해서도 사용하는 바이브레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루어의 종류로써, 바이브레이션이란…

2주 ago

마루큐의 원투낚시용 염장 파우더 시오이카고로는 효과가 있을까?

오늘은 구독자분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렸으나 조금 부족한 듯하여 일본 마루큐에서 만드는 파우더제품 중 시오이카고로에…

2주 ago

신안군 우이도 갯바위 낚시포인트(11개소)

우이도의 주요 어종은 농어, 감성돔, 노래미, 우럭, 붕장어 등이다. 루어낚시는 그럽웜, 메탈지그, 미노우 플러그, 지그헤드…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