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

홋카이도에는 가리비 껍질로 만든 하얀 길이 있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따끈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찜을 비롯하여 꼬막에 굴요리까지 맛있는 안주들이 술을 부르는 날이 잦아지곤 한다.

그러나 맛있게 먹는 대신 남는 조개껍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우리에게 숙제로 남겨준다.

한 해 동안 버려지는 굴껍데기의 양만 대략 30만 톤을 상회한다고 하는데 다행히 근래 와서는 재활용되는 비율이 증가하기는 했지만 아직은 여전히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굴껍데기를 비롯한 패각류의 껍질은 난연성이라 소각처리가 쉽지 않고 분해가 어려운 탄산칼슘으로 인해 자연상태에서 생분해되는 것도 쉽지 않을뿐더러 껍질에 부착된 염분으로 인해 그대로 매립할 수도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료나 사료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껍질에 묻어 있는 염분을 제거해야만 하기 때문에 길게는 야적한 상태로 1년간 방치한 채로 비를 맞게 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그다음에 지상에 설치한 아래의 사진과 같은 수조에 넣어서 한번 더 염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 뒤에 비료나 사료의 원료가 되는 분말을 제조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일본도 마찬가지로 특히 가리비의 생산으로 유명한 홋카이도에서는 버려지는 가리비 껍질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대신에 도로에 깔아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명소로 부상한 곳이 있다.

 

홋카이도 북부의 왓카나이(稚内)에 있는 소야구릉(宗谷丘陵)은 왓카나이 풋패스의 소야구릉코스가 있는데 그 중 숏코스의 후반부 3㎞에 2011년부터 가리비껍질을 분쇄해서 깐 것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는데 일본어로는 시로이 미치(白い道)라 부르며 우리말로는 ‘하얀 길’ 또는 ‘백조개의 길’로 불린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가리비를 먹고 있을까?”란 포스팅을 통해서 2019년까지 증가일로에 있던 일본산 가리비의 수입실태를 알아본 바가 있었는데 이 글을 쓰면서 찾아보니 2022년에는 11,745톤을 수입하였고 그 금액은 오늘자 매매기준율로 환산하면 650여 억 원에 이르러 금액과 중량으로 모두 2019년도 대비 2배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많은 양을 수입한 일본산 가리비를 비롯하여 우리가 음식점에서 먹는 패각류의 껍질은 절차와 규정에 따라 일반쓰레기로 잘 처리가 되고 있을까?

앞으론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조사해보아야겠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고래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feat. 아바타: 물의 길)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인 ‘아바타: 물의 길’이 일본에서 개봉되기 전 마련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진행된…

2일 ago

여름철 밤낚시의 필수품, 모기기피제

여름철 밤낚시는 모기와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심한 모기들의 극성을 견뎌야 합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바르거나…

5일 ago

조어대전 제19장: 강과 물고기에 대한 관찰

낚시꾼: 날씨도 좋고, 길도 좋습니다. 아직 토트넘의 십자가가 보이려면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 당신이 원하는…

5일 ago

원투낚시용 릴의 드랙력은 얼마가 적당할까?

원투낚시에 입문하는 분들은 장비의 선택에 있어 많은 애로를 겪는데 그중에는 사용할 릴의 드랙력은 어느 정도가…

1주 ago

고산 윤선도에게 배우는 낚시터의 예절

지난 주말 모처럼 밤낚시를 즐기고 왔다. 예보와는 달리 바람도 그리 세게 불지는 않아 조용한 시간을…

1주 ago

배스는 웜을 무엇으로 생각할까?

사용하는 루어의 크기와 모양 및 색깔이 물고기의 실제 먹이와 비슷할수록 입질 확률이 높다는 것은 낚시인들의…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