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셔(Swisher)라고도 하는 톱워터 플러그인 프롭베이트는 프로펠러의 유형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펠러가 하나만 있는 싱글 프롭베이트와 앞과 뒤에 하나씩 더블 프롭베이트의 두 종류로 크게 나누어진다.
오늘 소개하는 영상도 블로그를 통해 여러 차례 소개한 적이 있는 미국 플로리다 대학(University of Florida) 연구소에 근무하는 지미 랴오(Jimmy Liao) 박사가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fish code studios)에 게재된 것으로, 제목은 “Topwater prop baits : why you miss blowups”인데 “톱워터 프롭 베이트: 왜 챔질에 실패하는가?”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영상의 내레이션을 번역한 것은 개인적인 의견을 전혀 더하지 않고 파란색으로 표시를 하였으며 이미지는 모두 유튜브를 캡처한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영상은 지미 박사의 허락을 얻어 번역하여 본인이 직접 자막을 입힌 것이다.
이곳 플로리다 현지의 낚시인들이 톱워터를 선택할 때면 찾는 것이 프롭베이트라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피시코드 스튜디오의 지미 랴오입니다. 오늘은 프로펠러가 달린 루어를 공격하는 영상을 느린 화면으로 보겠습니다.
프롭베이트가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배스의 주의를 끄는데, 물고기의 측선은 초당 약 100㎐의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도의 주파수는 프로펠러가 만들어내는 주파수와 비슷합니다.
결론적으로 프롭베이트를 사용할 때는 이것이 가지고 있는 3가지의 문제를 알고 있어야만 입질하는 배스를 정확히 챔질할 수 있는데 과연 그런지를 슬로우 모션을 보면서 알아봅시다.
만일 배스가 뒤에서 삼키려고 할 때는 좋습니다.
그러나 배스가 옆에서부터 삼키려고 덤빌 때는 프롭베이트의 길이와 딱딱함으로 인해 삼키는 것이 방해를 받게 됩니다.
자연산 미끼라면 몸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배스가 삼키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후루룩(딸깍? 의성어여서 번역하기 애매)하고 삼키는 소리가 들리면 입질을 했다는 훌륭한 신호이며 배스는 입으로 프롭베이트를 물려고 하고 있을 것입니다.
배스가 프롭베이트를 삼키려고 하는 순간은 박진감이 넘치긴 하지만 배스의 입안에 프롭베이트가 들어갔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이곳 플로리다에서 프롭베이트로 낚시를 하면서 2마리의 배스를 잡았습니다.
지금까지 피시코드 스튜디오의 지미 랴오였습니다. 혹시 이 영상이 만족스러우시다면 구독해주시고 다음 시간을 기다려 주십시오.
이번에 소개한 지미 랴오의 영상은 프롭베이트가 가지고 있는 3가지의 문제로 길고, 딱딱하며, 입질 순간에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을 들고 있는데 운용하기가 쉬운 루어는 결코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해주는 것 같다.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마노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를 한…
낚시용품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다이와의 이름은 정확하게는 글로브라이드 주식회사(GLOBERIDE, Inc)이며 다양한 사업분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