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 릴

펜(Penn) 릴의 슬래머 드랙 시스템

펜(Penn)의 스피닝 릴, 슬래머 3는 국내 낚시인들 중에서도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기종인데 제품의 정보를 보면 정작 중요한 부분은 제공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펜(Penn)의 스피닝 릴 슬래머 3가 타사 제품과 차별화 되는 가장 특장점은 슬래머 드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핀 피셔에도 적용된 기술이다.

일반적인 스피닝 릴의 드랙은 드랙 노브를 분리하고 위에서부터 차례로 디스크를 분리하면 되지만 펜의 슬래머 드랙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분해를 따로 해주어야 한다는 것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에게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펜 릴을 사용하는 낚시인들은 본인이 사용하는 모델이 아래와 같은 듀라 드랙과 슬래머 드랙이란 서로 다른 드랙 시스템을 가진 릴이라는 오해를 하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펜 릴을 판매하는 어떤 곳에서도 드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보질 못했는데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여러 잘못된 정보들이 확대·재생산되고 있어서 오늘은 펜 릴의 드랙 시스템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볼까 한다.

먼저 펜릴의 드랙 노브 부분을 보면 HT-100 또는 듀라 드랙(Dura-Drag)이라고 인쇄가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드랙 시스템에 사용되는 와셔를 어떤 것을 사용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보면 된다.

HT-100에서 HT는 하이테크(High Tech)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고 100의 의미는 100마일(160㎞) 길이의 낚싯줄을 사용하는 동안 와셔의 품질에 큰 변화가 없이 작동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1985년부터 사용된 HT-100 와셔는 탄소섬유 소재의 드랙 와셔를 최초로 사용한 것이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듀라 드랙(Dura-Drag)도 드랙 와셔의 일종이라고 보면 되는데 HT-100과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고 업그레이드된 것이라고 보면 틀리지 않다.

듀라 드랙(Dura-Drag) 와셔는 HT-100에 특수 페놀성 접착제를 함유하여 방수기능과 부드러움을 향상시킨 것으로 드랙 그리스를 바르는 것은 듀라 드랙(Dura-Drag) 와셔의 성능을 저하시킴으로 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있다.

이것이 펜 릴에 사용되는 와셔에 대한 것이고 그 다음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슬래머 드랙(Slammer Drag)이란 것이 있다.

그러면 슬래머 드랙과 슬래머 드랙 시스템은 어떻게 다를까? 이 부분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보니 두 가지는 해석하는 사람에 의해 같은 것으로도 다른 것으로도 해석되기도 하는 것이다.

제일 중요한 부분은 펜 릴의 슬래머 드랙 시스템은 더블 디스크 방식이란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쉽게 설명하면 드랙의 헤드 부분과 스풀 스커트 안에 있는 하단 부분이 분리·장착되어 안정성을 높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칭은 상단 헤드 부분을 슬래머 드랙이라고 부르고 하단 부분, 즉 스풀 스커트 부분에 있는 것을 듀라

드랙으로 부르며 이 두 가지를 합하여 슬래머 드랙 시스템이라고 부른다는 것이 퓨어피싱의 공식적인 답변이었다.(여기서 사용자들의 혼란이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드랙 노브를 분리하면 씰드 슬래머 드랙 시스템(Sealed Slammer Drag System)이란 문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스풀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면 상단 부분에도 브레이크 디스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제동력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제동력은 대부분 하단 부분에서 담당하고 있다.

상단(헤드) 부분

하단(스풀 스커트) 부분

이상으로 펜 릴의 드랙 시스템과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알아본 글을 마친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1주 ago

백제(百濟)의 낚시왕 경중(慶仲)

사진은 백제왕씨(百済王氏)의 선조를 모시는 백제왕신사 ​ 언젠가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대표와 술을 한 잔 마시며…

1주 ago

소라의 쓴맛을 없애는 방법과 암수 구별법

소라를 먹을 때 쓴맛이 나서 먹을 수 없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오늘은 소라의 쓴맛은 어떤…

2주 ago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3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3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