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제와 무분별한 쓰레기의 투기, 어촌계와의 갈등 등에 의하여 점차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되는 장소가 확대되고 있는 형편이기에 다시 한 번 환경을 생각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낚시인의 모습을 갖기를 바라며, 아래에 적는 글은 낚시금지구역 중에서 도서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임을 밝힌다.
바다낚시 금지구역 안내
특정 도서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4조에 따라 자연생태계, 지형, 지질, 자연환경이 우수한 무인도서를 보전하기 위해 환경부장관이 보호지역으로 지정, 관리하는 섬을 말한다. 특정도서로 지정되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건축물, 공작물의 신증축, 야생 동, 식물의 포획 또는 채취 등이 금지되며, 필요 시 도서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14조(벌칙), 제16조(과태료)에 의해 과태료 또는 징역에 처할 수 있다.
경상북도(1개 도서)
| 울릉군 | 울릉읍 | 독도 |
경상남도(39개 도서)
| 거제시 | 남부면 | 송도, 갈도(갈곳도), 소병대도, 대병대도, 소다포도 |
| 고성군 | 삼산면 | 상비사도, 하비사도, 윗대호섬, 문래섬 |
| 남해군 | 미조면 | 사도, 죽암도(미도), 고도, 소목과도, 마안도 |
| 상주면 | 세존도, 소치도, 목도(부도) | |
| 설천면 | 상장도 | |
| 사천시 | 신수동 | 솔섬(악도) |
| 늑도동 | 학섬(학도) | |
| 서포면 | 우무섬(우무도), 향기도 | |
| 통영시 | 한산면 | 홍도, 어유도, 소매물도일부(등대도), 소지도 |
| 산양읍 | 외부지도 | |
| 욕지면 | 막도, 좌사리도(자사리도) | |
| 하동군 | 금남면 | 장도, 혈도, 채도, 악도(장구섬), 토도(토끼섬) |
| 금성면 | 마도, 오동도 | |
| 진교면 | 소첨도 | |
| 마산시 | 구산면 | 곰섬(웅도) |
부산광역시(3개 도서)
| 사하구 | 다대동 | 남형제섬, 북형제섬 |
| 영도구 | 동삼동 | 주전자섬(생도) |
제주특별자치도(2개 도서)
| 북제주군 | 추자면 | 흑검도, 청도 |
전라북도(13개 도서)
| 군산시 | 옥도면 | 보농도, 소횡경도, 횡경도, 십이동파도1, 2, 4, 9 |
| 부안군 | 위도면 | 내조도, 딴정금도, 달루도, 대형제도, 외치도(큰딴치도) |
전라남도(75개 도서)
| 고흥군 | 과역면 | 아랫돈배섬, 진지외도 |
| 도화면 | 목도 | |
| 봉래면 | 대항도, 곡두도 | |
| 영남면 | 내매물도 | |
| 보성군 | 벌교읍 | 해1도, 해2도 |
| 신안군 | 암태면 | 왼섬, 진목도 |
| 압해면 | 소정섬, 대정섬, 역도 | |
| 임자면 | 매섬, 소허사도, 바람막이도, 육각도 | |
| 자은면 | 오도, 두리도, 죽도, 원도, 둔북섬 | |
| 장산면 | 족도, 구도 | |
| 증도면 | 부남섬, 대섬, 호감섬, 갈매섬 | |
| 지도읍 | 법고섬, 밖다리섬 | |
| 팔금면 | 화도, 불무기도 | |
| 흑산면 | 개린도, 국흘섬(국혈도), 외엽산도(무명도), 대술개도, 다라도 | |
| 하의면 | 저도 | |
| 여수시 | 돌산읍 | 소송도 |
| 삼산면 | 지마도, 소평여도, 안목섬, 밖목섬, 보든아기섬 | |
| 소호동 | 가덕도 | |
| 화양면 | 죽도 | |
| 화정면 | 고여, 토도(증도), 부도, 장구도 | |
| 진도군 | 의신면 | 대삼도, 갈매기섬, 밀매도, 중갈매기섬 |
| 조도면 | 행금도, 탄항도, 병퉁도, 납태기도(서대기도), 백야도, 상방고도, 하방고도, 중방고도 | |
| 지산면 | 각흘도, 솔섬 | |
| 진도읍 | 골도 | |
| 해남군 | 북평면 | 소연포초도 |
| 송지면 | 갈도 | |
| 황산면 | 송도 | |
| 완도군 | 고금면 | 원도2(두롱섬) |
| 금당면 | 재도, 중화도, 소화도 | |
| 노화읍 | 장구섬, 잠도, 문어북도, 문어남도, 가덕도 | |
| 신지면 | 혈도, 갈마도, 진섬 | |
| 약산면 | 섬어두지(어두도) | |
| 청산면 | 불근도 | |
| 금일읍 | 대병풍도, 소다랑도, 다라지도(낙타섬), 대칠기도, 중칠기도, 소칠기도, 비도, 송도, 소사도(거북섬), 대사도, 대마도, 안매도 | |
| 생일면 | 구도, 소덕우도, 매물도, 송도, 형제도 |
충청남도(19개 도서)
| 보령시 | 오천면 | 대길산도, 추도(기름암 포함), 납작도, 오도(조도), 무명도(불안도), 대청도, 오도, 횡견도, 외횡견도, 변도, 석도, 나무섬(상목도) |
| 서산시 | 대산읍 | 흑어도, 옥도 |
| 부석면 | 묘도 | |
| 태안군 | 근흥면 | 북격렬비도 |
| 소원면 | 곳도(화창도) | |
| 안면읍 | 묘도(토끼섬) | |
| 이원면 | 솔섬 |
인천광역시(25개 도서)
| 강화군 | 삼산면 | 소송도, 대송도 |
| 서도면 | 우도, 비도, 수리봉, 석도, 수시도, 분지도 | |
| 옹진군 | 북도면 | 서만도, 신도 |
| 자월면 | 뭉퉁도, 초지도, 할미염 | |
| 덕적면 | 부도, 토끼섬, 광대도, 멍애섬, 각흘도, 통각흘도, 소통각흘도, 중톡각흘도, 상바지섬, 중바지섬, 하바지섬 | |
| 영흥면 | 항도, 어평도 |
이 글은 국립해양조사원의 요트/낚시정보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국립해양조사원(http://www.khoa.go.kr/)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51(동삼동 1125-38) Tel. 051-400-4400 |
원투낚싯대의 파지법 중에서 릴 시트를 잡는 방법은 릴풋을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는 2핑거 방식이 좋은지,…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