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많은 수중생물들이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모이는데, 그 중의 하나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아주 좋은 손맛을 보여주는 참돔입니다.

특히 봄이 되고 벚꽃이 제철을 맞을 때 잡히는 참돔을 일본에서는 “사쿠라다이(桜鯛)”라고 부를 만큼 봄에 잡을 수 있는 대형어종의 대표적인 것이 참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산란기를 맞은 참돔은 가장 큰 대물을 잡을 수 있는 시즌입니다. 물론 타이라바를 이용한 선상낚시를 많이 하지만, 수온이 안정되면 원투낚시로도 얼마든지 참돔을 노려볼 수 있어서 오늘은 참돔 원투낚시의 첫 번째 순서로 참돔의 기본적인 생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돔의 산란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수온입니다. 대체적으로 수온이 10℃ 이상이 되면 참돔이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경험적으로 보면 10~12℃ 사이에서는 조과를 올리기가 아주 어려우며 14℃ 정도는 수온이 올라야 가까운 연안에서도 잡을 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형 참돔을 노린다면 일반적인 시즌보다 일찍 또는 늦은 시기를 공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이 촬영되었을 때는 육지의 물웅덩이에 살얼음이 낄 정도의 기온이었다고 하는데, 시즌보다 빨리 대물참돔이 연안에 접근하여 활동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돔이 미끼를 먹는 것은 감성돔과 같이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먹기보다는 미끼를 먹는 순간 몸을 돌려 헤엄치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질이 아주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드랙의 조절을 하고서 낚시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타이라바를 이용한 서프루어에서도 소개한 것과 같이 근래에 들어서 사용하는 타이라바는 고정식보다는 유동식이 많은데 그 이유는 참돔이 물었을 때 헤드의 무게가 바늘에 전달되지 않고 참돔이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는 점 등 여러 면에서 조과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것과 같이 참돔 원투낚시에 사용하는 채비도 고정식의 채비보다는 유동식채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사장에서도 바다에 수중여가 있거나 암초가 있으면 참돔을 노려볼 수가 있고, 특히 방파제에서 참돔을 노린다면 조수와 배가 드나들면서 생기는 지형의 변화가 있는 제방의 끝지점이 좋은 포인트가 된다고 하겠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갑오징어의 신경절단과 손질방법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수년 전부터는 시화방조제에서도 갑오징어가 제법 잡히고 있어서 많은 낚시인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주 ago

암스테르담의 플라스틱 피싱 투어

함부로 버려지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자연과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줄이고자 각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플라스틱…

1주 ago

미국은 금어기(禁漁期)를 어떻게 설정할까?

해마다 9월이 되면 금어기에서 해제가 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많은 낚시인들이 바다로 나갑입니다. 어족자원의 고갈을…

1주 ago

직결매듭법-FG노트

FG노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아무리 쉬운 방법이라고 해도 숙달되기까지에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흰…

1주 ago

스윔베이트의 관절 수는 몇 개가 가장 좋을까?

배스낚시에서 사용하는 루어의 움직임이 얼마나 진짜 미끼와 닮았는지 하는 것은 루어를 만드는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이를…

2주 ago

알을 밴 포란상태의 무늬오징어를 확인하는 방법

대물 무늬오징어를 노릴 수 있는 봄철은 많은 에깅낚시인들의 마음을 설레게도 하지만 산란을 마치지 않은 암컷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