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의 장어 생산량(어획+양식) 통계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FAO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의 장어 어획량은 보고된 것이 없고 전량 양식에 의해서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는데 2021년 중국은 모두 25만 740톤의 장어를 생산하였으며 2022년에는 4,571톤이 증가한 25만 5,311톤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21년보다 61.7%인 5,987톤을 더 생산하여 모두 1만 5.678톤의 양식 장어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장어 양식은 일본으로 수출할 목적으로 유럽장어의 양식이 시작되면서부터 급성장하였으며 2021년 일본에서 수입한 장어의 99%를 중국산 장어가 차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의 유럽장어 양식의 이면에는 실뱀장어의 밀수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깔려있다는 점은 우리가 먹는 장어는 어디서 왔을까?란 글에서 알아본 바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연도 | 생산량(톤) |
1990년 | 67,672 |
1991년 | 80,582 |
1992년 | 91,655 |
1993년 | 100,000 |
1994년 | 110,000 |
1995년 | 120,000 |
1996년 | 147,316 |
1997년 | 155,739 |
1998년 | 146,317 |
1999년 | 144,740 |
2000년 | 140,067 |
2001년 | 135,078 |
2002년 | 141,721 |
2003년 | 139,344 |
2004년 | 153,828 |
2005년 | 154,703 |
2006년 | 189,754 |
2007년 | 207,332 |
2008년 | 205,325 |
2009년 | 211,212 |
2010년 | 206,258 |
2011년 | 196,832 |
2012년 | 193,501 |
2013년 | 187,298 |
2014년 | 198,210 |
2015년 | 211,129 |
2016년 | 210,995 |
2017년 | 217,263 |
2018년 | 233,222 |
2019년 | 234,223 |
2020년 | 250,740 |
2021년 | 255,311 |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이전에 “물의 맑기를 나타내는 영어표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물의 맑기, 즉 수질(水質)에 따라 배스를 잡기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