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이란 제목의 글에서 언급한 적이 있 것처럼 잘 자라지도 않고 생명력도 약하며 갯벌에서 키워야 하는 벨롱 오이스터(Belon Oyster)는 중국에서도 대량으로 수입해가는 바람에 가격이 크게 올랐다.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중국의 1인당 굴 소비량은 2007년 2.7kg에서 2017년 3.52kg 으로 증가한 데 이어서 2018년에는 3.7kg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늘어가는 중국인들의 굴 소비량과 비례하여 중국의 양식(養殖) 굴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는데 FAO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은 모두 581만 9,188톤의 양식 굴을 생산하였고 이는 전 세계 양식 굴 생산량의 87.2%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한다.
| 연도 | 생산량(톤) |
| 1985년 | 310,828 |
| 1986년 | 336,013 |
| 1987년 | 400,468 |
| 1988년 | 451,859 |
| 1989년 | 447,545 |
| 1990년 | 503,183 |
| 1991년 | 534,148 |
| 1992년 | 751,579 |
| 1993년 | 1,029,046 |
| 1994년 | 1,915,338 |
| 1995년 | 2,279,757 |
| 1996년 | 2,284,663 |
| 1997년 | 2,182,411 |
| 1998년 | 2,566,429 |
| 1999년 | 2,660,337 |
| 2000년 | 2,904,508 |
| 2001년 | 3,066,431 |
| 2002년 | 3,177,530 |
| 2003년 | 3,211,346 |
| 2004년 | 3,281,883 |
| 2005년 | 3,346,963 |
| 2006년 | 3,455,461 |
| 2007년 | 3,508,934 |
| 2008년 | 3,354,382 |
| 2009년 | 3,463,334 |
| 2010년 | 3,535,235 |
| 2011년 | 3,580,474 |
| 2012년 | 3,783,999 |
| 2013년 | 4,037,709 |
| 2014년 | 4,159,382 |
| 2015년 | 4,380,578 |
| 2016년 | 4,660,434 |
| 2017년 | 4,879,422 |
| 2018년 | 5,139,760 |
| 2019년 | 5,225,595 |
| 2020년 | 5,424,632 |
| 2021년 | 5,819,188 |
스위셔(Swisher)라고도 하는 톱워터 플러그인 프롭베이트는 프로펠러의 유형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펠러가 하나만…
“다이와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에 이어서 이번에는 시마노의 매출에서 차지하는 한국시장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를 한…
낚시용품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다이와의 이름은 정확하게는 글로브라이드 주식회사(GLOBERIDE, Inc)이며 다양한 사업분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