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

중간 부위가 부러진 낚싯대(로드)의 수리방법

낚싯대가 부러지는 일은 종종 일어나기도 하고 초릿대가 부러진 경우에는 누구나 그리 어렵지 않게 아래의 순서와 같이 보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부러진 부위가 자가수리를 하기에 곤란한 경우에는 제품보증서를 사용할 것인가?, 보증서가 없을 경우에는 심하면 낚싯대 가격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비용을 들여서 수리를 맡길 것인가? 하는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부러진 로드를 수리하기 위해 업체에 보내기 전에, 우선 연습을 한다 생각하고 아래의 순서와 같이 천천히 가벼운 마음으로 직접 보수를 해보기를 권합니다.

어차피 보증서를 사용하거나 부품을 구매해서 수리해야 하는 경우라면 본인이 수리해보다 실패한다고 해서 추가로 비용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수리에 성공한다면 경험도 쌓고 돈도 아끼는 그야말로 일석이조 아니겠습니까?

뿐만 아니라 일본제품의 경우에는 수리를 보내고 잊고 지내야 할 만큼 많은 시일이 걸리는 일도 다반사니까요…

그럼 이제 부러진 로드를 수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알고 나면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니란 사실을 알게 되실 것이고, 한 번 도전해보겠다는 의욕도 반드시 생길 것이라 생각합니다.

먼저 부러진 로드를 보니 2번 가이드 앞에서 부러지면서 2번 가이드에도 손상이 온 것이 보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톱 가이드에 있는 부러진 로드의 일부를 꺼낸 다음 다듬어서 2번 가이드가 있던 부분과 톱 가이드 사이에 끼우는 방법으로 수리를 하면 됩니다.

라이터 등을 이용하여 톱 가이드와 2번 가이드를 분리합니다.

 

어차피 2번 가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지만 그래도 손상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뭐 버릴 것이니 신경 쓸 필욘 없지요~

다음으로 2번 가이드가 있던 부분을 살펴보니 가로로 균열이 가 있는 것이 보임에 따라 그 뒤에서 자르기로 합니다. 이때 자르는 각도는 아래 사진처럼 수직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 순서로는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톱 가이드에서 분리한 부러진 로드를 꺼내어 다듬어주는 것입니다. 한 쪽은 톱 가이드와 연결하고 다른 쪽은 부러진 로드와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칼이나 사포를 사용하여 비교적 정밀하게 손질하도록 합니다.

 

손질이 끝나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을 하면 됩니다. 이때 연결 부위가 맞지 않으면 조금씩 세밀하게 다듬는 과정을 거쳐서 마무리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완전히 연결이 되고 나면 그 위를 실로 감아준 다음 에폭시로 마무리를 하면 되는데 스레딩(Threading)이라고 하는 실을 감는 작업과 에폭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조금 주의할 점이 있으므로 나중에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과정이 마무리 되고 난 모습입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원투낚시로 즐기는 꽃게낚시

원투낚시를 이용하여 잡을 수 있는 어종 가운데 한창 제철인 꽃게를 잡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7일 ago

원투낚싯대의 파지법: 2 핑거, 3 핑거, 어느 쪽이 좋을까?

원투낚싯대의 파지법 중에서 릴 시트를 잡는 방법은 릴풋을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는 2핑거 방식이 좋은지,…

3주 ago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3주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4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개월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