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주일 미해병대의 공중급유 추락사고는 A클래스에 해당

지난 6일 미 해병대 제3 해병원정군 소속의 FA-18D 호넷 전투기와 KC-130J 공중급유기가 공중급유 훈련 도중에 충돌하여 추락한 사고가 발생하여 전투기에 탑승했던 2명과 급유기에 탑승했던 5명의 승무원을 합하여 모두 7명의 승무원이 추락하여 이 중 2명은 구조되었고 당일 1명은 사망하고 5명은 실종된 상태였는데 실종자 5명에 대하여 제3해병원정군 사령관 에릭 스미스 중장은 모두 사망하였다고 어제일자로 공식 선언하면서 사고등급을 A클래스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미해병대는 2년 전인 2016년 12월 13일에도 MV-22B와 KC-130이 공중급유 도중에 접촉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MV-22B가 불시착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MV-22B

 

또한 금년 9월 4일에는 항공모함 “USS 에이브러햄 링컨”의 함재기인 F-35C 라이트닝Ⅱ와 F/A-18F 슈퍼 호넷이 공중급유 훈련을 하던 도중, F-35C의 공기흡입구로 급유기인 F/A-18F 슈퍼 호넷의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생긴 “드로그(drogue)”의 파편이 빨려 들어가는 사고가 발생하여 엔진의 손상을 입었는데 다행히 두 대 모두 무사히 착륙은 하였지만 당시의 사고등급은 F-35C 라이트닝Ⅱ가 A클래스, F/A-18F 슈퍼 호넷은 C클래스라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드로그(drogue)

 

미군이 규정하고 있는 항공기사고의 등급은 A부터 D까지 4개의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등급은 인명의 피해와 경제적인 손실을 합하여 아래와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 A클래스:비행기 전체가 손상되거나2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드는 손상이 발생 또는 승무원이 사망하거나 전신에 걸쳐 영구적인 장애가 남는 경우
  • B클래스: 50만 달러 이상200만 달러 이하의 경제적 손실과 승무원이 신체 일부의 영구적인 부상을 당하거나3명 이상이 입원하는 경우
  • C클래스: 5만 달러 이상50만 달러 이하의 손상과1일 이상의 입원이 필요한 부상을 입은 경우
  • D클래스: 2만 달러 이상5만 달러 이하의 손상과A, B, C클래스로 분류되지 않는 부상을 입은 경우

상기와 같은 규정에 의거하여 이번의 사고는 A클래스로 규정되었는데 이처럼 위험한 공중급유를 계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이전의 포스팅 “전투기의 연비는 얼마나 될까?”와 전투기에는 무기를 얼마나 탑재할 수 있을까?”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공중급유는 항속거리를 연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투기의 무장을 최대로 탑재하게 되면 최대이륙중량을 초과하여 이륙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연료를 만재하지 않고 우선 이륙한 다음 공중에서 급유하여 무장탑재량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함 때문입니다.

즉, 군에서는 최대한으로 무장을 하고 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륙하여 비행하다가 중간에서 공중급유를 받아 연료를 보충하는 무장탑재량을 우선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기온의 영향을 받기 쉬운 제트엔진의 특성에 따라 온도의 상승에 따른 추력의 감소는 필연적으로 최대이륙중량의 감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현대전에서의 공중전은 공중급유기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므로 미국은 항공모함에서 이륙할 수 있는 무인공중급유기 “MQ-25A”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야간작전의 위험과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전 세계 공중급유기의 80% 정도인 600여 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이번 사고로 운명을 달리한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가을철 무늬오징어 낚시

본격적으로로 시작된 주꾸미 시즌을 맞아 근자에 사회적으로 약간의 논란이 되고 있는 기사에 대해서 편한 마음은…

3일 ago

새우(대하)의 내장은 먹어도 될까?

태풍이 지나가고 가을이 성큼 다가옴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하(大蝦)가 제철을 맞는 시기가 되었다. 금년 여름, 많은…

3일 ago

좋은 낚시 포인트란 어떤 곳일까?

많은 낚시인들께서는 아마도 주말과 연휴를 이용하여 낚시를 다니는 분들이 대부분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여러분들은 어떤 낚시터가…

3주 ago

태클 밸런스 그리고 스플릿 링(split ring)

흔히들 말하는 “태클 밸런스”라는 것은 로드와 릴의 무게를 더한 전체적인 중량의 중심, 즉 무게중심을 표현할 때…

2개월 ago

카본 99% 낚싯대는 99%의 카본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아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카본로드의 제원을 보면 카본 99%라고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낚시인들은 99%의 탄소섬유로 만든…

2개월 ago

광복절에 생각해보는 주꾸미 낚시채비 애자란 이름

8월말이면 금어기간이 끝나는 주꾸미를 잡기 위해 벌써부터 많은 낚시인들은 배편을 예약하거나 낚시에 사용할 채비를 준비하는…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