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어대전(번역)

조어대전 제15장: 모샘치의 생태와 낚시하는 방법

모샘치(Gudgeon):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모래나 자갈바닥을 좋아하고, 수온이 13℃를 넘는 4월부터 8월까지 산란한다. 성어의 평균 체중과 크기는 30~60g, 7~12㎝ 정도로 아주 작은 편이며 물총새가 아주 좋아하는 먹잇감이다.

모샘치는 아주 맛있는 물고기로 영양도 풍부합니다. 그리고 은빛 비늘을 가지고 있으며 몸통과 꼬리에는 검은 반점이 있는 아름다운 물고기입니다. 1년에 두세 번 정도 여름철에만 산란하는 모샘치는 영양분이 높으며 바닥에서 먹이활동을 한다고 해서 독일에서는 그라운들링이라고 부릅니다.

모샘치는 물살이 빠른 곳을 좋아하며 자갈 위에서 먹이활동을 하는데 앞에서 얘기했던 바벨과 마찬가지로 다른 물고기들과는 달리 날벌레를 먹지 않습니다. 조그만 지렁이만 있으면 쉽게 잡을 수 있어서, 초보 낚시인들이 대상어로 삼기에 아주 알맞은 물고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샘치도 목구멍에 이빨이 있는 물고기로 가죽처럼 질긴 입을 가지고 있어서 바늘에 걸리기만 하면 쉽게 빠지질 않습니다.

모샘치는 여름에는 강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지만, 가을이 되어 수초가 시들고 썩기 시작하면서 더 추워지면 무리를 이루어 깊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므로 이때는 찌낚시로 바닥층을 공략해야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송어 낚시처럼 찌를 사용하지 않고 부드러운 낚싯대를 사용하거나 낚싯줄을 손으로 잡고 입질을 감지하면서 잡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포프 또는 러프라고 부르는 물고기가 있는데, 강에 따라서는 전혀 볼 수 없기도 합니다. 이 물고기는 생김새는 퍼치와 비슷하지만, 맛은 퍼치보다 좋으며 크기는 모샘치만큼 자라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어떤 물고기보다 맛이 뛰어나며, 식탐이 크기 때문에 초보 낚시인들에게 알맞은 어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개 물흐름이 별로 없는 곳에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기 때문에 포인트만 잘 찾는다면 40~50마리는 거뜬히 잡을 수 있으며 때로는 같은 장소에서 배 이상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는 미끼는 지렁이가 제일 좋으며, 낚시하기 전에 흙과 지렁이를 섞은 다음 밑밥으로 뿌려 주면 아주 좋은 조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또한 블리크나 민물 청어라고 불리는 물고기도 있는데, 1년 내내 쉬지 않고 이동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제비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여름철 저녁이면 제비가 날벌레를 잡기 위해 날아다니는 것처럼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블리크를 볼 수 있습니다.

아우소니스는 블리크의 희끄무레한 빛깔 때문에 음산하다고 했지만, 블리크의 등은 바닷물처럼 푸르고, 배는 산 정상에 쌓인 눈처럼 하얗고 윤이 납니다.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도 이 물고기는 먹으려 하지 않고, 우리는 알라못 소금도 없어서 이탈리아 사람들처럼 젓갈을 만들지도 못하지만, 의심할 여지 없이 이 물고기는 귀중한 생선입니다.

블리크는 6~8개의 작은 낚싯바늘을 낚싯줄에 15㎝ 간격으로 연결한 가지채비로 잡을 수 있습니다. 이런 채비로 한 번에 다섯 마리를 잡는 걸 본 적이 있으며, 미끼는 구더기가 가장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두운 갈색의 플라이로도 잡을 수 있는데 플라이를 사용할 때는 바늘의 크기는 작은 것을 써야 합니다.

여름철 저녁, 보트를 타거나 물살이 빠른 강둑에서 1.5~1.8m 길이의 개암나무 막대에 2배 정도 길이의 낚싯줄을 매달고 캐스팅해서 블리크를 잡는 것보다 더 좋은 스포츠는 아마 없을 것입니다.

헨리 워튼 경으로부터 들은 바로는, 이탈리아에는 제비나 흰털발제비를 잡으려는 사람들이 많다는데, 특히 흰털발제비를 잡으려는 사람들은 조금 전에 얘기한 낚싯줄의 길이보다 2배나 긴 줄을 들고 교회의 첨탑 위에 올라간다고 합니다. 그건 바로, 흰털발제비나 블리크 모두 뛰어난 맛을 지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죠.

한 가지만 더 얘기하면, 꾸준하게 같은 장소를 찾아오는 왜가리는 커다란 피라미나 작은 모샘치를 미끼로 잡을 수가 있답니다. 바늘을 물고 왜가리가 날아올라도 견딜 수 있을 만큼 라인과 바늘은 튼튼해야 하며 라인의 길이는 1.8m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원투낚시로 즐기는 꽃게낚시

원투낚시를 이용하여 잡을 수 있는 어종 가운데 한창 제철인 꽃게를 잡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3일 ago

원투낚싯대의 파지법: 2 핑거, 3 핑거, 어느 쪽이 좋을까?

원투낚싯대의 파지법 중에서 릴 시트를 잡는 방법은 릴풋을 중지와 약지 사이에 끼는 2핑거 방식이 좋은지,…

2주 ago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3주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3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개월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