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낚시관련

조목(潮目)은 바다낚시의 중요한 포인트!

바다낚시에서 조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조류입니다.

그러나 원투낚시를 하는 분들의 경우를 보면 간만조의 시각과 사리와 조금 등만을 살피는 경향이 많고 기타 조류의 흐름에 따른 공략법에 대해서는 조금 소홀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지난 번 감성돔 원투낚시에서 알아보았던 조목(潮目)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서 조류의 흐름에 따른 공략은 어떻게 하는가를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조목을 네이버에서 찾아보면

“해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역적인 표층수의 수렴선이다. 보통 한‧난류의 조경수역에서 많이 관찰된다. 때로는 풍향에 의해서 같은 성질의 수역에서도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요철이 심한 해저지형의 해역, 해안선의 드나듦이 심한 곳에 잘 나타나며 좋은 어장을 형성하는 곳이 된다.”

전략(前略) “한란류의 경계, 대양수와 연안수의 경계, 연안수와 하수(河水)의 경계, 암초, 곶 부근, 용솟음 수역 주변에 종종 나타난다. 또 계절적으로 보면 봄에서 여름에 걸쳐 제일 많다.”고 나옵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바로 조목의 발생은 “한란류의 경계, 대양수와 연안수의 경계, 연안수와 하수(河水)의 경계, 암초, 곶 부근, 용솟음 수역 주변”에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낚시를 하는 어항이나 방파제 등에서도 조류가 발밑의 장애물(구조물)에 튕겨 나가면서 밀려오는 조류와 조목을 형성하기도 한다는 점을 이해하면 조과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런 조목(潮目)을 일본어로 된 자료에서 가져오면서 번역기를 돌린 “난류의 경계점”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글들이 보이는데 정확한 표현은 “조목(潮目)”이며 그 의미도 난류와 한류의 경계점임을 바로잡습니다.

이런 조목에 비해서 그 규모가 큰 것이 바로 조경수역이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동해에는 리만해류의 지류인 북한한류와 쿠로시오해류의 지류인 동한한류가 만나 조경수역을 형성하는데 봄에는 난류가 강해서 수역이 북상하며 겨울에는 한류가 강하여 수역이 남하하며 주로 울릉도 근해에서 형성이 됩니다.

이렇게 형성되는 조경수역은 용존산소량이 많아 플랑크톤이 풍부하고 이를 먹이로 삼는 어종이 많이 모이게 됨으로 좋은 어장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서해에는 난류가 약하고 남하하는 한류가 없기 때문에 조경수역이 형성되지는 않으나 위에서 살펴본 “대양수와 연안수의 경계, 연안수와 하수(河水)의 경계, 암초, 곶 부근, 용솟음 수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조목(潮目)은 형성되기 때문에 낚시를 할 때는 가장 먼저 이 조목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이런 조목을 육안으로 관찰하면 바다의 색깔이 다르거나 거품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바람에 의해 물결이 이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조목도 조경수역과 마찬가지로 플랑크톤이 풍부해서 작은 물고기들이 많고 따라서 작은 물고기를 먹잇감으로 삼는 대형 육식어종이 몰리는 것입니다. 또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조목과는 달리 조경수역에는 난류와 한류지역에 서식하는 물고기가 몰려 어종이 다양하지만 조목은 그렇지는 않습니다.

바닷물은 모두 동일하게 보이지만 그 위치에 따라서 흐름의 속도와 수온, 염분 및 밀도 등이 다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다른 바닷물 중에서 수온, 염분 등의 해양학적 요소가 비교적 일정한 큰 물덩어리를 가리켜 수괴(水塊)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바닷물이 만나서 서로 경계를 이루는 것을 해면에서 보면 조목이라고 일컬으며 바다 속에서의 모습을 조경(潮境)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런 조목과 조경이 발생하는 지점은 그 경계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깊은 곳의 조류가 빠르고 수온과 바닷물의 비중 등의 차이 때문에 실제로는 대각선의 형태로 형성됩니다.

조목이 발생하는 지점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오래도록 그 자리에서 지속되지 않고 금방 사라지거나 이동하기도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조류의 흐름을 알아야만 조과가 좋다는 점에 대하여 짧게 언급하자면 방파제 등에서 조류의 방향을 파악하고 중간에 장애물(구조물) 등이 있으면 반전류가 일어나게 되고 그곳에는 작은 물고기들이 몰리기 때문에 대형 어종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지점(A)을 노린다면 거센 조류로 인해 미끼가 되는 작은 물고기들이 없어서 조과가 좋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원투낚시도 다른 낚시와 마찬가지로 조류의 기본적인 이해는 할 수 있어야 조과가 좋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5일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6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2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2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3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