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전 세계 성게의 어획량과 대한민국의 수출입 통계

바다의 사막화, 일명 갯녹음 또는 백화현상(白化現象)을 일으키는 요인의 하나로 지목받고 있는 성게는 어린 시절 부산진역에서 완행열차를 타고 서생역에서 내린 다음 고리원자력발전소 건너편까지 먼 길을 걸어 낚시를 다니며 지천으로 널려있던 것들을 캐어먹던 기억이 날만큼 내겐 추억의 먹거리이기도 하다.

그러나 FAO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성게 어획량은 통계에 반영되지 않을 만큼 적지만 2021년 4월 해양수산부에서 펴낸 ‘2020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성게류의 생산량은 1,576톤이라고 나온다는 차이가 있는데 어떤 통계가 정확한지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못했다. 그러나 해수부의 1,576톤은 의구심이 드는 엄청난 양이란 점은 확실하다.

포스팅을 하기 위해 수산물의 통계자료를 확인하는 곳은 FAO의 홈페이지로 아래에 링크한 주소로 들어가서 FishStatJ란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누구나 어렵지 않게 다양한 통계자료를 이용할 수가 있으며 2020년의 성게 어획량은 아래와 같다.

 

순위
국가명
단위: 톤
1
칠레
37,464
2
러시아
9,480
3
호주
9,055
4
중국
8,153
5
일본
6,800
6
멕시코
3,248
7
캐나다
2,496
8
미국
1,291
9
뉴질랜드
985
10
스페인
527
11
아이슬란드
369
12
페루
199
13
필리핀
159
14
크로아티아
149
15
프랑스
111
16
북한
100
17
이탈리아
16
18
피지
16
19
쿡 제도
5
20
노르웨이
2
합 계
80,624

 

 

낚만 지월

Recent Posts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2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2주 ago

갑각류는 삶거나 찔 때 고통을 느낀답니다.

동물보호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는 가장 앞선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스위스에서는 기니피그와 앵무새와 같이…

2주 ago

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

이제 가을도 지나고 겨울의 문턱에 서 있다. 이것은 술을 즐기는 내가 좋아하는 안주인 생굴을 맘껏…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