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의 수산물 생산에 있어서 중국의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이 바로 굴이다.
2020년의 경우 FAO의 통계를 보면 중국의 자연산 굴 어획량은 집계되지 않을 정도로 적지만 양식한 굴은 전 세계 양식 굴의 86.7%를 차지하고 자연산 굴의 어획량과 양식한 굴의 생산량을 모두 합한 전 세계 총생산량의 85.7%를 차지하는 542만 톤을 생산하였다.
이것은 총 32만6천 톤을 생산한 우리나라의 16.6배에 해당하는 양이며 프랑스보다는 67배나 많은 양으로 FAO가 발표한 2020년의 통계에 따라 1천 톤 이상의 굴을 생산한 22개국의 생산량을 그래프를 보면 중국이 얼마나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는지를 실감할 수가 있다.
순위 | 국가명 | 어획(톤) | 양식(톤) | 합계(톤) | % |
1 | 중국 | 0 | 5,424,632 | 5,424,632 | 85.11% |
2 | 대한민국 | 25,805 | 300,084 | 325,889 | 5.11% |
3 | 미국 | 36,067 | 147,259 | 183,326 | 2.88% |
4 | 일본 | 0 | 158,900 | 158,900 | 2.49% |
5 | 프랑스 | 11 | 80,785 | 80,796 | 1.27% |
6 | 멕시코 | 47,714 | 5,928 | 53,642 | 0.84% |
7 | 필리핀 | 67 | 53,032 | 53,099 | 0.83% |
8 | 대만 | 78 | 19,165 | 19,243 | 0.30% |
9 | 태국 | 0 | 15,747 | 15,747 | 0.25% |
10 | 캐나다 | 303 | 10,643 | 10,946 | 0.17% |
11 | 아일랜드 | 0 | 9,475 | 9,475 | 0.15% |
12 | 호주 | 0 | 9,011 | 9,011 | 0.14% |
13 | 러시아 | 205 | 4,102 | 4,307 | 0.07% |
14 | 인도 | 0 | 4,000 | 4,000 | 0.06% |
15 | 포르투갈 | 35 | 3,597 | 3,632 | 0.06% |
16 | 브라질 | 1,000 | 1,700 | 2,700 | 0.04% |
17 | 네덜란드 | 24 | 2,350 | 2,374 | 0.04% |
18 | 영국 | 16 | 2,210 | 2,226 | 0.03% |
19 | 뉴질랜드 | 848 | 1,364 | 2,212 | 0.03% |
20 | 쿠바 | 0 | 1,150 | 1,150 | 0.02% |
21 | 스페인 | 8 | 1,089 | 1,097 | 0.02% |
22 | 채널 제도 | 0 | 1,010 | 1,010 | 0.02% |
합 계 | 112,181 | 6,257,233 | 6,369,414 | 99.93% |
한편 뻥인지 사실인지는 알 수 없으나 프랑스의 앙리 4세는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300개의 굴을 먹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나폴레옹은 전투에 나서기 전 반드시 굴을 먹었고 철학자인 볼테르는 영감을 얻기 위해 굴을 즐겨 먹었다고 하는 것에서 보듯이 프랑스는 유럽에서 생산되는 굴들이 모이는 곳으로 세계 굴 소비량 5위를 기록하는 곳이기도 하다.
오래 전 ‘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이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프랑스인들이 와인과 함께 즐기는 유러피안 플랫 오이스터(European flat oyster)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프랑스의 벨롱강 하구에서 나오는 굴을 일컫는 벨롱 오이스터(Belon Oyster)로 벨롱 오이스터는 특히 아펠라시옹 도리진 콩트롤레(AOC: Appellation d’origine contrôlée)의 인증과 보호를 받고 있었으나 1970년대에 멸종되어버렸고 지금은 아일랜드에서 나는 같은 종을 이용하여 전성기의 1% 정도만이 유통되고 있다.
벨롱 오이스터가 얼마나 유명한가는 구글에서 벨롱 리버(Belon River)란 검색어로 이미지를 검색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것에서도 짐작할 수 있지만 잘 자라지 않고 생명력도 약하며 갯벌에서 키워야 하는 관계로 양식에 시간과 손이 많이 가는 품종이라 원래부터 비쌌지만 멸종되고 나서부터는 더욱 가격이 치솟았는데 지금은 중국에서도 대량으로 수입해가는 바람에 더 크게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2022년 우리나라는 325,889톤의 굴을 생산하여 12.7%인 41,410톤을 수출하였고 전체 생산량의 72.6%에 달하는 236,442톤의 굴을 수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내가 먹은 굴(신선한 것이나 냉동한 것을 불문하고) 2개 중 1개는 수입한 것이었다는 말이 되는 셈이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