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계

전 세계의 바나나 생산량 통계

FAO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전 세계에서는 총 1억 3,511만 2,326톤의 바나나가 생산되었다고 하는데 25.6%를 차지한 인도가 3,452만 8,000톤을 생산하여 1위를 차지하였고 8.7%의 점유유를 기록하며 모두 1,177만 6,800톤의 바나나를 생산한 중국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위
국가
생산량(톤)
1
인도
34,528,000
2
중국
11,776,800
3
인도네시아
9,245,427
4
나이지리아
8,019,203
5
브라질
6,854,222
6
에콰도르
6,078,789
7
필리핀
5,899,705
8
과테말라
4,762,667
9
앙골라
4,589,099
10
탄자니아
3,500,880
11
멕시코
2,600,601
12
콜롬비아
2,521,733
13
베트남
2,514,820
14
코스타리카
2,494,250
15
페루
2,392,584
16
르완다
2,208,468
17
케냐
1,902,000
18
도미니카 공화국
1,397,442
19
태국
1,288,313
20
부룬디
1,271,768
21
파푸아 뉴기니
1,227,633
22
이집트
1,213,698
23
에티오피아
1,096,005
24
터키
997,244
25
수단
947,229
26
카메룬
878,280
27
방글라데시
826,179
28
콩고 민주 공화국
808,443
29
라오스
737,470
30
온두라스
559,263
31
코트디부아르
531,382
32
베네수엘라
528,550
33
말리
524,896
34
남아프리카
502,069
35
모잠비크
466,534
36
말라위
420,706
37
파나마
397,576
38
마다가스카르
388,460
39
스페인
348,870
40
대만
334,844
41
모로코
334,537
42
말레이시아
329,573
43
네팔
317,534
44
캄보디아
310,000
45
볼리비아
308,181
46
호주
280,837
47
아이티
240,357
48
쿠바
237,354
49
기니
229,999
50
프랑스
225,530
51
파키스탄
215,570
52
짐바브웨
197,458
53
이스라엘
183,000
54
아르헨티나
176,655
55
중앙 아프리카
142,580
56
라이베리아
142,303
57
예멘
138,744
58
이란
132,278
59
가나
109,874
60
푸에르토리코
102,164
61
파라과이
94,319
62
니카라과
89,585
63
콩고 공화국
89,082
64
벨리즈
86,210
65
레바논
81,659
66
코모로
80,960
67
자메이카
72,848
68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59,381
69
부르키나 파소
46,360
70
요르단
42,829
71
세네갈
36,000
72
적도 기니
30,865
73
포르투갈
28,460
74
토고
24,358
75
소말리아
23,610
76
사우디 아라비아
22,400
77
사모아
21,974
78
베낭
20,387
79
가이아나
18,687
80
오만
18,427
81
가봉
18,282
82
에스와티니
17,957
83
바누아투
17,062
84
엘살바도르
13,989
85
도미니카
11,524
86
바하마
10,114
87
피지
10,097
88
모리셔스
9,829
89
기니 비사우
8,392
90
수리남
7,947
91
키리바스
7,541
92
세인트루시아
7,015
93
상투메 프린시페
5,885
94
키프로스
5,480
95
그리스
4,700
96
카보베르데
4,628
97
미국
3,517
98
팔레스타인
3,379
99
트리니다드 토바고
3,286
100
그레나다
2,558
101
부탄
2,139
102
미크로네시아 연방
2,040
103
세이셸
1,993
104
뉴칼레도니아
1,879
105
브루나이
1,673
106
통가
867
107
잠비아
690
108
동티모르
638
109
아랍 에미리트 연방
336
110
솔로몬 제도
319
111
투발루
291
112
바베이도스
259
113
알제리
237
114
몰디브
217
115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211
116
시리아
197
117
니우에
82
118
일본
18
119
토켈라우
16
120
안티구아 바부다
7
121
쿡 제도
4

낚만 지월

Recent Posts

무늬오징어가 5.64kg이라니~ 부럽다

이전의 포스팅 “무늬오징어의 표준명이 흰오징인 것은 맞는 것일까?”에서 일본 근해에서는 3가지 종류의 무늬오징어가 잡히는데 그 중의…

3시간 ago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본산 명태를 먹고 있을까?(명태의 수출입 통계)

국내외에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일본은 전 세계를 향해 원전오염수의 해양방출을 공언하고 있다. 이는…

1일 ago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2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