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에서는 모두 102만 7,174톤의 농어를 생산하였으며 이 중 36%인 36만 9,943톤은 어획을 통한 것이었으며 나머지 65만 7,231톤이 양식을 통한 생산이었다고 한다.
특히 전 세계에서 생산량 1위를 차지한 중국은 어획량은 전무하며 전량 양식을 통한 생산이었다고 하나 중국의 수치는 믿기가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이런 통계를 통해서도 여실히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한편 FAO의 분류에 따르면 농어류는 물론 바라문디 등의 어종도 통계에 포함된다.
순위 | 국가 | 톤 |
1 | 중국 | 199,106 |
2 | 튀르키예 | 155,244 |
3 | 탄자니아 | 132,153 |
4 | 우간다 | 94,221 |
5 | 그리스 | 51,611 |
6 | 태국 | 50,202 |
7 | 이집트 | 41,813 |
8 | 인도네시아 | 40,085 |
9 | 말레이시아 | 38,064 |
10 | 나이지리아 | 27,793 |
11 | 스페인 | 23,592 |
12 | 대만 | 19,516 |
13 | 케냐 | 19,275 |
14 | 사우디 아라비아 | 14,215 |
15 | 멕시코 | 12,208 |
16 | 크로아티아 | 9,049 |
17 | 호주 | 8,773 |
18 | 이탈리아 | 7,614 |
19 | 부룬디 | 6,835 |
20 | 튀니지 | 6,191 |
21 | 미국 | 5,882 |
22 | 인도 | 5,700 |
22 | 일본 | 5,700 |
24 | 이란 | 5,616 |
25 | 말리 | 5,300 |
26 | 프랑스 | 5,092 |
27 | 브라질 | 3,450 |
28 | 대한민국 | 3,263 |
29 | 모리타니아 | 3,111 |
30 | 에티오피아 | 3,100 |
31 | 키프로스 | 2,684 |
32 | 알바니아 | 2,532 |
33 | 니제르 | 2,360 |
34 | 베네수엘라 | 2,085 |
35 | 미얀마 | 1,536 |
36 | 부르키나 파소 | 1,493 |
37 | 포르투갈 | 1,469 |
38 | 캄보디아 | 870 |
39 | 싱가포르 | 857 |
40 | 니카라과 | 786 |
41 | 이스라엘 | 670 |
42 | 캐나다 | 647 |
43 | 영국 | 613 |
44 | 아랍 에미리트 연방 | 526 |
45 | 스리랑카 | 466 |
46 | 코트디부아르 | 445 |
47 | 필리핀 | 412 |
48 | 알제리 | 379 |
49 | 파푸아 뉴기니 | 369 |
50 | 에콰도르 | 339 |
51 | 세네갈 | 312 |
52 | 모로코 | 283 |
53 | 콜롬비아 | 272 |
54 | 네덜란드 | 231 |
55 | 몰타 | 221 |
56 | 브루나이 | 107 |
57 | 리비아 | 107 |
58 | 도미니카 공화국 | 87 |
59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54 |
60 | 몬테네그로 | 43 |
61 | 슬로베니아 | 40 |
62 | 불령 기아나 | 39 |
63 | 벨기에 | 19 |
64 | 덴마크 | 14 |
65 | 채널 제도 | 13 |
66 | 카타르 | 10 |
67 | 푸에르토리코 | 7 |
68 | 팔레스타인 | 4 |
69 | 독일 | 1 |
69 | 스위스 | 1 |
71 | 레바논 | 1 |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인 ‘아바타: 물의 길’이 일본에서 개봉되기 전 마련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진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