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계

전세계 장어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가 먹는 장어는 어디서 왔을까?라는 제목의 포스팅에서 2021년 우리나라는 모두 1,337.4톤의 장어를 수입하였으며 그 중 중국산이 1,096.8톤으로 82%의 점유율을 보인 것을 알아본 바가 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코로나의 거리두기가 2021년에 비해 완화되면서 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모두 2,891톤을 수입하였는데 중국산의 수입이 가장 크게 증가한 2730.3톤으로 전체 수입물량의 9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국가
수입물량
비율
수입액(원)
중국
2730.3톤
93.5%
430억3천만원
모로코
128.3톤
4.43%
24억5천만원
이집트
13.4톤
0.46%
3억2천만원
호주
12.2톤
0.42%
2억8천만원
4개국 합계
2,886.2톤
99.8%
460억9천만원

중국은 장어 어업을 거의 하지 않고 있으므로 생산하는 물량은 전부 양식한 것인데 2020년 FAO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산 장어는 전세계 장어 생산량으로는 85%, 전세계 양식 장어 생산량으로는 8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 2020년 기준, 전세계 장어의 어획량과 양식장어의 생산량 통계를 살펴보도록 하자.

※ FAO의 통계는 칠성장어류와 드렁허리를 제외한 것임.

 

■ 전세계 양식장어 생산량

순위
국가명
생산량(톤)
1
중국
250,740
2
일본
16,887
3
대한민국
9,691
4
네덜란드
2,040
5
대만
1,693
6
독일
1,157
7
인도네시아
783
8
덴마크
626
9
이탈리아
407
10
그리스
370
11
스페인
300
12
모로코
240
13
스웨덴
93
14
알제리
48
15
이집트
24
16
튀니지
4
17
앙골라
2
합 계
285,105

■ 전세계 장어 어획량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인도네시아
3,692
2
필리핀
1,473
3
이집트
1,404
4
네덜란드
483
5
영국
325
6
터키
320
7
뉴질랜드
281
8
프랑스
252
9
독일
195
10
덴마크
183
11
스웨덴
175
12
튀니지
170
13
캐나다
133
14
폴란드
114
15
일본
65
16
스페인
58
17
대한민국
50
18
이탈리아
47
19
멕시코
40
20
알바니아
40
21
에스토니아
40
22
벨기에
31
23
미국
30
24
체코
15
25
러시아
13
26
대만
10
27
리투아니아
7
28
그리스
7
29
라트비아
6
30
포르투갈
6
31
노르웨이
4
32
핀란드
4
33
헝가리
4
34
벨로루시
4
35
북마케도니아
3
36
스위스
2
37
도미니카 공화국
1
합 계
9,686

 

낚만 지월

Recent Posts

고래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feat. 아바타: 물의 길)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인 ‘아바타: 물의 길’이 일본에서 개봉되기 전 마련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진행된…

1일 ago

여름철 밤낚시의 필수품, 모기기피제

여름철 밤낚시는 모기와의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심한 모기들의 극성을 견뎌야 합니다. 이때 많은 사람들이 바르거나…

4일 ago

조어대전 제19장: 강과 물고기에 대한 관찰

낚시꾼: 날씨도 좋고, 길도 좋습니다. 아직 토트넘의 십자가가 보이려면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 당신이 원하는…

4일 ago

원투낚시용 릴의 드랙력은 얼마가 적당할까?

원투낚시에 입문하는 분들은 장비의 선택에 있어 많은 애로를 겪는데 그중에는 사용할 릴의 드랙력은 어느 정도가…

7일 ago

고산 윤선도에게 배우는 낚시터의 예절

지난 주말 모처럼 밤낚시를 즐기고 왔다. 예보와는 달리 바람도 그리 세게 불지는 않아 조용한 시간을…

7일 ago

배스는 웜을 무엇으로 생각할까?

사용하는 루어의 크기와 모양 및 색깔이 물고기의 실제 먹이와 비슷할수록 입질 확률이 높다는 것은 낚시인들의…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