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계

전세계 장어 생산량(어획+양식) 통계

우리가 먹는 장어는 어디서 왔을까?라는 제목의 포스팅에서 2021년 우리나라는 모두 1,337.4톤의 장어를 수입하였으며 그 중 중국산이 1,096.8톤으로 82%의 점유율을 보인 것을 알아본 바가 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코로나의 거리두기가 2021년에 비해 완화되면서 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모두 2,891톤을 수입하였는데 중국산의 수입이 가장 크게 증가한 2730.3톤으로 전체 수입물량의 9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국가
수입물량
비율
수입액(원)
중국
2730.3톤
93.5%
430억3천만원
모로코
128.3톤
4.43%
24억5천만원
이집트
13.4톤
0.46%
3억2천만원
호주
12.2톤
0.42%
2억8천만원
4개국 합계
2,886.2톤
99.8%
460억9천만원

중국은 장어 어업을 거의 하지 않고 있으므로 생산하는 물량은 전부 양식한 것인데 2020년 FAO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산 장어는 전세계 장어 생산량으로는 85%, 전세계 양식 장어 생산량으로는 88%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 2020년 기준, 전세계 장어의 어획량과 양식장어의 생산량 통계를 살펴보도록 하자.

※ FAO의 통계는 칠성장어류와 드렁허리를 제외한 것임.

 

■ 전세계 양식장어 생산량

순위
국가명
생산량(톤)
1
중국
250,740
2
일본
16,887
3
대한민국
9,691
4
네덜란드
2,040
5
대만
1,693
6
독일
1,157
7
인도네시아
783
8
덴마크
626
9
이탈리아
407
10
그리스
370
11
스페인
300
12
모로코
240
13
스웨덴
93
14
알제리
48
15
이집트
24
16
튀니지
4
17
앙골라
2
합 계
285,105

■ 전세계 장어 어획량

순위
국가명
어획량(톤)
1
인도네시아
3,692
2
필리핀
1,473
3
이집트
1,404
4
네덜란드
483
5
영국
325
6
터키
320
7
뉴질랜드
281
8
프랑스
252
9
독일
195
10
덴마크
183
11
스웨덴
175
12
튀니지
170
13
캐나다
133
14
폴란드
114
15
일본
65
16
스페인
58
17
대한민국
50
18
이탈리아
47
19
멕시코
40
20
알바니아
40
21
에스토니아
40
22
벨기에
31
23
미국
30
24
체코
15
25
러시아
13
26
대만
10
27
리투아니아
7
28
그리스
7
29
라트비아
6
30
포르투갈
6
31
노르웨이
4
32
핀란드
4
33
헝가리
4
34
벨로루시
4
35
북마케도니아
3
36
스위스
2
37
도미니카 공화국
1
합 계
9,686

 

낚만 지월

Recent Posts

죽음의 방파제

우리나라에서도 테트라나 갯바위 등에서 낚시를 하다 사망하는 경우도 있고, 위험하다고 판단되어 정부나 지자체에서 낚시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3일 ago

낚시를 좋아했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

금세기를 대표하는 베이스 가수라는 평가를 받는 러시아의 성악가 표도르 샬리아핀이 낚시를 좋아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3일 ago

서프루어의 상식 하나, 비치 커스프와 언더토우

이미지 by David Abercrombie ​ 요즘은 가족과 함께 낚시를 즐기는 분들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은…

6일 ago

사랑으로 남편을 구한 레지스탕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프랑스가 독일의 점령 하에 들어가면서 많은 프랑스인들이 수용시설에 감금되게 되는데 특히 유태인들의…

6일 ago

루어낚시의 저크와 트위치의 차이

루어낚시의 초보단계를 지나면서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로 저크(jerk)와 트위치(twitch)를 꼽을 수 있을…

7일 ago

원투낚시로 즐기는 꽃게낚시

원투낚시를 이용하여 잡을 수 있는 어종 가운데 한창 제철인 꽃게를 잡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