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통계

일본산 어패류 수입통계(2001년~2022년)

아침에 일어나 살펴본 뉴스 중에 “작년 일본 어패류 수입액 1억7천만달러…후쿠시마 사고 후 최대”란 제목의 연합뉴스 기사가 있다.

블로그를 통해서 수산물의 수출입통계와 전 세계의 어획량에 대한 포스팅을 꾸준히 해오고 있는 나는 언론의 보도를 전적으로 믿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2020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우리나라가 1인당 연간 수산물을 58.4kg을 소비하여 주요국 중 1위를 차지하였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는데, 이를 기사화한 언론사들은 “주요국가들 중에서”라는 문구를 빼고는 “1인당 수산물 소비량 세계 1위 한국”이란 제하의 기사를 양산해냈다.​

 

그러다 보니 이를 인용한 정보들이 마구잡이로 확산되어 우리나라의 수산물소비량이 세계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2019년 전세계를 기준으로 한 수산물 소비량 순위는 우리나라가 9위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로 나는 오늘자 기사도 인용한 수치가 정확한가를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다행히도 인용한 관세청의 자료에 오류가 없었는데 뒤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지만 기사 중의 “지난해 일본 어패류 수입액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것은 활어다. 활어 수입액이 8천402만달러에 달해 전체 수입액의 48.2%였다.”는 내용을 기억하고 넘어가기로 하자.

우리나라의 일본산 어패류 수입은 2007년이 가장 많았던 해로 2억5천4백7만6천 달러를 수입해 오늘자 매매기준율로 환산하면 3천290억 원어치를 수입하였다.

그 뒤는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2011년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수입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가장 많이 수입했던 2007년을 제외하고는 예년의 수입액에 버금가는 일본산 어패류가 수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산 어패류의 수입통계 중에서 2018년을 살펴보면 중량은 전년 대비 13.2%가 감소하였으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가 증가하였는데 중량은 줄고 금액은 늘어난 가장 큰 원인은 바로 큰 폭으로 증가한 활어의 수입에 있다.​​

 

 

그리고 2018년 이후로 우리나라의 대일본(對日本) 활어의 무역수지는 계속해서 적자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낚만 지월

Recent Posts

우리의 역사서에 나오는 낚시의 흔적들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1주 ago

생명력이 강한 광어의 습성과 생태

서프루어의 주된 대상 어종인 광어는 대략 2월~6월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산란을 위해…

1주 ago

합사의 데니어(Denier)만 알면 업체가 홍보하는 제원이 정확한지 알 수 있다.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2주 ago

주꾸미 내장을 먹지 않는 이유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2주 ago

갑각류는 삶거나 찔 때 고통을 느낀답니다.

동물보호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는 가장 앞선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스위스에서는 기니피그와 앵무새와 같이…

2주 ago

한 권의 책, 그리고 위스키와 생굴

이제 가을도 지나고 겨울의 문턱에 서 있다. 이것은 술을 즐기는 내가 좋아하는 안주인 생굴을 맘껏…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