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파 생산량은 2004년 70만 201톤이 FAO에 보고된 것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2022년에는 모두 47만 8,048톤이 생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런데 FAO는 샬롯(shallot)을 파의 분류에 포함시키고 있어서 국내의 파 생산량 통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세계 여러 나라의 통계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분류기준에 따른 통계수치를 적용하였다.
연도 | 생산량(톤) |
1990년 | 465,510 |
1991년 | 534,558 |
1992년 | 602,851 |
1993년 | 554,979 |
1994년 | 497,140 |
1995년 | 553,163 |
1996년 | 522,633 |
1997년 | 484,548 |
1998년 | 500,492 |
1999년 | 606,559 |
2000년 | 657,881 |
2001년 | 635,713 |
2002년 | 566,828 |
2003년 | 534,903 |
2004년 | 700,201 |
2005년 | 513,174 |
2006년 | 542,981 |
2007년 | 488,814 |
2008년 | 505,056 |
2009년 | 446,991 |
2010년 | 417,229 |
2011년 | 482,143 |
2012년 | 356,734 |
2013년 | 430,580 |
2014년 | 462,695 |
2015년 | 399,798 |
2016년 | 409,859 |
2017년 | 485,116 |
2018년 | 489,864 |
2019년 | 463,721 |
2020년 | 417,881 |
2021년 | 493,162 |
2022년 | 478,048 |
은어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잘 아는 놀림낚시라는 용어는 꾐낚시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일본에서는 이것을 토모즈리(友釣り: ともづり)라고 하는데…
어제 올린 낚싯줄 판매업체들이 절대 밝히지 않는 한 가지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낚싯줄 판매업체에서 데니어를 공개하면 홍보하는…
제철을 맞은 주꾸미는 도다리와 함께 해수부가 선정한 3월의 수산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주꾸미의 손질방법’이란 글에서도 설명한 것처럼…